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14:23
기도하러 따로 산에 올라가시다 저물매 거기 혼자 계시더니.- 25절을 보면,예수님께서 밤중 제 사경에야
제자 들의 배에 도착하셨다고 하니, 그는 이 산중 기도로 거의 철야하신 것이다. 혼자있어서 기도하는 새오
할은 우리 주님께서 좋아하신 것이다.(막1:35-45) 고요히 홀로 기도하며 마음을 닦음은 우리들에게도 절대
필요하니, 그것이 없이는 복잡한 세상에서 하나님께 집중하여 영교할 수 없다. 하늘이 열리고 천사가 그 위
에 오르락 내리락하는 예수님도 이렇게 유수를 필요로 하셨거든 하물며 우리들이야 말할것이 무엇이랴? 이런
유수가 없이는 경건의 능력을 얻기 어렵다. 이런 유수 끝에는 우리의 생활에 능력이 나타난다.
마 14:24
바람이 거슬리므로 물결을 인하여 고난을 당하더라.- 예수님께서 계시지 아니하니 어찌 역경이 아니랴? 예수님
이 계시지 않은 심령에도 이렇게 평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예수님께서 이 폭풍에 불린 교회
(배에 있는 사람들은 교회의 비유)를 버리신것이 아니다. 그는 이 교회를 위하여 하늘에서 기도하시낟. 비록
파도에 몹시 부대끼지만 예수님의 기도가 있는 한 무슨 염려가 있으랴?
식물학자는 말하기를 과실은 수목의 그 자라나는 힘이 막히어 뭉친 부분이라 한다. 그처럼 인간은 역경으로
인하여 전진 대신에 여물어지는 영적 과실을 가지게 된다.
마 14:25
예수께서 바다위로 걸어서 제자들에게 오시니.- 제자들이 위험중에 빠지매 예수님은 바다위로 걸어서라
도 급부하실 사랑과 열성이 크시었다. 그의 이적보다는 그의 애정이 앞선 것이다. 이 때에 에수님은 바다라
도 성큼성큼 들어서리 만큼 제자들을 사랑하시는 마음에 불타셨다. 그런 사랑에는 반드시 하나님의 도우심이
나타나 초자연적 이적이 나타난다. 주님은 오늘도 교회를 그렇게 사랑하시니 우리가 염려할 것이 무엇이랴?
마 14:26
여기 바다 위 라는 것은, 해변을 의심하지 않고 바닷물 위를 의미한다. 물 위로 걸어 온다는 것은, 사
람으로서 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러므로 제자들이 보고 놀라 유령이라 고 하였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자기가 자연계의 모든것을 지배하시는 하나님 아들이심을 계시하시기 위하여 권능으로 이와같이 하신 것이
다.
마 14:27
안심하라 내니 두려워말라.- 이 말씀은 그가 인류의 구주이신 주님이심을 드러내신다. 인류에게 진정한 안심을
주는 이는,우리를 찾아오신 하나님 아들 밖에 없다. 그 분만이 우리에게 평안을 주시낟. 그러므로 우리 본문에
도 내니 란 말씀이 두드러지게 나와 있다. 두려워하지 말라 는 말씀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흔히 부탁하
시는 말씀이다. 성경에 이 말씀이 도합 365번 있다고 한다.
마 14:28
베드로는 여기서도 자기의 본성을 드러낸다. 그는 누구보다도 솔선하는 행동을 취한다. 그가 말하기를,
주여 만일 주시어든 나를 명하사 물 우로 오라 하소서 할 때에 신앙으로 한 것만은 사실이다. 그는 주님
이 그를 도와주실 줄로 알았다. 그러나 그 신앙은 순간적이었다. 그러므로 신앙을 지속하기 위한 모든 연단
이 우리에게 절대 필요한 것이다.
마 14:29,30
베드로는 주님을 보고서 그 놀라운 능력을 의뢰하고 또 그를 반갑게 생각하여 물로 성큼 내려섰으니 그것은
과단성 있는 신앙이다.
