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행 24:1

  닷새 후에 대제사장 아나니아가 어떤 장로들과 한 변사 더둘로와 함께 내러와서 총
독 앞에서 바울을 고소하니라 - 유대교의 교권자들은 하나님의 참된 종 바울을 어디까
지나 추격하여 가이사랴에까지 와서 총독에게 고소하였다. 그들은 변사(辨士)까지  동
원하였다. 그렇게 한 이유는 선을 악이라고 하려면 궤변(詭辨)에 능한 자라야  되겠기
때문이다.

 

 행 24:2-4

   바울을 부르매 더둘로가 송사하여 가로되 벧릭스 각하여 우리가 당신을 힘입어  태
평을 누리고 또 이 민족이 당신의 선견을 인하여 여러가지로 개량된 것을 우리가 어느
모양으로나 어느 곳에서나 감사무지하옵나이다 당신을 더 괴롭게 아니하려 하여  우리
가 대강 여짜옵나니 관용하여 들으시기를 원하나이다 - 변사 더둘로는 악인 벧릭스 총
독을 향하여 선한 정치가라고 칭찬하며 아첨하였다. "태평을 누린다"는  말은  벧릭스
총독이 많은 강도들을 잡아서 십자가에 못박아 죽인  일  때문에(Josephus,B.J.,  II,
13,2,Ant.XX, 8,5), 유대 민족이 얼마 동안 평안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인  것이
다.   그러나   그   밖에는   그가   유대인들에게   악정을     행하였다(Josephus,
Ant.XX,8,6,B.J.,II,13,6). 그의 집정 당시에는 유대인들의 반란이 계속적으로 일어났
었다고 한다.
   "당신의 선견을 인하여." 여기서 "선견"이란 말(*                )은  황제나  신
(神)의 예지(豫知)에 대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더둘로가 이 말을 벧릭스 총독에게  사
용한 것은 역시 아첨이다.

 

 행 24:5,6

  우리가 보니 이 사람은 염병이라 천하에 퍼진 유대인을 다 소요케 하는 자요  나사
렛 이단의 괴수라 저가 또 성전을 더럽게 하려 하므로 우리가 잡았사오니 -  더둘로는
바울을 네 가지 죄목으로 고소했다. (1)"염병"(*            ), (2)"소요케 하는  자"
(3)"나사렛 이단의 괴수.(4)"성전을 더럽게 하려"하는 자라고 하였다.
   "염병"이라고 함은 불평을 퍼뜨려서 평화를 깨뜨리는 자를 말함이다. 그  다음으로
"소요케 하는 자"라는 말이 나온 것은 자연스러운 순서이다. 이 세상 사람들은 그들의
죄와 허물을 폭로시키는 선지자들을 가리켜 "소요케 하는 자"라고 불러오고 있다(왕상
18:17;계 11:10). 바울을 "이단의 괴수"라고 하였으니, 이것도 더둘로의 궤변이다. 어
찌하여 예수님의 진리를 "이단"이라고 했는가 ? "성전을 더럽게 하려"한다고 한  것도
사실대로 된 고소가 아니다. 바울은 성전을 더럽히려 한 일도 없다. 그는 다만 예수님
의 말씀과 같이, 신약 시대에는 어디서든지 영과 진리로 예배하는 자들을 하나님 아버
지께서 찾으신다고 하였을 것이다(요 4:23;롬 7:6). 이 사상은 성전을 더럽힘이  아니
고 도리어 구약 성전의 의의(意義)를 바로 설명한 것 뿐이다.

 

 행 24:7,8

 당신이 친히 그를 심문하시면 우리의 송사하는 이 모든 일을 아실수 있나이다 하니
- 서부 사본(Western Text)에는 이 문구 앞에 천부장에 관한 말이 있다. 곧,  "천부장
루시아가 와서 폭력으로 그를 우리 손에서 빼앗아 가면서 고소하는 자들을 당신  앞에
가도록 명령하였나이다.라고.
   "이 모든 일을 아실 수 있나이다." 이것은 더둘로의 아첨하는 말이다.  권세  잡은
자 앞에서는 사람들이 이렇게 가증스러워지기 쉽다.

