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51:1
의를 좇으며 여호와를 찾아 구하는 너희 - 이들은 바벨론 포로 생활의 고통 속에서 하나님을 경외하며 본국으로 귀환할 때를 고대했던 남은 자들을 가리킨다. 이를릉 다포로 생활속에서도 여전히 하나님을 사랑하고 예배하던 자들이었다. 본문에서 이들은 '의를 좇는' 자로 묘사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자칫하면 형식적 율법 준수에 집착하는 것으로써 선민(選民)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었다. 이어지는 구절들은 바로 이러한 오해를 바로잡아 주려고 하는 암시를 내포하고 있다. 반석 ... 구덩이 - 이 둘은 석수장이가 돌을 떠내서 움푹 패인 자리를 가리킨다. 무엇인가 암시하는 이미지인데, 그 내용은 2절에 설명되어 있는 것 곧 하나님이 그 주권적 의지에 따라 아브라함을 부르시고 그를 통해 언약 백성이 출현하게 하신 것으로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이 두 용어가 포함된 문장과 2절 상반절은 공히 '생각하여 보라'로 끝맺고 있기 때문이다.

=====51:2
너희 조상 ... 생각하여 보라 - 저자는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와 하나님께로부터 말미암는 '의'(5절 참조) 설명함에 있어서 아브라함 한 사람으로 시작되어 많은 수의 민족으로까지 불어난 이스라엘 민족을 예로 들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갈대아 우르에서 한 사람 아브라함을 부르셨고 그에게 하나님 나라에 관한 약속을 부여하시되 인간의 안목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방법 곧 노인 사라를 통한 자손 출생을 통하여 그 약속을 이루어 나가셨고, 결국 이스라엘이라는 큰 나라를 바라보게 된다. 그러므로 이제 이 위로를 받은 남은 자들은 구원에 관한 절대 주권을 쥐고 계신 하나님을 소망하게 될 것이며, 그들의 의로워질 수 있는 근거를 이 소망 위에서 발견하게 될 것이다.

=====51:3
그 광야로 에덴 같고 - 여기 '에덴'은 하나님이 인간의 거주지로 정하셨던 최초의 장소인 에덴 동산을 가리키는데(창 2:8,9), 구약에서 이 호칭은 이상적인 목초지 혹은 농경지의 상징이 되고 있다(창 13:10;겔 31:8,9). 그러나 겔 36:35과 마찬가지로 본 호칭은 미래에 다시 회복될 처소를 상징하고 있음이 분명한데, 그렇다면 본절은 종말론적 관점에서도 이해 가능하다. 1차적으로 본절은 혼자였던 아브라함을 통해 큰 민족을 만드셨던 하나님이 포로지의 남은 자들을 근거로 이스라엘을 재건하실 것에 대한 예언이다. 그리고 그 예언 성취의 확실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완료형으로 적고 있다. 그러나 종말론적 성격을 띠고 있는 '에덴'이란 호칭으로 미루어 볼 때, 본절은 메시야를 통한 구속 사역의 완성 그리고 더 나아가 메시야의 재림 때에 있을 완전한 구속 사역의 성취에 따른 새 하늘과 새 땅의 도래에까지 그 시야를 확산시키고 있다 하겠다.

=====51:4
내 백성 ... 내 나라 - 각각 '암미'( ), '레움미'( )이다.
어떤 학자들은 이 두 용어를 각각 '민족들'이란 뜻의 '아밈'( )과 '나라들'을 뜻하는 '레우밈'( - )으로 바꿈으로써 본 구절의 청중이 유대인뿐 아니라 이방인까지 포함한 만민들인 것으로 보려 하나 '만민'에 관한 언급이 따로 나오므로 원문 수정까지 해가면서 굳이 그렇게 해석할 필욕는 없을 것이다.
내 공의를 만민의 빛으로 세우리라 - 원문에 입각한 직역은 '나의 심판은 만민의 빛이 되리라'이다. 문맥상 본절의 '율법'과 본문의 '심판'은 동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본절과 5절 내용은 여호와의 날에 되어질 상황을 그린 2:3,4과, 이방에 공의를 베푸실 '종'의 노래에 해당하는 42:1 내용과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본문의 예언 역시 바벨론 포로 귀환뿐 아니라 메시야 시대에 되어질 일들을 통해 온전히 성취될 것이라 하겠다.

