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고하여 - 이스라엘 백성의 최고 종교 지도자인 대제사장 아론이 이스라엘의 중재적 입법자인 모세와 더불어 여호와의 명령을 받는 장면이다. 특히 여기서 아론은 정결 의식법에 관한 율법의 준수 여부를 감독, 교육할 책임을진 제사장의 자격으로서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있는 것이다.
=========================11:2
짐승 중...먹을 만한 생물 - 이 생물들은 곧 3절에 제시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짐승들을 가리킨다. 그 조건은 (1) 굽이 갈라져 쪽발이 된 것 (2) 새김질을 하는 것등두 가지인데, 이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짐승으로는 소, 양, 염소, 사슴, 노루 등을 들 수 있다(신 14:4, 5). 그런데 이 짐승들은 모두 풀을 먹고 사는 깨끗한 짐승들로, 다른 것들에게 해(害)를 끼치지 않는 조용하고 평화스러운 짐승들이다. 한편, 본래 창조 계약시 하나님께서는 땅의 식물들은 인간의 양식으로 허락하셨으나 동물들은허락치 않으셨다(창 1:29). 그러다가 노아 홍수가 끝나고 노아와 그 아들들에게 새로운 계약을 세우실 때 비로소 동물의 고기를 먹어도 좋다고 허락하셨다(창 9:3).
===========================11:3
굽이 갈라져 폭발이 되고 새김질하는 것 - 정결한 짐승으로 구분되어, 그 고기를먹을수 있는 짐승의 2대 조건이 제시되어 있다. (1) 굽이 갈라져 쪽발이 된 짐승-원어적으로 '굽'은 '찢다', '나누다'란 뜻의 '파라스'( )에서 파생된 말로 굽이 완전히 둘로 나뉘어져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한편 여기서 굽이 갈라진 것은 상징적으로성도가 세상에서 구별된 삶을 살아야 하는 사실을 암시한다(Matthew Henry). (2) 새김질하는 짐승- '새김질'은 한번 먹은 음식을 다시 토해 내며 되씹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초식 동물 가운데 새김질을 하는 동물이 많은데 이러한 동물들은 모두 풀을먹고 사는 깨끗한 짐승들로 다른 짐승에게 해(害)를 끼치지 않는 평화스러운 짐승들이다. 한편 여기서 새김질을 하는 행위는 상징적으로 성도가 주님의 말씀을 늘 묵상함으로써 영적으로 소화시키는 사실을 암시한다(Matthew Henry). 여하튼 이 두 가지 조건중 어느 하나라도 부족한 짐승은 먹을수 없었는데,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의 절대 순결성과 그 명령의 엄정성을 새삼 느낄수 있다.
===========================11:4
약대 - 낙타(camel)를 가리킨다. 낙타는 새김질은 하되 굽이 완전히 갈라지지 않아네 발의 발바닥으로 걸어 다닌다. 부정하고 - 이말의 기본 동사 '타메'( )는 특히 신성하고 거룩한 것을 '더럽히다', '모독하다'는 뜻으로 단순히 깨끗치 않다는 수동적 의미 보다는, 그로 인해깨끗한 율법 관계가 더럽혀 진다는 능동적 의미가 강한 말이다. 한편 당시의 정결법상부정하다고 식용이 금지된 짐승은 실제로 건강상, 위생상으로도 별로 좋지 않다는 것이 오늘날의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이다.
==========================11:5
사반 - 사반(coney, KJV;rock badger, RSV)은 히브리어 '솨판'( )의 음역이다. 시 104:18에는 '너구리'로 번역되어 있다. 혹자는 이를 박쥐의 일종으로도 보나신빙성이 없다. 오히려 이 짐승은 떼를 지어 사는 토끼와 비슷한 초식 동물로 시내 반도, 북 팔레스틴, 사해부근의 자연 동굴이나 바위틈에서 산다. 그리고 아랍인들은 이짐승을 잡아 먹기도 한다(Keil & Delitzsch, op. cit., p.360).
============================11:6
토끼도 새김질은 하되 - 토끼(hare, KJV; rabbit, NIV)는 실제로 새김질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토끼는 입을 계속적으로 오물오물 움직이고 있어 새김질하는 모습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본절은 그 직관상 토끼를 새김질하는 짐승으로 분류하고 있다.
============================11:7
돼지는...부정하니 - 이 돼지(swine, KJV;pig, NIV)는 굽은 갈라져 있으나 새김질을 못한다. 고대 근동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돼지고기 먹는 것을 극히 꺼려 했는데그것은 돼지가 외형상 매우 불결했기 때문이다(keil). 그리고 사실 생태학적으로 볼때도 돼지 고기는 부패하기 쉬우며, 그 자체 내에 포함된 독성과 고도한 지방질로 인하여 음식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청된다.
================================11:8
그 주검도 만지지 말라 - 식용을 위해 부정한 짐승을 죽이는 것은 물론 그 죽은 시체를 만지는 것도 엄히 금지되었다. 나아가 비록 정한짐승이라 할지라도 그 죽은 시체는 부정한 것으로 취급되었는데, 이것은 '죽음은 죄의 결과'라는 성경의 독특한 사상을 반영한 것이다. 따라서 선민(選民)으로 구별된 이스라엘 백성들은 죄 뿐만 아니라죄의 결과로 파생된 모든 것들까지도 삼가 접촉을 피해야만 했다. 왜냐하면 그 모든것들은 하나님의 절대 거룩성에 위배되기 때문이었다.
