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2:1-8
본장은 아이를 출산한 산모에 대한 정결 규례이다 - 즉 여인이 자녀를 낳게되면 그여인은 부정을 입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그 산모는 율법이 정하는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 제사장 앞에서 정결 예식을 행함으로써 산후의 부정에서 정결케 될 수 있었다. 유대랍비들의 견해에 따르면, 이러한 정결례는 성별의 구별이 가능한 사산아(死産兒)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고 한다(Matthew Henry).

===========================12:2
남자를 낳으면...칠 일 동안 부정하리니 - 원래 출산(出産) 그 자체는 죄가 아니며죄의 저주도 아니었다. 오히려 그것은 하나님의 창조 명령의 하나로 인류를 향한 최대의 축복이었다(창 1:28). 그러나 아담의 불순종으로 인한 타락 이후 출산에 수반 되는피, 분비물등은 부정한 것으로 간주되었는데, 그 이유인즉 이러한 유출물들은 인간의타락으로 인한 하나님의 심판의 결과였기 때문이다(창 3:16). 이외에도 여인의 출산현상을 부정한 것으로 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여인의 신체가 파괴되고 몸에서 피가 흘러 나오기 때문이다. 즉 피는 생명의 본질로서 신성한 것인데 이것이 신체내부에서 파열되어 몸 밖으로 흐르는 것은 죄의 결과인 죽음을 상징했기 때문이다.(2) 성(性)생활의 결과인 출생과 그와 관련된 산모의 몸 조리 및 위생 문제에 있어서 깨끗한보건(保健)생활을 유지하려는 히브리인들의 교육적, 보건위생적 의도 때문이다. 한편여인이 남아를 출산했을 때는 모두 40일간 부정했는데, 그 중 초기 '7일 동안' 부정하다는 말은 다른 사람과 전혀 접촉할 수 없는 철저한 부정 기간을 가리키며 그 후 33일 동안은 하나님의 성소에 나아갈 수 없는 부정 기간을 의미한다. 경도(經度)할때 - 여기서 '경도'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닛다'( )는 '흐르다', '움직이다'는 뜻의 '나다드'( )에서 파생된 말로 문자적으로는 '흐르는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여성들의 주기적인 생리 현상인 월경(月經)을 가리킨다(15:19-24).

=============================12:3
제 팔 일에는...양피를 벨 것이요 - 아이가 출생한 지 8일째 되는 날에 그 남자아이의 성기 표피를 베어내는 할례(割禮) 의식을 행하라는 규례이다. 이 할례는 일찍이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의 증표(sign)로써 하나님에 의해 제정된 규례였다(창17:12). 그러므로 이 할례(circumcision)는 이스라엘의 성별과 구원이라는 신적 목적을 가진 것으로, 하나님의 백성된 표로써 인간의 부패한 성질과 죄악을 제거시킨다는상징적 의식으로 이스라엘 가운데서 행하여졌다. 한편 성경에서 8이라는 숫자는 주로부활, 재창조등을 상징한다(창 17:12).그러므로 이 날에 할례를 받은 것은 그 아이가하나님의 백성으로 새롭게 태어나 그 공동체 안으로 편입된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골 2:11-13). 그리고 의학적으로 볼 때도 산후 8일째되는 아이들은 거의 통증을 느끼지 않는데다가, 피도 금방 멎고 상처도 속히 아문다고 한다(Harrison)