=====51:5
내 의가 가깝고 내 구원이 나갔은즉 - 계속해서 복합 성취를 겨냥한 예언이 나오며, 특히 종말론적 색채가 짙은 본문은 하나님의 공의와 이스라엘의 죄의 해결을 동시에 만족시킬 대속주이신 메이야의 대속 사역을 암시한다. 한편 메시야의 대속 사역은 1차적으로 이스라엘의 남은 자들을 위한 것이지만, 2차적으로는 이방의 택한 자들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팔 - 유대인뿐 아니라 이방인도 포함하며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베푸시는 하나님의 '능력'(롬 1:26)을 가리킨다.

=====51:6
하늘이 연기같이 ... 죽으려니와 - 만물의 일시성, 인간의 유한성에 대한 묘사이지만 종말에 되어질 어떤 징조에 대한 암시가 정혀 담겨 있지 않다고 볼 수도 없는 구절이다. 이 같은 묘사가 갑자기 나오는 것은 앞서 언급된 하나님의 구원 역사에 대한 예언의 성취를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메시야의 대속 사역을 톨한 이스라엘의 남은 자와 이방의 선택받은 자의 구원은 결국 성취되고 말 분명한 사실이다 : "천지는 없어지겠으나 내 말은 없어지지 아니하리라"(마 24:35;시 102:26;히 1:11,12).

=====51:7
의를 아는 자들 ... 내 율법이 있는 백성들 - 1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여호와의 구원을 사모하여 율법대로 살아가고자 힘쓰는 이들을 가리킨다. 여기서는 특히 이스라엘의 남은 자를 뜻한다. 이제 바벨론 포로 사건을 놓고 하나님을 모르는 이방은 '네 하나님이 어디 있느냐 네가 어떻게 구원받겠느냐'라고 조롱할 것이다. 바로 그러한 위기 때 여호와의 언약적 신실성을 확신하는 이들은 결코 위축되지 않을 것이다(마 10:28).

=====51:8
옷같이 좀에게 먹힐 것이며 - 좀이 의복을 갉아먹어버리듯이 무기력하게 멸망당하고 말 악인들의 허망함과 유약함을 나타낸다(Fausset). 이처럼 유약한 인간이라면 그가 내뱉는 조롱조의 말은 생명력도 없고 영원하지도 않을 것이다. 거기에 비해 하나님은 그 무엇에 의해서도 해(害)를 받지 않으시는 분이며 따라서 그분에게서 나온 말씀, 구원의 계시는 생명력이 있다.

=====51:9
깨소서깨소서 - 하나님의 과거의 전능 사역을 회고하며 아뢰는 이 호소는 '공동체적 애가'(corporate lamentation)의 특성을 보여준다(시 44:1-3, 23;80:2). 하나님의 구원을 재촉하는 듯한 이 호소는 하나님의 무관심에 대해 원망하는 말이 아니라 긴박한 현실 상황으로부터 한시 빨리 벗어나고자 하는 바람에서 나온 말이다.
라합 - '애굽'의 시적인 이름이다. 이미 본서 저자가 사용한 바 있다 : "애굽의 도움이 헛되고 무익하니라 그러므로 내가 애굽을 가만히 앉은 라합이라 일컬었느니라"(30:7).
용( , 탄닌) - 문자적인 뜻은 '악어'인데 악어는 아우구스투스(Augustus)가 애굽 정복 뒤에 애굽의 동전에 새겨진 그림을 통해 확인하였듯이 애굽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특히 그 왕 바로를 가리킨다(27:1;시 74:13,14;겔 32:2). 선지자는 여기서 기적적인 출애굽 사건 중 바로의 항복기사를 회상하고 있다.

=====51:10
바다를 ... 주가 아니시니이까 - 여기서 '바다'는 홍해를 가리킨다(43:6;출 14:21). '당신은 홍해 기적 사건을 일으키신 바로 그 전능자가 아니십니까?'라고 묻고 있지만 이것은 바로 하나님에 대한 전적 신뢰의 질문이다.