=============================11:9
지느러미와 비늘 있는 것 - 물 속에 사는 어류의 정 . 부정을 가르는 2대 기준이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다. 그 2대 기준은 (1) 지느러미가 있는 것과 (2) 비늘이 있는것이다. 이 중 어느 한 가지 조건이라도 결(缺)한 것은 부정한 것으로 취급되어 먹을수 없었는데, 그 실례로는 뱀장어류, 조개 등의 갑각류를 들 수있다.
=============================11:10
물에서 동(動)하는 것 - 여기서 '동하는 것'에 해당하는 기본형 '솨라츠'( )는 '떼짓다', '꿈틀거리다'란 뜻으로서, 곧 물 속에서 움직이며 사는 것을 총칭하는말이다. 한편 구약에서는 물고기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곳은 한군데도 없는데,이것은 당시대 언어의 한계를 보여 주는 동시에 그 당시 어업이 성행하지 않았다는 단적인 증거가 된다. 또한 역사적으로 볼 때 히브리인들은 어업에 종사하는 것을 매우천하게 여겼는데, 이런 관점에서 볼때 예수의 제자 중 다수가 어부였다는 사실은 우리들에게 깊은 의미를 준다. 지느러미와 비늘없는 것 - 곧 뱀장어류와 갑각류(甲殼類), 그리고 가재류 및 연체동물(軟體動物)등이 이에 속하는데 이것들은 어류 중 가증한 것으로 취급되어 먹을 수없었다.
===============================11:11
가증한 것이니 - '가증하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솨카츠'( )는 '불결하다'(be filthy), '속이 메스꺼워지다'(loathe), '오염되다'(pollute)란 뜻이다. 따라서'가증한 것'은 온갖 더러운 것으로 오염되어 속이 메스꺼울 정도로 불결한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이것은 절대 순수하고, 깨끗하며, 거룩한 하나님의 성결성과는 반대되는것으로서 마땅히 배척되어야 했다. 그 주검을 가증히 여기라 - 부정한 생물의 시체를 가까이 하거나 혹은 그것에 접촉함으로 자신을 더럽히지 말라는 의미이다. 이처럼 죽음에 관련된 여러 물체 또는 행위를 부정(不淨)하게 여긴 것은 죽음 자체가 창조시의 참모습이 아니라 범죄의 결과로파생되었기 때문이다(창 2:17; 롬 6:23). 이처럼 주검을 종교적으로 부정시 하는 것은 다른 일반 종교들과 비교해 볼 때 구약의 매우 독특한 사상이다.
==============================11:13
독수리( , 네쉐르) - 모든 종류의 독수리를 통칭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독수리는 죽은 시체를 건드리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실제로는 신선하고 변질되지않은 시체의 고기는 먹는다(Keil Delitzsch. op. cit., p.361). 성경에서도 독수리가시체를 먹는다고 하는 표현이 여러 곳에 나타난다(욥 39:30;마 24:28). 어응 - 부리 밑에 깃털이 많은 새로서 바다독수리(osprey)의 일종이다.
=========================11:14
매와 매 종류 - 날카로운 눈과 쾌속한 비행(飛行)으로 잘 알려진 육식(肉食)의 새를 통칭하는 말로서, 콘돌(condor, 독수리)의 다른 종류로 보기도 한다. 영어 성경(KJV)에는 맹금 독수리(vulture)로 번역되어 있다.
================================11:15
까마귀 종류 - '까마귀'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오렙'( )은 일반 까마귀와먹이를 찾아 이동하는 굶주린 갈가마귀(raven)를 모두 포함하는 말이다. 이 까마귀는팔레스틴지역의 토착 조류이다(Keil & Delitzsch).
===========================11:16
타조 - 타조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바트 하야아나'( )는 '비명의 딸'(daughter of screaming)이란 뜻으로(Bochart), 흔히 사막에 사는 새(사 13:21;34:13)나 비통한 비명을 지르는 새(욥39:24;미1:8)로 성경에 자주 언급된다. 한편, 영어 성경(KJV, NIV)에서는 이를 올빼미(owl)로 번역하고 있다. 다호마스( , 타호마스) - 히브리어의 우리말 음역으로 학자들에 따라서수타조(a male ostrich)로 보기도 하고(Bochart, Gesenius 등), 올빼미(owl)로 보기도하며(LXX, Vulgate), 때로는 제비(swallow)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어 성경은(KJV, RSV, Living Bible) 밤매로 번역하고 있다. 여하튼 이 새는 매의 일종인 것같다. 새매 종류 - '새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네츠 ( )는 '날다', '높이 솟다'는뜻의 '나차츠'( )에서 파생된 말로, 앞에서 이미 언급된 여러 육식 조류 외에비교적 그 크기가 작은 모든 종류의 맹금(猛禽)류를 일컫는 것 같다.