 

 행 24:10-13

  바울은 그 답변에 있어서 벧릭스 총독을 기쁘게 하는 말은 한 마디도 사용하지  않
았다. 이것은 역시 그가 사람을 믿지 않고 하나님만 믿어서 문제를 해결해 가려는  그
의 신앙 태도이다. 그는 변사 더둘로가 고소한 첫째와 둘째 죄목인 소요 사건과  관련
된 죄가 자기에게 없음을 솔직하게 말한 것이다. 곧, (1)벧릭스가 유대에 여러 해동안
(6년 동안) 총독으로 있었으니만큼(10절) 유대의 풍습을 알 것이고, 따라서 바울의 행
동이 정치적 성격을 띠지 않은 것을 알 만하다고 함. (2)그 자신으로 말하면 유대  밖
에 다른 지방에서 선교하다가 유대(예루살렘)에 온지 열 이틀 밖에 되지 않았으니만큼
그 짧은 시일 동안에 유대에서 무슨 소요 사건을 일으킬  만한  여유도  없었다고  함
(11-12). 따라서 (3)유대인들 측에서는 원고(原告)로서 증거 있게 고소할 재료를 가지
지 못했다는 것이다(13절).
   바울은 이렇게 자기가 복음과 관계 없는 이 세상 일로 국법에 걸릴 일이 전연 없음
을 변증하였다. 이것은 전도자로서 당연히 해야 할 자기 변호였다. 그런 변호는  하나
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다. 전도자가 복음과 관계 없는 이 세상 일로 오해를 받고 고난
을 받을 필요는 없다.

 

 행 24:14,15

  그러나 이것을 당신께 고백하리이다 나는 저희가 이단이라 하는 도를 좇아  조상의
하나님을 섬기고 율법과 및 선지자들의 글에 기록된 것을 다 빌으며 저희가  기다리는
바 하나님께 향한 소망을 나도 가졌으니 곧 의인과 악인의 부활이 있으리라 함이라  -
바울은 더둘로가 고소한 세째 죄목("이단의 괴수"란 것-5절)에 대하여 해명한다.  곧,
더둘로와 유대이들이 "이단"이라고 지적한 그 내용은 실상 이단이 아니고, 이스라엘의
조상 때부터 믿어오는 바 부활 소망을 전한 것 뿐이라고 한다. 그는 이 문제에 대하여
벧릭스 총독 앞에서 엄숙히 증거하기를, "이것을 당신께 고백하리이다"란  말로써  그
증거의 중대성을 나타냈다. 벴겔(Bengel)은 이 문구의 "고백"이라는 말(*          
    )에 대하여 말하기를, "이것은 법정술어로 성스러운 일에 대하여 쓰는 것인데  여
기서 적절히 사용되어 있다."고 하였다(Verbum forense idemque sacrum). 바울이 자기
의 신앙과 전도(*               )의 내용을 간추린 이 귀절들(14-15)을 분해하면  이
렇다. 그는 이단자가 아니라 (1)조상들의 하나님(이스라엘 조상들이 받은 하나님의 언
약대로 잘 알려진 참 하나님)을 섬긴다고 하며, (2)율법과 선지자들의 글에 기록된 것
을 믿는다고 하며, (3)의인과 악인의 부활이 있음을 믿는다고 하였다.
   칼빈(J.Calvin)은 앞서 지적한 세 가지 신조가 실상 서로 관련성을 가진다는  의미
에서 다음과 같이 길게 말하였다. "바울이 율법과 및 선지자들의 글에 기록된 것을 다
믿는다고 한 그 말씀은 실상 그 위의 문장("조상의 하나님을 섬기고"란 문장)을  받아
서 해설하는 셈이다. 다시 말하면 그는 그저 하나님을 섬긴다고만(14절 상반)하지  않
고 어떻게 섬기는 방법을 말하였으니, 곧 율법과 선지자들의 글에 의하여 섬긴다는 것
이다. 그리고 그가 저렇게 율법과 선지자, 곧 성경을 믿는다고 말한 뒤에는 부활의 소
망을 말하였다. 이는 부활의 소망이 육체적 지각(知覺)으로 유래되는 것이 아니고  하
나님의 말씀("율법과 및 선지자의 글")에 근거한 것이라는 의미이다."(抄譯)(Calvin's
Commentaries, Acts of the Apostles 1949,Vol.II,p.348). 곧, 바울의 전하는 부활 소
망이 진리인 이유는 그의 가진 신관(神觀)이 이스라엘 조상들의 신관 그대로인(율법과
선지자들의 글에 기록된 그대로인-14절 하반) 까닭이다.