=============================12:4
삼십 삼일을 지나야...깨끗하리니 - 남아(男兒)를 출산한 여인은 2절에 언급된 7일동안의 부정 기간 외에도 33일이 더 지나야 완전히 정결케 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남자 아이를 순산한 여인은 모두 40일 동안의 부정기간을 지내야 하는데, 이 40일은상징적으로 정결케 되기 위한 시련의 기간인 동시에 인간이 자신의 부정한 죄를 깨닫고 회개하는 기간이라 할 수 있다(Calvin). 산혈이 깨끗하리니 - '산혈'(産血)은 여인들이 해산할 패 흘리는 피를 가리키는데,이 피는 의식상 부정하였다. 따라서 본 구절은 남아 출생시 초기 7일간의 부정 기간이지난 다음, 이어 후기 33일간의 부정 기간이 지나, 도합 40일이 지나면 하혈(下血)로인한 산모의 모든 의식적 부정이 벗겨지고 다시 정결케 된다는 의미이다. 성물(聖物) - 하나님께 바쳐친 신성한 기구 또는 제물을 가리킨다. 즉 이것은 성막의 구조물들과 그 안의 기구들 뿐만아니라. 하나님께 제물로 바쳐진 모든 예물들을 총칭한 말이다. 성소에 들어가지도 말 것이며 - 여기서 성소'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미크다쉬'( )는 분향단과 떡상과 등대가 있는 회막내 성소(the holy place)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그것보다 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말로 하나님을 위하여 '구별되어진 장소' 또는 '신성하게 여겨지는 모든 장소'를 가리킨다. 따라서 이스라엘 여인들이남자 아이를 해산한 경우에는 40일 동안 하나님께 경배드리거나 혹은 기타 목적으로어떤 성별된 지역, 곧 예배나 제사를 위해 특별히 구별된 지역에 들어갈 수 없었다.아울러 유월절 등 각종 절기에도 참여할 수가 없었다(Keil).

============================12:5
여자를 낳으면...이 칠 일 ...육십 육일을 지나야 - 여기서 '이 칠 일'은 두 주간, 곧 14일을 의미한다. 여인이 여아(女兒)를 출산하면 남아를 출산했을 때보다 두배의 기간이 더 부정하였다. 즉 다른 사람을 접촉할 수 없는 절대적 부정 기간 14일,성소에 출입할 수 없는 부정 기간 66일을 합하여 도합 80일 동안을 부정한 자로 지내야했다. 이처럼 남자 아이를 낳았을 경우보다 여자 아이를 낳았을 경우 산모가 두 배나 더 부정케 된 이유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추정해 볼 수 있다. (1)여자아이를 출산했을 때는 남아를 출산했을 때보다 피와 분비물의 유출이 더 심하기 때문이며(keil) (2) 원죄의 책임상 남자인 아담보다 여자인 하와의 책임이 더 크기 때문이며(딤전 2:14), (3) 남자는 할례에 의하여 그 죄가 감소되기 때문에 여아 출산의 경우보다 부정 기간이 단축되었기 때문이며 (4) 히브리인들의 개념상 남아는 장차 구세주로오실 메시야 사상과 결부되어 그 부정기간이 감축되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ThePreacher's Homiletic Commentary). 한편 여기서 산모와 산후의 여러 가지 분비물 등이 부정한 것으로 간주된 것은 윤리적인 문제 때문이 아니라 단순한 종교 의식상의 문제로, 당시의 문화적 풍습을 통하여 영적 정결의 원리를 가르치려는 목적에서 나온 것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12:6
자녀간 정결케 되는 기한이 차거든 - 아이를 출산한 산모가 정결케 되기까지는 남아를 출산한 경우 40일, 여아를 출산한 경우 80일이 각각 요구되었다. 한편 이 정결케 되는 기간이 찬 산모는 최종적인 정결 예식으로써 번제와 속죄제를 여호와께 드려야만 했다. 번제를 위하여 - 여기서 번제는 출산에 대한 감사와 헌신의 마음을 표하기 위해 드린 제사로 산모의 가정 형편이나 경제적 여건에 따라 어린 양이나 비둘기 중 택일하여여호와께 바쳐야 했다. 그러므로 여기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진정으로 원하시는 것은바치는 제물의 값어치가 아니라, 하나님을 향한 감사와 헌신의 마음임을 깨달을수 있다. 속죄제를 위하여 - 해산한 여인은 출산에 따른 부정을 제거하는 정결 의식의 일환으로써 또한 속죄제를 드려야만 했다. 이 속죄제는 가난한 자나 부자나 차별없이 모두같은 예물, 곧 산비둘기나 집비둘기 새끼를 드려야했다. 왜냐하면 감사의 예물은 경제적 여건의 문제이므로 빈부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속죄의 예물은 인간이 죄인이라는 점에서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죄사함을 위해 드리는 속죄제에는 차별이 있을수 없었다.