================================11:17
타조 - 타조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바트 하야아나'( )는 '비명의 딸'(daughter of screaming)이란 뜻으로(Bochart), 흔히 사막에 사는 새(사 13:21;34:13)나 비통한 비명을 지르는 새(욥39:24;미1:8)로 성경에 자주 언급된다. 한편, 영어 성경(KJV, NIV)에서는 이를 올빼미(owl)로 번역하고 있다. 다호마스( , 타호마스) - 히브리어의 우리말 음역으로 학자들에 따라서수타조(a male ostrich)로 보기도 하고(Bochart, Gesenius 등), 올빼미(owl)로 보기도하며(LXX, Vulgate), 때로는 제비(swallow)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어 성경은(KJV, RSV, Living Bible) 밤매로 번역하고 있다. 여하튼 이 새는 매의 일종인 것같다. 새매 종류 - '새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네츠 ( )는 '날다', '높이 솟다'는뜻의 '나차츠'( )에서 파생된 말로, 앞에서 이미 언급된 여러 육식 조류 외에비교적 그 크기가 작은 모든 종류의 맹금(猛禽)류를 일컫는 것 같다.
=================================11:18
따오기 - 주로 연못이나 강, 늪지 등 습한 곳에서 사는데, 뜸부기과의 일종으로 추정된다. 당아 - 펠리칸(pelican)으로 불리우는 새로(LXX), 황폐한 곳(사 34:11;습 2:14) 이나 광야(시 102:7)에서 주로 산다(Keil). 올응 - 히브리어로 '라함'( )의 번역인데, 70인역(LXX)은 이것을 '백조'(swan)로 번역했고, 벌겟역(Vulgate)은 이것을 '고기 왜가리'(fish-he-ron)로 번역했다. 여하튼 고대의 분류를 따르면, 이 새는 독수리과의 일종으로 늪지에 살면서 썩은고기와 찌꺼기 등을 먹고 산다(Keil).
=================================11:19
학 - 황새(stork)를 가리키는데, 성경 다른 곳에서는 '공중의 학'(the stork in t-he sky, NIV)이라고 나와 있다(렘 8:7). 이 새는 높은 망대나 지붕, 나무 위에 둥지를틀고 산다(Keil & Delitzsch, Bochart). 황새종류 - 해오라기(heron-KJV, NIV, RSV)를 가리킨다. 고대 근동지역에는 해오라기 새의 종류가 아주 많기 때문에 여기서는 '황새'라 하지 않고 '황새 종류'라고 언급했다. 대승 - 일반적으로 '오디새'(hoopoe-NIV, RSV, LB)를 가리킨다. 그러나 KJV에서는이것을 댕기물떼새(lapwing)로 번역하고 있다. 이 새는 우아한 외모와는 달리 벌레나곤충들을 찾아 주로 늪지대를 헤집고 다니며, 또한 더러운 오물이나 찌꺼기 등에 둥지를 틀고 살기 때문에 고약한 냄새가 난다(Keil & Delitzsch, op.cit., p. 365). 박쥐 - 오늘날 박쥐는 포유 동물 중에서 익수목(瀷手目)에 속하나 고대 근동 지역에서는 새의 일종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
==========================11:20
네 발로 기어 다니는 곤충 - 곤충중에서 기어 다니는 것은 가증하게 여겨졌다. 왜냐하면 일단 기는 것들은 뱀과 연류(連類)되어 부정하고 사단적인 것으로 간주되었기때문이다(Matthew Henry).
==============================11:21
발에 뛰는 다리가 있어서...뛰는것 - 곤충들 가운데서 뛰는 다리가 있어 높이 뛰어오를 수 있는 곤충은 정(淨)한 것으로 취급 되어 먹을 수 있었다. 그 이유인즉, 긴 다리가 있어 뛰는 곤충들은 기는 것들과 달리 뱀의 부정하고 사단적인 요소들을 극복한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한 곤충으로는 메뚜기, 베짱이, 귀뚜라미, 팟종이, 푸른 방아깨비 등을 들 수 있다.
=========================11:22
곤충 가운데서 정한 것으로 취급되어 먹을 수 있는 것들이 구체적으로 열거되어있다. 메뚜기 - 이 메뚜기(locust-KJV, RSV, NIV)류는 주로 떼를 지어 다니며 식욕이 왕성하여 수목이나 초지 등을 황폐화 시키기 때문에,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그리고 재앙의 도구로 흔히 언급된다(욜 1:4-7;출10:4-15). 베짱이 - 원어는 '살암'( )인데 성경 다른 곳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따라서 고대 역본들에 근거하여 추정하면, 이것은 의심할 나위없이 일반 메뚜기류보다몸집이 크고, 특이하게 식욕이 왕성한 메뚜기류를 가리킨다(Targums, Talmud, Keil &Delitzsch, op. cit., p. 367). 한편 영어 성경 RSV와 Living Bible은 '머리가 밋밋한메뚜기'(bald locust)로 번역하였다. 귀뚜라미 - 날개가 없고 뛰는 두 다리를 가진 메뚜기의 일종으로 고대 근동 지역에매우 흔했다(LXX, Vulgate). 귀뚜라미는 성경에서 날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먹을 수있는 것으로 취급된 점이 독특하다.
팟종이 - 원어는 '하가브'( )로서 민 13:33 및 대하 7:13에서도 사용되고있으나, 원어적으로 무엇을 가리키는지는 확실치 않다. 아마 일반 메뚜기류보다 작은몸집에, 날개가 없는 일종의 특이한 종류의 메뚜기인 것 같다(Keil Delitzsch,lbid). 그러나 영어 성경은 모두 방아깨비(grasshopper)로 번역하고 있다.
