겔 42:1-14
이 귀절들은, 성전 "북편 뜰"의 "두 방"과 "남편...뜰"의 "두 방"에 대하여 말한
다. 이 방들은, 제사장들이 성전에서 수종 들다가 사적(私的)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
다. 사적으로 사용한다고 해서 개인의 육신 편리를 위하여 사용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1) 거기서 제사장들이 "지성물"을 먹게 되어 있고, 수종 들 때에 입던 "의복은 거룩
하므로" 벗어 두도록 되어 있으니(13-14), 그 곳도 하나님의 거룩한 법을 지키는 장소
이다. (2) 그 곳은 제사장들의 성전 봉사의 공무(公務)를 위한 준비실이라고 할 수 있
다. 공적(公的) 사역을 위하여는 이렇게 골방의 준비가 필요하다. 골방의 준비야말로
성역(聖役)의 힘이라고 할 수 있다.
겔 42:15-20
여기서는, 성전의 "사면(四面) 담을 척량"함에 대하여 말한다. 그 척수는,"장과 광
이 오백척"씩으로 네 귀 방정한다. 네 귀 방정한 것은, 힘있고 견고함을 비유한다
(Patrick Fairbairn). 다시 말하면, 이것은 천국이 언제나 동요하지 않음을 비유한다.
그 담은 거룩한 것과 속된 것을 구별하는 것이더라(20절) - 이 성전은, 신약 시대
의 교회를 상징하는 것인만큼, 이방인들이 유대인들과 달리 서는 곳이 없다. 이방인이
나 유대인이 그리스도 안에서는 하나가 된다(엡 2:14). 그러나 이 성전에서 세상과 교
회는 엄격히 구분되어야 할 것이, 여기 교시(敎示)되어 있다. 신약 시대의 교회는 세
속주의를 엄격하게 막느다.
세대주의(世代主義) 학자들은, 40-48장에 기록된 예언이 구약의 외부적 성격(外部
的性格)을 지니고 있다는 이유로, 이것이 영성(靈性)을 띈 신약 교회로 성취되었다고
할 수 없다고 한다. 그들은, 이 예언이 그리스도의 공중 재림 후에 유대인들로 말미암
아 문자적으로 성취된다고 한다. 그러나 이 학설은 옳지 않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
다.
(1) 그리스도의 속죄로 인하여 벌써 모든 구약적 제사 제도들은 영원히 폐지된 까
닭이며(히 10:18).
(2) 천국의 기업을 누릴 자들이 이제는 육적(肉的)인 이스라엘 민족이 아니고 새로
운 이스라엘 곧, 참된 교회이기 때문이며(마 21:43; 벧전 2:9-10).
(3) 계시록은, 신령한 천국을 묘사함에 있어서 에스겔의 이 부분 표현들을 많이 채
용하여다(계 21:9-22:5). 그것은, 에스겔의 이 부분 말씀들도 신령한 천국을 가리킨다
는 암시이다. 내가 "신령한 천국"이란 말로써 의미한 것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속죄
함을 받고 구원 받은 자들이 들어가는 천국이다.
(4) 40-48 장에 기록된 예언이 이스라엘 민족을 중심한 듯하고 그 색채는 외부적이
라고 하여, 그것이 영성(靈性)을 띈 신약 교회를 가리키지 않는다고 할 것은 없다. 신
약 교회에서 성취된 구약의 메시야 예언들은, 모두 다 이스라엘 민족을 중심한 듯이
보이며, 외부적이고 물질적인 색채를 띈다. 실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다윗의 집에서 메시야가 나시리라는 예언(렘 23:5,30:9,33:17,21,22,26; 겔
34:23,24,37:22-24; 호 3:5; 암 9:11). 그는 왕이요(슥 9:9), 선지자요(신 18:15; 사
11:2), 제사장이심(시 110:4; 사 53장; 슥 3:8,6:13).
메시야로 말미암은 제사 회복의 예언 (사 2:2, 28:16, 30:19, 33:5, 35:10,
52:1,56:6-7, 60:7, 61:6, 66:20-23; 렘 3:16-17, 30:18, 31:38, 33:18,22; 욜
3:17,20; 암9:14-15; 옵 1:17,21; 미 4:1-2, 7:11; 학 2:6-9; 슥 1:17, 2:1-5,
3:1-8).
물질적 성격을 띈 메시야 시대의 축복 예언(사 2:4, 32:15-20, 51:3, 60:17-18,
62:8,9, 65:9.22; 렘 31:6,12-14; 겔 34:14,25,29, 36:29-30, 47:1-12; 호 2:18,
14:6; 욜 3:16-18; 암 9:13-14; 옵 1:21; 미 4:3-4; 슥 8:12, 14:8,10).
메시 시대에 이방인들이 이스라엘에게 복속하리라는 예언 (시 2,21,24,45,46,47,
48,68,72,86,69,96,98 편; 사 18:7, 19:18-25, 23:15-18, 25:6-9; 렘 3:17, 4:2,
16:19-21, 33:9; 겔 17:24; 욜 3:2-15; 암 9:12; 옵 1:17-21; 믹 5:3; 습 2:4-11,
3:8,9; 학 2:7; 슥 2:11, 8:20-23, 14:16).
위에 열거한 모든 예언들은, 주로 이스라엘 민족을 중심한 듯하고, 또 물질적 색채
를 띈다. 그러나 영적으로야 완전히 성취될 수 있는 요소들도 포함하고 있다. 곧, 거
기에 "영원"이란 술어가 종종 나오고, 자연계의 변동에 대한 말도 나온다. 그 예언들
이 저렇게 외부적 색채를 띈 것은, 그것이 실물(實物)의 그림자였던 사실을 보여준다
(히 10:1). 예를 들면, 죄악은, 레위기의 제사 제도에서 지적한 바 불결(不潔)로 상징
되었고, 하나님을 섬기는 일은, 예루살렘에 올라가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며, 영생은 땅
위의 장수(長壽)로 상징되었다. 그러므로 이것들은 모두 다 실물의 그림자였다. 이것
들의 성취로 신약의 일들이 실현되었다. 그러므로 신약은, 저런 그림즈들이 그리스도
와 그의 속죄로 성취되었다는 의미로 "참 것"이라는 말씀을 많이 사용하였다. 곧, 그
리스도를 가리켜 "그 진리"라 하고(요 14:6), 성령을 "진리의 영"이라 하고(요 16:13;
요일 5:6), 복음의 말씀을 "진리"라고 한다(요 17:17). 이 밖에도 신약의 모든 사항
(事項)들을 구약의 성취라는 의미에서, 특별한 표현들이 사용되었다. 곧, "그리스도의 할례"(골 2:11),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고전 5:7), "향기로운 제물과 생축"(엡 5:2), 아브라함의 자손, 이스라엘, 하나님의 백성(롬 9:25-26; 고후 6:16-18; 갈 3:29; 딛 2:14; 히 8:8-10; 약 1:1,18; 벧전 2:9; 계 21:3,12), "성전"(고전 3:16; 고후 6:16; 엡 2:22; 히 8:2), 시온 또는 예루살렘(갈 4:26; 히 12:22; 계 3:12,
21:2,10). "예배"(요 4:24; 롬 12:1; 빌 3:3, 4:18)와 같은 표현들이다. 그리고 아브라함을 유대인 뿐 아니라 모든 믿는 자들의 아버지라 하고(롬 4:11; 갈 3:14,29), 그리스도 아네는 유대인과 헬라인의 구별이 없다고 한다(고전 12:13; 갈 3:28-29; 골 3:11).
Previous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