하나님의 능력에 대한 신뢰와 예수님에게 대한 애모는 과단성 있는 신앙행위를 나타내기 쉽다. 과단성은 지
속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베드로는 마침내 일어나는 바람을 보고 공포를 가지기 시작한 것이다. 그것이
그로하여금 실패케 한 것이다. 베드로는 이 때에 바람을 제압하시고 걸으시는 에수님을 보지 않고 바람만을
본 고로 그만 공포심에게 사로잡힘이 된 것이다. 신앙의 지속은, 세상을 보지 말고 세상을 이기신 예수님을
보는 심령이라야 할 수 있다. 예수님을 영적으로 보는 방도는 항상 기도함과 항상 하나님의 말씀을 신앙으가
묵상함에 있다.
마 14:31
베드로가 예수님의 오라 는 말씀에 순종하여 바다 물위에 내려선 것은 큰 모험이었다. 그러나 바람을
보고 무서워 한 것은 사소한 일로 동요된 것이 아닌가? 그것은 모순된 일이다. 크게 움직인 자가 작은 일로
도용되는 것은 흔히 있는 인간성의 결함이다. 이것을 극복하지 못하는 믿음은 적은 믿음이다.
마 14:32
예수님이 배에 오르시자 바람이 그친 것은 뜻 있는 일이다. 그것은 주님이 함께 하시는 곳에 평강이 있
을 것을 보여주는 신령한 교훈도 된다.
마 14:33
배에 있는 사람들의 생각에, 예수님은 자연계(물결이나 바람)를 지배하시는 자니 만큼 그가 하나님이신 것을
알게 되었다.
하나님의 아들.- 이는 바로 하나님이라는 말과 같다. 요10:31-33, 5;18 참조
마 14:34
게네사렛 땅.- 이것은 갈릴리 서북방 곧, 가버나움이 있는 지방을 가리킨다.
마 14:35
그곳 사람들이 예수신 줄을 알고.- 영적 욕망 보다도 육적 욕망 때문에 그들은 눈이
밝아서 예수님을 알아본다. 이렇게 인간은 육체적 소망에 대하여는 민첩하다.
마 14:36
다만 예수의 옷가에라도 손을 대게 하시기를 간구하니.- 이 말씀은 몇가지 사실을 생각케 한
다. 곧, (1) 그 때에 무수한 사람들이 따르므로 일이 너무 많아서 예수님께서 극도로 분망
하시게 다니셨다는 것. 그는 그 많은 사람을 하나하나 만나볼 겨를이 없으셨다. (2)그 모여
온 무리들이 신앙이 간절한 사실. 병 고치기 위하여 예수님의 옷가에라도 만지기 원하는 것
은, 무식한 믿음이라고 할지는 모르나 간절한 것은 틀림없다. 우리는 무식한 믿음이라고 해
서 반드시 다 미신이라고 할 수 없다. 그들이 예수님의 옷가라도 만진 것은, 그 옷을 숭배
함이 아니고 예수님을 극도로 숭배하는 마음의 표현이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숭배를 상칙
으로 가지거나 교리화 할 수는 없다. 그 이유는, 그것을 교리화 하게 되면, 사람들이 실제
에 있어서 예수님과 직접 관련 없이, 그저 관념적으로만 에수님의 이름을 붙인 어떤 물체나
형상에게 숭배하려는 미신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할 것은, 비록 어떤
사람의 간절한 믿음의 표현이라도 어떤것을 그 사람에게 있어서만 합당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까지 법칙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손을 대는 자는 다 나음을 얻느니라.- 그들이 예수님의 옷가에 손을 대인것은, 그들이 예수님을 숭배하여 그렇게 한 것이니 만큼 지극한 믿음이다. 예수님은 그것을 아시고 그들의 병을 고쳐 주신 것이다.
Previous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