=========================11:24
이런 유(類)는 - 땅 위의 짐승과 어류와 새 및 곤충류 가운데서 부정하여 먹을 수없는 것들을 총칭하는 말이다. 주검을 만지면 - 부정한 짐승은 그 짐승이 살아 있을 경우에도 그것을 만지거나 먹는 것은 부정한 것으로 취급되어 금지되었다. 하물며 죽음을 죄의 결과라고 생각하여시체를 부정하게 여기던 당시 세계에서 부정한 짐승의 시체와 접촉하는 것은 가증한것에 가증한 행위가 더하여 더더욱 부정할 일로 간주되어 반드시 정결 의식을 행해야했다.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며 - 부정한 자가 정결케 되기 위한 시간적 제한은 부정의 정도 및 경중(輕重)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정결케되기 위한 최소의 기간은 부정케된 그 날의 저녁 때 까지이며, 심한 부정을 저질렀을 경우는 더 오랜 기간이 지나야정결케 될 수 있었다(15:13).
===================================11:25
옷을 빨지니 - 부정을 당한 자가 옷을 빠는 것은 정결케 되기 위한 전제 조건이었다. 이것은 온갖 불결한 것들로부터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위생학적인 측면도 있지만,종교 의식상 부정으로부터의 완전한 회복을 공식 선포하는 효과를 지닌다. 한편 이것은 성도가 마음 속에 있는 죄나 의심받는 죄 조차도 철저히 회개해야 할 것을 암시해준다.
=============================11:26
쪽발이 아닌 것이나 새김질 아니하는 것 - 땅 위를 걸어 다니는 동물 가운데서 부정하여 먹을 수 없는 짐승에 대한 반복 언급이다(2-8절). 정결한 짐승은 (1) 굽이 갈라져 있을 것, (2) 새김질 할 것 등 2대 조건을 모두 갖추어야 했는데 이 중 어느 하나라도 결(缺)한 것은 부정한 짐승으로 간주되었다. 특히 부정한 짐승의 시체는 더욱부정한 것으로 간주되어 접촉하는 것이 엄격히 금지되었으며, 어쩔 수 없이 접촉하여부정을 입은 경우는 그날 저녁까지 부정하며, 옷을 물에 빠는 등 정결 의식을, 반드시행해야 했다.
==========================11:27
발바닥으로 다니는 것 - 이러한 짐승들은 곧 개, 고양이, 곰, 호랑이, 사자, 늑대등의 짐승을 가리킨다. 이러한 짐승이 부정한 것으로 간주된 까닭은 (1) 굽이 갈라져있지 않으며 (2) 대개 사나운 육식 동물들로 피흘리기를 좋아하며 (3) 때로는 자기 신체의 일부를 직접 땅에 밀착시켜 다니기 때문인 듯하다. 성경에서 땅은 영적인 것, 신령한 것, 하늘의 것과 대치되는 '세속적인 것' 의 상징으로 많이 쓰였다(골 3:2, 5).
=========================11:28
주검을 옮기는 자 - 부정한 짐승으로 분류된 짐승의 주검을 단순히 접촉만 한 자는단지 물로써 손이나 몸 등 그 닿은 부위를 중심으로 깨끗이 씻으면 되었다. 그러나 그 부정한 짐승의 주검을 옮긴 자는 몸은 물론 옷까지 깨끗이 빨아야 했다. 이들 모두 그날 저녁까지 부정했으므로 그 부정의 기간은 같았으나, 이처럼 부정의 감염 정도에 따라 정결 의식의 절차는 보다 간단하기도 했고, 보다 복잡하기도했다.
===========================11:29
땅에...기는 것 - 여기서 '기는 것'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쉐레츠'( )는'기다' , '증가하다'는 뜻의 '솨라츠'에서 파생된 말로 본래는 수중의 작은 동물들가운데서 기는 동물, 곧 파충류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여기서는 땅에기어 다니는 동물을 총칭한 말이다. 쪽제비 - 공동 번역과 Living Bible은 이 짐승을 '두더지'(mole)로 번역했으나, 실은 팔레스틴과 수리아 지역 도처에서 쉽사리 발견되는 '쪽제비'(weadel-KJV, NIV,RSV)를 가리킨다. 쥐 - 들판에서 땅에 구멍을 파고 사는 야생들쥐를 가리키는데(삼상 6:5), 이것은농작물에 해를 끼침으로 '밭의 골치거리'였다(Keil & Delitzsch, p. 368). 도마뱀 종류 - 이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조그마한 도마뱀이 아니라,시리아에서 주로 사는 큰 도마뱀을 가리킨다. 길이가 보통 50-60cm가량 되는 것이 보통인데 어떤 것은 1m가 넘는 것도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영어 성경은 이것을 '큰 도마뱀'(great lizard-NIV, RSV, LB)으로 번역하고 있다.