==============================12:7
본절은 해산한 여인이 갖다 바친 정결 예물을 가지고 제사장이 여호와께 제물로 바쳐 속죄하는 장면에 대한 언급이다. 한편 구약 시대에는 일반인이 성소에 들어가거나적접 제물을 바칠 수가 없었고, 오직 제사장을 통해서만 제사를 드릴 수 있었다. 이것은 신약의 성도들이 오직 중보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하나님께 나아갈 수있다는 복음적 진리를 예표적으로 교훈해 준다. 속죄할지니 - 1:4 주석 하반부를 참조하라.

======================12:8
힘이 어린 양에 미치지 못하거든 - 해산한 여인이 가난하여 번제물과 속죄 제물을드리기 어려울 때는, 속죄 제물은 바꿀 수 없지만 번제물은 어린 양 대신 산비둘기나집비둘기로 대치할 수 있었다. 후일 예수의 모친 마리아도 예수 그리스도를 출산한 후비둘기 두마리로써 번제와 속죄제의 정결례를 치렀다(눅 2:22-24). 이것은 당시 예수님의 가정이 가난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줌과 동시에 아울러 하나님께서는 결코 외적 화려함이나 부요함에 따라 사람을 판단치 않으시고, 오직 그 사람의 중심을 보시고 판단하시는 분이심을 깨닫게 해준다. 후일 예수께서도 부유한 자들의 많은 헌금보다 가난한 과부의 동전 두 렙돈을 더 귀중하게 보시고 그녀의 믿음을 칭찬해 주심으로써 이사실을 다시 한번 확증해 주셨다(막 12:41-44).

 

 

 

  정결한 동물과 부정한 동물에 대해 논하고 있는 전장(11장)에 이어  본장은  아이를 해산한 산모의 정결 규례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즉 여인이 자녀를 출산하게 되면 그 여인은 부정한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율법이 지정한 일정 기간(1-5절)이 지난 후 정결 의식을 행함으로써 비로소 정결케 될 수 있었다(608절). 이처럼 여호와 앞에서 정결 의식을 행한 후에라야 그 여인은 하나님과 정상적으로 교제할 수 있으며 하나님의 모든 축복 예식에 참여할 수 있었다. 여기서 우리는 인간의 생육을 명하신  하나님의 축복과 자녀의 출산을 부정하다고 정하신 하나님의 정죄 사이에서  묘한  갈등 및 괴리감을 느끼게 된다. 원래 인간의 출생과 번성 그 자체는 죄가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의 창조 명령의 하나로 그분이 원하시는 바이며 축복이었다(창 1:28). 그러나  에덴 동산에서 아담의 타락으로 말미암아 해산하는 모든 여인은 큰 고통을 경험하게  되었으며(창3:16)출산에 수반되는 피 등의 분비물은 부정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처럼 출산시의 피나 유출물 등이 부정한 것으로 간주된 이유는 (1) 이러한 피의 유출  현상은 인간의 불순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2) 유출물이 근본적으로 부패한 인간의 몸에서 흘러 나왔기 때문이다. (3) 이 출산시의 피로 말미암아 신체의 일부가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4) 산모의 몸조리 및 위생 문제에 있어서 깨끗한 보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우리는 다음 몇 가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아담의 타락 이후 모든 인류는 죄 아래 놓이게 되었으며, 이 원죄(原罪)는 인간이 태어남과 동시에 생래적(生來的)으로 부가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인간의 출생 역시 영생을 위한 탄생이  아니라 죽음을 향한 탄생이 될 수 밖에 없었다. 둘째, 구약의 율법이 정하고 있는 제 졍결 규례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을 예표하는 것으로 그 자체로는 죄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제사를 드릴 수 밖에 없다. 셋째, 이 같은 산모의 정결  규례는 윤리적, 신앙적 차원의 절대성을 띤 문제이거나 반드시 준수해야 할 영속적인 법이 아니라 단순한 종교 의식상의 문제로 당시의 문화적 배경을 통해 영적 정결의 원리를 가르치는 것이다.