=====51:11
그 머리 위에 영영한 기쁨을 쓰고 - 1차적으로는 넓게 펼쳐진 광야를 지나 바벨론으로부터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는 귀환민들에게 찬양과 감격이 가득할 것을 서술한 것이다. 한편 본절이 9,10절의 애가적 성격과 어울리지 않는다하여 본절의 화자(話者)를 하나님으로 보려는 시도도 있으나, 원문상 9-11절과 12-16절은 서술 시점 및 사용된 인칭에 있어 분명한 구별성을 보이고 있다.

=====51:12
나여늘 나여늘( , 아노키 아노키) - 보기 드물게, '아노키'가 두 번 사용되었는데 참위로자, 구원자는 하나님뿐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이것은 계속 반복되는 구원의 확실성에 대한 언급에도 불구하고 두려워하고 슬퍼하는 그의 백성에 대한 답답한 심정의 표출이기도 하다.

=====51:13
너를 멸하려고 예비하는 - 원문 직역은 '너를 멸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는'이다. 준비가 되어 있다는 말은 표적을 정하고 활시위를 뒤로 잡아당긴 상태를 가리킨다고도 볼 수 있다(시 7:13;11:2;21:12, Maurer). 사실 이와 같은 상태 속에 있다면 두려워떨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본절은 그와 같은 상태 속에 있더라도, 우주 안에 되어지는 모든 일을 주관하시는 창조주 하나님을 의지한다면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 사람과 하나님 중에 누구를 더 의지할 것인가는 그리스도인이 세상을 살아가며 날마다 부딪혀야 하는 심각한 질문이다.

=====51:14
결박된 포로가 속히 놓일 것이니 - 여기 '결박된 포로'( , 초에)의 문자적인 뜻은 '한 쪽으로 치우친 것' 혹은 '기운 것'으로 담은 액체를 쏟기 위해 기울인 그릇 따위를 연상케 한다(헴 48:12). 그렇다면 이것은 포로로서 그 헐리를 구부린 모습으로 바벨론으로 끌려간 이스라엘 백성들에 대한 회화적 표현이라 보면 적절하다. 이제 그 포로 상태에서 속히 놓인다면 본절의 시점은 포로 시대 말기 쯤이 될 것이다. 이 표현을 오랫동안 고난을 당하지만 결국에는 승리할 신약 교회에 대한 상징적 표현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Fausset).

=====51:15
바다를 저어서 그 물결고 흉용케 하는 자 - 원문 직역은 '그 물결이 뛰는 바다를 나눈자'이다. '꾸짖어 뛰는 파도를 잠잠케 한 자'로 번역하는 역본도 있다. 이 같은 번역들을 종합할때 본 구절은 파도도 주관하시는 하나님께서 흉용한 바다를 명령하셔서 잔잔케 하시고 둘로 나누어 그 사이에 길을 내심으로 이스라엘로 무사히 건너게 하셨던 홍해 도보 사건을 암시하는 것이 분명하다.

=====51:16
내가 내 말을 네 입에 두고 - 이 구절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본문이 세 번째 종의 노래를 번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중시할 때(49:2), 이는 본서에서 줄곧 암시하고 있는 '하나님의 종'을 통한 신기원적인 구원 사역을 가리킨다고 추측할 수 있다(49:2;50:4,5;59:21;신 18:18;요 3:34, G.W. Grogan).

=====51:17
분노의 잔을 마신 예루살렘 - 당시 바벨론의 포로로 생활하고 있던 이스라엘의 상태를 분노의 잔을 마신 자에 빗대어 묘사하고 있다. 하나님의 진노로 가득 담긴 잔을 마신 자는 전적으로 파멸당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비유는 그리스도에 대속적 죽음과 관련해서도 사용된바 있다(막 10:38). 한편 9절에서 사용된 '히트오레리'( ) 곧 '깰지어다'가 여기서도 두 번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1차적으로 진정 깨어나야 할 존재는 하나님이 아니라 이스라엘이라는 사실을 암시하기 위함인 것 같다. 그러나 한 걸음 더 나아가서는 이스라엘이 포로에서 회복될 것을 강력히 암시하고 있다.