=============================11:30
합개 - 도마뱀의 일종인 도마뱀 붙이(gecko)를 가리킨다. 이것은 푸르스름하고 꼬리가 새파란데, 밤에는 개구리 울음 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낸다(Rosenmuller). 육지 악어 - 크노벨(Knobel)은 이것을 개구리(frog)라고 보고있고, 70인역(LXX)과KJV는 이를 카멜레온(chameleon)으로 번역했으나 실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고대 근동지역의 오래된 담벽에서 종종 발견되어지는 일종의 도마뱀(lizard)이다. 수궁 - 혹자는 이것을 거북이(tortoise)로도 보고(Knobel), 어떤 영역본은 이것을달팽이(snail)로도 번역했으나(KJV), 오히려 이것은 도룡뇽 비숫한 야행성(夜行性) 도마뱀류의 일종인 것 같다(Leyrer, Keil Delitzsch, p. 369). 사막 도마뱀 - 가장 일반적인 도마뱀을 가리키는레, 다리와 꼬리가 아주 짧은 것이특징이다. 칠면석척 - KJV에서는 두더지(mole)로 번역되어 있으나, 이것은 카멜레온(chameleon)을 가리킨다(Keil). 이것은 일반적으로 밀림 속에서 많이 사는 파충류로 길이는 보통 30cm 정도이다. 특히 이 동물은 보호색을 지니고 있어 주위 색깔과 온도에 따라 몸색깔을 달리한다.
===============================11:31
기는 것 중 이것들은 네게 부정하니 - 이 문장은 기어다니는 모든 짐승 중에서 꼭29, 30절에서 상기한 여덟가지 짐승(쪽제비, 쥐, 도마뱀, 합개, 육지 악어, 수궁, 사막 도마뱀, 칠면석척)만 부정하다는 뜻은 아니다. 단지 여기서 이 8가지 짐승이 특별히 강조되어 언급된 것은 이것들이 사람이 사는 주거지 근처에 많이 살고 있어, 이 짐승들의 시체가 여러 가재 도구에 접촉될 기회가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절은 모든기는 것들이 다 부정하지만, 특히 이것들은 사람에게 부정을 옮기기 쉬우니 더욱 조심하라는 뜻으로 이러한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11:32
주검이...떨어지면...물에 담그라 - 기는 것들의 시체와 접촉된 것은 무엇이든지다 부정하였다. 따라서 부정한 것들과 접촉된 가재도구는 발견되는 즉시 물에 담그고저녁 때까지 그대로 두어야 했다. 저녁 때가 되면 그 가재 도구는 정하게 되어 물에서건져 낼 수 있었다. 한편 여기서 부정을 제거하는 '물'은 온갖 죄와 부정으로부터 성도들을 구원하는 하늘의 생명수 곧 그리스도의 복음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요4:10;계22:17). 또한 이것은 신약시대의 성도들이 중생의 표식(標識)으로 받는 세례를 암시하기도 한다.
==============================11:33
질그릇에 떨어지면...깨뜨리라 - 만일 질그릇에 기는 것의 시체가 접촉되어 부정을입으면 그 질그릇 자체의 흡수성으로 인해 그 부정이 그릇에 스며들기 때문에 물로 씻어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그러므로 질그릇이 부정을 입었을 경우는 그것을 깨뜨려버렸다. 그리고 만약 그 질그릇 안에 어떤 물건이 담겨 있었다면, 그 물건도 부정하게되어 사용할 수 없었다(Keil). 참고로 6:4 주석을 보라.
==============================11:34
축축한 식물 - 여기서 '축축한'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마임'( )은 '물'(Water)을 의미한다. 따라서 축축한 식물은 음식물에 물이 섞여 있는 상태, 즉 국물이 있는 음식을 가리킨다. 한편 물이 있는 음식에 시체가 떨어지면 그 음식과 그릇은부정하게 되지만, 마른음식에 시체가 떨어지면 부정을 입지 않았다. 아마 이러한 규례의 제정 속에는 영적인 거룩의 의미 외에도, 실제적으로 열대나 아열대 기후의 풍토속에서 음식물이나 오염된 용기를 통해 전염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코자 하는 위생학적인 요소(hygienic fators)가 분명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R. K. Harrison, TyndaleOld Testament Commentaries, Vol, . p. 131).
=============================11:35
화덕이든지 질탕관이든지 - 여기서 '화덕'은 빵이나 기타 음식물을 만들기 위해 그안에 불을 피울 수 있도록 만든 큰 흙 그릇을 가리킨다. 그리고 '질탕관'은 흙으로 만든 단지(jar) 모양의 그릇을 가리킨다. 팔레스틴 지역에서 사용하던 단지는 보통 가운데 칸막이가 있어 두 부분으로 구분되며 대부분 뚜껑이 있어 덮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흙으로 만든 그릇들은 유기 그릇과는 달리 그 흡인성(吸引性)로 인해 부정이 그릇자체에 베어들기 때문에 그 그릇을 모두 깨뜨려 버림으로써 부정을 제거할 수 있었다.
==========================11:36
샘물이나 방축물 웅덩이 - 여기서 방축물은 곧 저수지, 뚝 등에 갇혀 있는 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솟아나는 우물물이나 뚝 등에 갇혀있는 방축물은 비록 부정한 짐승의시체가 떨어진 경우에도 그 물들이 부정하게 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1) 물의 양이많아 떨어질 가능성도 클 뿐만 아니라, 샘이나 저수지의 물은 대개 식수(食水)로 사용되기 때문에 부정한 시체와의 접촉으로 인해 그 물들이 모두 부정케되면 생활에 심각한 타격을 주기 때문이다(Lange). (2) 샘이나 저수지의 물은 양도 많을 뿐 아니라, 계속해서 이동함으로 말미암아 스스로 부정을 제거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다(Keil, Harrison). 한편 여기서 우리는 여러가지 율법적 제한과 정결 규례의 제정가운데서도 언약의 백성을 향한 깊은 배려의 사랑을 잊지 않으시는 하나님의 자비와긍휼의 손길을 느낄 수 있다. 주검에 다닥치는 것만 부정하여질 것이요 - 부정한 짐승의 시체에 접촉된 것은 모두 부정하게 되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즉 샘물이나 저수지, 뚝 등의 방축물, 땅에심겨질 씨앗, 그리고 마른 음식물은 부정한 짐승의 시체에 접촉되어도 부정을 입지 않았다. 아마 이러한 분류 기준은 침투성(浸透性)의 유무 및 이동성(移動性)의 유무에따라 구별되어진 것 같다. 그리고 이러한 분류의 목적에는 영적 교훈의 의미와 아울러위생적 보건의 의미도 담고 있는 듯하다.