  1. 해산한 여인의 부정 기간 (12:1-5)
  본문은 아이를 낳은 산모의 부정 기간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부분인데 그 부정 기간은 남자 아이를 낳았을 경우와, 여자 아이를 낳았을 경우가 각각 다르다. 즉 남자 아이를 낳은 경우는 타인을 접촉할 수 없는 7일간의 절대 부정 기간과 하나님의 성소에 나아갈 수 없는 33일간의 부정 기간을 합쳐 모두 40일 동안 부정하였다(1-4절). 이처럼 남아(男兒)를 출산한 여인이 정결케 되기 위해서는 40일이  지나야  했는데, 이 40일은 해산한 여인이 자신의 죄인됨을 깨닫고 돌이키는 회개의 기간이며 하나님 앞에서 정결케 되기 위하여 겪는 시련의 기간을 의미한다.
  반면 남아를 낳았을 경우와는 달리 여아(女兒)를 낳았을 경우, 산모는 타인을  접촉할 수 없는 절대 부정 기간 14일, 하나님의 성소에 나아갈 수 업는 부정 기간  66일간을 합쳐 모두 80일 동안 부정하였다(5절). 이처럼 여아의 경우 남아의 출산시 보다 부정 기간이 특별히 긴 이유에 대해서는 확실한 단정을 내릴 수 없지만 다음 몇  가지로 추론해 볼수 있다. (1) 아담의 동반자로 지음받은 하와가 아담을  유혹하여  선악과를 따먹게 하였으므로(창 3:6) 원죄의 책임상 남자인 아담보다 여자인 하와의 책임이  더 크기 때문이다. (2) 여자 아이를 출산했을 때는 남자 아이를 출산했을 때보다 피 등의 분비물의 유출이 더 심하기 때문이다. (3) 남자 아이는 할례를 받음으로써 그 죄가 감소되는 반면에 여자의 경우는 할례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창 17:10-14).

  * 해산한 여인과 40일의 정결 기간 - 성경에서 40이라는 숫자는 매우  귀중한  뜻을
암시하고 있다. 즉 모세는 시내 산에서 하나님으로 부터 십계명 돌판을 받을 때에  두 번이나 40일 동안을 하나님과 함께 있었으며(출 24:18/34:28) 엘리야는 천사가 제공한 음식을 먹고 40일간을 걸어서 하나님의 산 호렙에 간 적이 있었다(왕상 19:5-8). 예수님께서도 요단 강에서 세례를 받으신 후 광야에서 40일 동안 금식하시면서 사단의  시험을 받으셨다(마 4:2). 이같이 성경에는 하나님의 종들과 연관된 40 이란 숫자가  자주 나오는데 이 모든 경우에 있어서 40 이란 숫자는 시험의 기간 또는 시련의  기간으로써 믿음을 회복하고 강화하는 연단의 기간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문에서도 남아를 해산한 산모가 40일 (여아의 경후 80일) 동안 부정한 가운데  지내는 것은 그 기간 동안에 자신의 부정과 하나님의 거룩을 생각하면서 하나님을  향해 새롭게 돌이키는 믿음의 시련 기간으로 삼아야 함을 암시한다. 이와 같은 믿음의 시련 기간은 오늘날의 성도에게도 절실히 필요하다. 일찍이 모세가 목자로  광야에서  양을 치면서 40년간 내적인 신앙 인격과 하나님께 대한 경외심을  견고히  다진  것처럼(행 7:29,30) 또한 바울이 회심한 후 아라비아 사막에서 3년 동안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믿음의 시련을 통해 크게 성장한 것처럼(갈 1:17,18) 우리들도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경청과 그 말씀의 구체적인 실천을 통해 우리들의 신앙 인격을 성숙시키며 내적으로  하나님을 향한 경외심을 고양시켜야 하겠다. 우리가 이처럼 영적으로 성숙될 때  비로소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통하여 당신의 뜻을 이 땅 위에 펼치실 수가 있는 것이다.