=====51:18
이스라엘 백성 중에는 포로 상태의 이스라엘을 회복할 존재가 없다고 밝히고 있다. 실제로 바벨론으로부터의 귀환은 바사 왕 고레스의 개입에 의해 실현되었다. 아울러 본문은 영적 이스라엘이 이 세상에 속하지 않은 신적 존재 곧 메시야를 통해 회복될 것이라는 사실을 암시한다.

=====51:19
이 두가지 일 - 정확히는 '이 두 가지일들'이다. 말하자면 두 쌍, 곧 네 가지 일들을 가리키는데, 먼저 한 쌍은 땅의 관점에서 본 것으로 황폐와 멸망이며 또 다른 한 쌍은 사람의 관점에서 본 것으로 기근과 칼, 곧 전쟁이다. 한편, 이를 내적 사건과 외적 사건으로 구분하는 견해(Aben Ezra, Kimchi), 혹은 기근으로 인한 황폐 그리고 전쟁으로 인한 멸망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Clark).

=====51:20
그물에 걸린 영양같이 온 거리 모퉁이에 누웠으니 - 여기 '모퉁이'( , 로쉬)란 그 문자적인 뜻이 '머리', '꼭대기'인데 거리의 '머리'(꼭대기)란 당시 한 도시의 모든 거리와 도로의 출발점이자 중심지였던 성문을 가리킨다. 당시 성문은 밤이 되면 폐쇄되었는데 문 안으로 들어오고자 했던 자로서 밤이 되어 그 문이 폐쇄되면 그 문 앞에 모여 밤을 지새울 수밖에 없었다. 바로 그 모습 곧 여럿이 성문 앞에 모여있는 모습을 저자는 그물에 걸린 영양떼에 비유하고 있다. 어쩔 도리없이 그 발이 묶인 나그네와 같이 이스라엘은 바벨론의 포로로 잡혀 있다.

=====51:21
포도주가 아니라도 취한 자 - '포도주 없이 취한 자'이다. 포도주 때문이 아니라 외적의 침입으로 비틀거리고 쓰러진 이스라엘의 형편을 지적으로 표현이다(29:9;애 3:15).

=====51:22
너로 다시는 마시지 않게 하고 - 문자 그대로는, 다시는 바벨론 포로와 같은 시련과 재난을 허락지 않겠다는 약속이다. 그러나 문자 그대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예루살렘은 바벨론 포로로부터의 귀환 후에도 로마의 침공으로 동일한 시련과 재난을 당하였기 때문이다. 이 약속은 종말론적인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제 경건한 참이스라엘 백성, 곧 남은자들은 세상에서는 시련과 재난을 겪으나 결국 하나님 나라에 가서는 결코 동일한 고통을 겪지 않고 살게 될 것이다.

=====51:23
그들의 앞에 ... 하였느니라 - 정복자가 피정복자를 잔혹하게 대하였던 사실에 대한 생생한 묘사이다. 정복자들이 문자 그대로 그 피정복 국가 왕의 목을 밟았던 관습은 성경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수 10:24;66:11,12).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공지 호크마 주석과 강해
489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22장
488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23장
487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24장
486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25장
485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26장
484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27장
483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28장
482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29장
481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0장
480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1장
479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2장
478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3장
477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4장
476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5장
475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6장
474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7장
473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8장
472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39장
471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0장
470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1장
469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2장
468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3장
467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4장
466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5장
465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6장
464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7장
463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8장
462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49장
461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0장
»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1장
459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2장
458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3장
457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4장
456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5장
455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6장
454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7장
453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8장
452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59장
451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60장
450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61장
449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62장
448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63장
447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64장
446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65장
445 이사야 호크마 주석, 이사야 66장
444 예레미야 호크마 주석, 예레미야 01장
443 예레미야 호크마 주석, 예레미야 02장
442 예레미야 호크마 주석, 예레미야 03장
441 예레미야 호크마 주석, 예레미야 04장
440 예레미야 호크마 주석, 예레미야 05장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4 Next
/ 24

All the Bibles, Commentaries and Dictionaries here have their own rights.
All rights are reserved for them, not for us. Thanks! Praise our great God, Christ Jesus!

HANGL Lingua Franca 한글 링구아 프랑카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