=========================11:37
주검( , 네벨라) - '사그라들다'(wilt), '무(無)가 되다'(come to nought), '무너지다'(fail away), '실패하다'(fail) 등의 뜻을 가진 기본 동사 '나벨'( )로부터 파생된 말로 곧 죽음의 상태나 그 결과인 시체(carcase)를 의미한다. 심을 종자 - 땅에 심을 씨앗 위에 부정한 동물의 시체가 떨어질지라도 그 씨앗은부정을 입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 종자(種子)는 곧 땅에 심겨져 썩음으로써 부정이 땅에 흡수되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단 이때의 씨앗은 물에 불려지지 않은 '마른종자'(dry seed)라야만 했다.
=================================11:38
종자에 물을 더할 때...부정하리라 - 그러나 만일 물에 젖거나 불려진 씨앗에 부정한 동물의 시체가 떨어질 때 그 씨앗은 부정케 되었다. 왜냐하면 부정한 짐승의 시체로 말미암아 부정케 된 물이 그 씨앗 속으로 침투했기 때문이다.
===========================11:39
먹을 만할 짐승이 죽은 때에 - 정결하여 먹을 수 있는 짐승이 자연사(自然死)한 경우에 대한 정결 규례이다. 즉 먹을 수 있는 정결한 짐승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자연적으로 죽은 경우, 그 시체는 부정한 것으로 간주되어 다른 사람에게 부정을 입혔다. 따라서 부정한 짐승 뿐만 아니라 정결한 짐승이라 할지라도, 그 시체는 모두 부정하므로그 시체에 접촉된 자는 반드시 정결 의식을 집행해야 했으며 그날 저녁때까지 부정하였다.
==============================11:40
자연사한 정결한 짐승의 고기를 먹거나 그 시체를 옮겼을 경우에 관한 정결 규례이다. 이 경우 부정을 입은 자는 그 옷을 빨아야 했는데, 이것은 부정한 짐승의 시체에접촉했을 때의 정결 규례와 똑같다(24-28절).
===============================11:41
모든 기는 것은 가증한즉 - 이처럼 기는 짐승이 모두 가증한 것은 그것들은 뱀과연류되어 있어 성경의 의미상 사단적인 요소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11:42
배로 밀어 다니는 것 - 일반적으로 뱀 종류와 지렁이 같은 벌레들을 가리킨다. 네 발로 걷는 것 - 악어, 도마뱀 등과 같이 짧은 네 발로 마치 기는 것처럼 걷는짐승을 총칭하는 말이다. 여러 발을 가진 것 - 일반적으로 지네, 전갈, 거미 등 다족류(多足類)를 가리킨다.
==============================11:43
자기로 가증하게 되게 말며 - 원어적으로 '너희는 너희 영혼을 더럽게 만들지 말라'는 뜻이다. 따라서 본절은 외적 부정을 제거하는 각종 정결법에 대한 교훈은 곧 내적이고 영적인 정결의 문제로 연결됨을 잘 보여 준다. 이처럼 외적인 정결 의식을 통하여 영적 정결의 원리를 가르치는 것이 하나님의 구약적 섭리였다. 더럽혀 - 기본형 '타마'( )는 '오염되다'란 뜻인데, 특별히 종교적이고 의식적인 면에서 불결하게 되고, 비천하게 되는 상태를 가리킨다.
===============================11:44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게 하고 - 거룩'( , 코페쉬)은 어원상 '분리' , '구별',이란 뜻으로 모든 죄악되고 부정한 것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는 것을의미한다. 따라서 원래 이 말은 하나님에게만 적용되는 말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본질적으로 죄악과 분리된 절대 거룩하신 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아가 이 말은 하나님께 속하는 모든 물건이나 사람들에게까지 확대 적용되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기 위해 만민 중에서 구별된 이스라엘 백성 역시 반드시 거룩한 백성이 되어야 했다. 구약 시대의 모든 정결법은 바로 이를 위하여 제정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절의 의미는 모든 죄악되고 부정한 것들로부터 자신을 분리시켜 주는 이 정결법을 잘지킴으로써, 외적 정결 상태에서 내적이고 영적인 정결 상태로 승화되어 나아가라는말이다. 한편 신약시대에 와서 '거룩한 자'는 바로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을 믿는성도(聖徒)들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으며, 또한 거룩한 자로 구별되었다는 것은 곧 하나님의 특별하신 은총 안으로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11:45
본절은 앞절(44절)의 내용을 반복 강조한 것으로 정결 의식법 제정의 근거 및 목적을 설명하고 있다. 즉 하나님께서 거룩하신 것처럼 언약의 백성들도 거룩해야만 하는데, 바로 그 거룩함을 얻고 또한 그것을 유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이 정결법을 주셨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정결법을 주신 분은 바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압제로부터 해방하여 출애굽시킨 여호와로, 그들을 영원히 당신의 거룩한 백성으로 삼기 위해 이 법의 준수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애굽으로부터 구출해 낸 이유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시기 위해서였다. 따라서이스라엘이 거룩하신 하나님을 자신들의 하나님으로 삼고 섬기기 위해서는 이스라엘역시 거룩한 공동체가 되어야 했다. 즉 모든 이방적요소와 죄악된 요소로부터 분리되어 구별된 거룩한 하나님의 총회가 되어야 했다. 그래야만 하나님과 이스라엘 간에맺은 거룩한 화평과 친교의 언약이 계속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스라엘은거룩하신 하나님과의 친교를 저해하는 모든 더러운 요소 및 부정한 요소를 개인 및 공동체로부터 철저히 제거시키는 일을 한시도 게을리 말아야 했다.