  2. 정결 예식에 바치는 산모의 제물 (12:6-8)
  산모의 부정 기간에 대한 진술에 이어 본문은 부정 기간이 끝난 산모가 정결케 되기 위해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는 제사 규례(7절)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때 산모는  자신의 정결을 위하여 여호와께 번제와 속죄제를 바쳐야 했는데 번제 제물은 일  년  된 어린 양이나 비둘기 중 택일하여 바칠 수 있었으며(6,8절) 속죄 제물로는  산비둘기나 집비둘기 새끼를 드려야 했다(6절). 이처럼 번제는 경제적 여건에 따라  어린  양이나 비둘기 중 택일하여 바칠 수 있었던 반면, 속죄제는 가난한 자나 부자나 차별없이  모두 같은 제물을 바쳐야 했다. 그 이유는 인간적으로 볼 때는 빈부 귀천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하나님 앞에서는 모두 죄인이라는 점에서 예외없이 동일하기 때문에 죄사함을 위해 드리는 속죄제는 차별이 있을 수 없었던 것이다.
  한편 산모가 드리는 번제의 경우 특별히 가난한 자를 위하여 하나님께서 어린 양 대신 비둘기를 바칠 수 있도록 배려하신 것(8절)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교훈을  준다. (1) 인간은 외모나 빈부, 지위 고하(地位高下) 등 사람의 외적 환경에 의해 타인을 판단하는 경우가 많으나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가장 내밀한 중심을 보시며 그 중심에  따라 판단하신다. (2) 하나님을 경배키 위해 나아가는 자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은 제물이나 외양적 거룩보다는 통회하는 심령과 하나님을 향한 참된 경외심이다. (3) 가난한 자나 약자를 멸시하고 업신여기는 것은 바로 그들을 특별히 사랑하시는 하나님을 경멸한 것이나 다름없다(고전 1:28). (4) 성도들에게 닥치는 환난이나 가난은 하나님께 대한 믿음과 사랑을 더 한층 승화, 발전 시킬 수 있는 연단의 계기가 될 수 있다(약 2:5).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공지 호크마 주석과 강해
1089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11장
»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12장
1087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13장
1086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14장
1085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15장
1084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16장
1083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17장
1082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18장
1081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19장
1080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20장
1079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21장
1078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22장
1077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23장
1076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24장
1075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25장
1074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26장
1073 레위기 호크마 주석, 레위기 27장
1072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01장
1071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02장
1070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03장
1069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04장
1068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05장
1067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06장
1066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07장
1065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08장
1064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09장
1063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0장
1062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1장
1061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2장
1060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3장
1059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4장
1058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5장
1057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6장
1056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7장
1055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8장
1054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19장
1053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0장
1052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1장
1051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2장
1050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3장
1049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4장
1048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5장
1047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6장
1046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7장
1045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8장
1044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29장
1043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30장
1042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31장
1041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32장
1040 민수기 호크마 주석, 민수기 33장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24 Next
/ 24

All the Bibles, Commentaries and Dictionaries here have their own rights.
All rights are reserved for them, not for us. Thanks! Praise our great God, Christ Jesus!

HANGL Lingua Franca 한글 링구아 프랑카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