============================11:46,47
본장의 결론 부분으로 본장에 구체적으로 언급된 동물의 정.부정에 관한 내용을 간략하게 개괄하는 동시에 본장에서 다룬 동물의 종에 대해 소개해 주고 있다.
특주
==========
.김정우 - 정결과 부정의 식물 식사법
==========
<해석사>
1. 이방인들이 가진 만나, 타부, 토템이즘 개념 (W. H. Gispen, W. R. Smith)
1)지지 - 고대 바벨론, 애굽, 힌두교에도 있다. 따라서 구약 이전에도 있었다. - 구약에 있는 다른 타부들 즉 예로서 "시체 접촉"과 "아이 출생"은 다른 이방의 타부와 일치한다. 다른 이방의 사상이 구약에서 채택되고 수정되었으면 왜 이 개념을 배제해야 하겠는가?
2)반박 - 정,부정 개념은 노아 이전부터 있었다(창 7:2)
- 이론 자체가 역사 비평학, 진화론적 종교 발전관에 근거하고 있다.
- 구약의 윤리적, 유일신론을 주술 종교와 다신론으로 바꾸고 있다.
- 토템 종교에서는 거룩한 동물들도 특별한 경우에 먹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스라엘 사람들이 "거룩하다"는 개념을 유일신앙적인 체계 속에서
이해하고 따랐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며, 이방의 타부 개념을 채택하기 보다는
오히려 논쟁을 하고 있는 것이다.
2. 이유를 모름(N. Micklem)
1)지지 - 본문자체가 이유를 명백히 제시하지 않고 있다.
- 학자들의 견해도 일치하지 않고 있다.
- "후킴"이라는 단어가 랍비들에 의해 "해석되지 않은 율법"을 의미한다.
2)반박 - 레위기 저자가 알지도 목하는 것을 인위적으로 명문화 했을 것
같지않다.
- 이 율법들은 성결과 연관이 있으며, 랍비들의 후킴은 잘못이다.
3. 도덕적 영향설 - 이유를 몰라도 순종을 시험하기 위하여 (Stein, S. Dresner,J. H. Hertz, G. Dalman)
1)지지 - 선악을 알게하는 나무와 같다. 모호한 "성결개념"을 제외하고는 본문에 명백한 이유제시가 안됨: 몰라도 순종하는 것인 신앙임
2)반대 - 법을 뒤집어 버리고 반대의 법을 만든다 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낳는다는 논리가 되며, 경건한 자가 이해 못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설명을 제시하지 못한다. 왜 신약이 이 법을 철회했는지 이유를 모른다.
4. 이방인들의 의식과 연관된 동물설 - 이스라엘과 이방종교의 구별 (1과 반대)(Origen, M. Noth)
1)지지 - 돼지는 가나안의 사육동물로 희생제물: 쥐, 뱀, 산토끼는 귀신의 힘을 주술가들이 사용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여김: 말은 태양신에게 바쳐졌다(왕하
23:11): 낙타는 아랍인들의 요리와 제물
- 사 65:4-5, 66:3,17은 이 제사가 가증한 이방인의 것
- 레위기에 있는 다른 계명들은 이방인과 강한 대조를 이룬다(20:23)
- 어미의 우유로 새끼를 삼는 의식(출23:19, 신 14:21).
- 바울의 사상과 유사성(고전8-9): 우상에게 바쳐진 고기를 먹을 수 없는 것은 영적인 올무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 이스라엘은 스폰지처럼 받아들이기도 하나 반박하는 기능도 가짐
2)반박 - 이방의 제물 중 어떤 것은 금지되지 않고 정결한 것으로 여겨짐:황소, 양, 염소는 어디에서나 제물로 사용됨. 애굽에서는 아피스(송아지 신), 이시스 - 하소르(암소신), 시리아에서 고기는 아타르가이스에게 성별된 것이고 모든
시리아인에게 금지되었다. 앗시리아의 원통형 도장에는 고기가 제단에 바쳐져 있는 것을 보여준다.
"성경의 율법에서 돼지 고기가 이방인에게 거룩하기 때문에 먹지 않았다는
일반적인 설명은 정말 웃기는 것이다"(올 브라잇).
5. 영혼영향설 (J. Pedersen)
1) 신비주의자들: 음식이 가슴에 달라 붙어 인간의 좋은 질을 둔화시킨다고 생각
2) 순전한 추측이다. 왜 이 동물들 만이 육욕을 불러 일으키는지? 왜 산양은
사람들을 잔인하게 만들지 않는가? 영혼을 히브리적인 개념 보다는 헬라적
개념으로 이해한다. 아랍 사람들은 동물 고기를 먹어서 더 잔인한가?
6. 병균 반지로(Maimonides, Canon Sell, R. K. Harrison)
1)지지 - 많은 부정한 짐승들이 병균을 지니고 있음은 널리 알려짐: 중세 시대의 유대인들이 흑사병으로부터 많이 보호됨. 하빅 브라민의 종교적 규칙들이 병균 방지 효과를 지니고 있다.
2)반박 - 레위기는 종교법이지 건강법이 아니다. 모세는 율법 수여자이지 보사부 장관이 아니다.
- 레위기의 문맥과 일치하지 않음. 11-15장은 10:8-11을 되돌아 보고
있다.
10:8-11(제사장의 정,부정) 11장은 음식의 정부정, 12장은 해산후
정부정 13,14장은 문둥병의 정부정, 15장은 유출병, 설정의 정부정, 16장은
속죄일의 정부정을 다룬다. 출애굽기 15:26의 질병보호 약속과 식료법이
무관하다.
- 신약의 신자의 몸을 주의 전이라고 하면서도 이 법을 지키라고 하지
않음(마 15;10-20, 막7:15-23,행10:9-23,롬14:14-17, 고전10:31, 엡2:14,
골2:16-23, 딤전4:3, 히9:9-10).
- 히브리어 불결과 정결은 현대의 개념과 박테리아 개념과는 무관하다. - 모든 부정한 동물이 모든 정결한 동물보다 더 유해하다는 결론을
확증하지 못했다.
- 유해한 초목언급은 없다.
7. 심미적 설명: 성결이란 개념은 인간의 느낌, 입맛, 본능적으로 싫어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A. B. Davidsion, K. Wigan)
1) 거룩 개념이 미, 아름다움, 은총을 포함한다. 많은 사람들이 부정한 동물들에 대해 나쁜 감정을 가진다.
2) 금지된 것 중 아름다운 것이 있다(말-욥 38:19-25, 매, 독수리 -26-30)
8. 상징적 윤리적 견해: 깨끗한 동물은 우리 경건생활의 모델(델리취)
1) 실제적으로 경건생활에 도움을 준다. 동물로서 도덕적인 교훈을 준다.
2) 인위적인 풍유적 해석에 근거한다. 또 잠언서는 부정한 것으로 지혜를
가르친다. 개미, 사반, 메뚜기, 도마뱀
9. 취사선택적 방법론 :위의 설명중 어느 것도 만족스럽지 않으므로 취사 선택하는 것이 좋다(Jocz, A. Whilte, N. Snaith)
1) 만약에 율법이 잡다한 의식적 자료에서 선택해 낸 것이라면 정당하다. 또 위의 그 어느 설명도 종합적인 설명을 일관성 있게 제시하지 못하였다.
2) 법이 통일성있게 주어졌다. "성결"이 통일성 있는 개념으로 제시되고 있다.10. 형식적 순결: 성결이란 온전하고 완전한 것이며 사물의 이상적 질서에 대한일치감을 갖는 것이다. 이것은 비정상적인 것이나 혼란스러운 것으로부터 분리된 것(건축양식 같음) (Mary Douglas, J. R. Porter, G. Wenham)
1)지지 - 거룩의 기본개념은 "하나님께 구별한 것"이다. 구별된 것은 "정결함"을 나타내어야 한다. 즉 형식에 있어서 혼란이 있거나 이상적이 아닌 것은 배제되어야 한다.
- 다른 법들도 형식에 있어서 순결을 주장하고 혼합을 금지한다. 제사장은 신체가 온전해야 한다(21:5-6,16-23), 이스라엘은 곡식, 옷, 결혼에서 혼합하지말것(18:23, 19:19, 신 22:2-12), 제물도 최고의 것을 드릴 것(레 1-7). 이상적이 아니거나 사회적으로 혐오감을 불러 일으키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즉 배설물은 진 밖에(신23:9-14, 레12:5). 감염된 것은 모두 부정하다(레14). 해산때의 피흘림도 부정하다(레12).
- 히브리 'tahor'는 "정결한"을 의미한다. 즉 금(출25:11), 향(30:35),
촛대(31:8)도 정결한 것으로 봄.
- 이 해석은 규례 장체에서 나온 것이다.
땅 짐승은 이중적인 기준으로 채식하는 동물 중 가장 순수한 것
새 중에서는 시체 먹는 것이 아닌 것
곤충은 날개와 뛰는 다리를 가진 것을 부정한 것으로 여겼다. 나는
짐승이 네발로 걷는 것은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손도 있고 발도 있는 짐승 금지 - 신약에서는 거룩/정결 개념이 더 이상 이방인들과 동물에게 신체적인
뼈대(그림자)로 주장되지 않고 영적인 것으로 다루어진다.
따라서 이 법은 정결과 거룩의 정도를 보여준다.
- 이방인/ 이스라엘/ 제사장/ 대제사장
- 동물 / 깨끗한 동물/ 제사용 동물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