 

 행 24:16

  이것을 인하여 나도 하가님과 사람을 대하여 항상 양심에 거리낌이 없기를  힘쓰노
라 - 곧, 바울은 부활 소망 때문에 하나님 앞에서나 사람 앞에서 양심적으로 행하기를
힘쓴다고 한다. "양심에 거리낌이 없다"(*                                        
           )고 함은 그가 하나님 앞에서 잘못된 그대로 덮어두고 지내지 않고 회개하
였음을 가리킨다. 양심은 인간에게 있는 도덕 의식으로서 하나님의 음성 자체는  아니
다. 그렇지만 그것은 하나님의 음성을 받으며 전하는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범죄한 뒤에는 이 기관도 어두워져서 하나님의 음성을 바로 취급하지 못한다.  그러나
성경 말씀을 믿는 양심 작용은 그 말씀을 따라 순종(혹은 회개)함으로 거리낌이  없어
진다.

 

 행 24:17-20

  여러 해만에 내가 내 민족을 구제할 것과 제물을 가지고 와서 드리는 중에 내가 결
례를 행하였고 모임도 없고 소동도 없이 성전에 있는 것을 저희가 보았나이다  그러나
아시아로부터 온 어떤 유대인들이 있었으니 저희가 만일 나를 반대할  사건이  있으면
마땅히 당신 앞에 와서 송사하였을 것이요 그렇지 않으면 이 사람들이 내가 공회 앞에
섰을 때에 무슨 옳지 않은 것을 보았는가 말하라 하소서 - 바울은 더둘로가 고소한 제
4죄목("성전을 더럽게 하려" 하였다는 것-6절)에 관하여 말하면서 자기른  그런  죄를
범하지 않았다고 변명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논증하였다. (1)자기를 대적하는 유대인
들이(21:27) 현재의 벧릭스 앞에 오지 않은 것만 보아도 그들이 성전에 있던 자기에게
서 잘못을 확실히 잡지 못한 증거라고 내세운다. (2)그리고 만일 그들이 최근에  공회
에 섰던 자기에게서 (23:1) 혹시 잘못을 발견하였다고 하면 이제 그들로 하여금  벧릭
스 앞에서 그 증거를 진술하도록 하라고 도전한다. 이것은 그가 자기에게 허물이 없음
을 자신 있게 내세우는 변론이다.

 

 행 24:21

  오직 내가 저희 가운데 서서 외치기를 내가 죽은 자의 부활에 대하여 오늘 너희 앞
에 심문을 받는다고 한 이 한 소리가 있을 따름이니이다 하니 - 바울은  자기가  끌려
다니며 심문 받는 것이 무슨 죄가 있어서가 아니라 다만 부활 신앙을 증거한 까닭이라
고 밝힌다. 그는 부활 신앙을 전하기 위하여 그의 일생을 바쳤다. 그는 법정에서도 말
할 것은 그것뿐이었다. "죽은 자의 부활"이란 것은 다시 살아나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
는 자가 영생의 부활에 참여한다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는
자에게는 이런 복된 부활은 없다.

 

 행 24:22-24

  벧릭스 총독의 나약한 인격은 다음과 같다. (1)법정에서 정죄받을  일이  바울에게
없는 사실에 대하여 그는 잘 알면서도("아는 고로"라고 번역된 말 *          는  "알
면서도"라고 개역되어야 함) 천부장 루시아를 만난 뒤에 처결하겠다고  핑계함(22절).
(2)바울에게 일면  친절을  베풀었음(23절).  (3)그리스도  예수의  도(道)를  들어봄
(24-25). (4)바울에게서 뇌물을 받고자 함(26절). (5)유대인의 마음을 얻고자 하여 바
울을 구류하여 둠(27절)이다. 벧릭스가 행한 이 모든 일들을 보면, 그는 의(義)를  굳
게 잡지 못한 나약한 자였던 것이 분명하다. 그는 부패한 관리의 표본이다.

 

 행 24:25

   바울의 의와 절제와 장차 오는 심판을 강론하니 벧릭스가 두려워 하여 대답하되 시
방은 가라 내가 틈이 있으면 너를 부르리라 하고 - 바울은 벧릭스에게 복음을  전하였
을 뿐 아니라(24절) 복음을 믿는 사람이 행해야 할 도덕에 대해서도 말한 것이다. 곧,
"의와 절제"였다. "절제"는 극기(克己) 생활이다.  다기도(Tacitus=歷史家)의  말대로
벧릭스는 "노예의 정신을 가진 자로서 잔인성과 방종성으로 왕 같은 권세를  부렸다."
고 했다(Morgan). 바울은 이런 인물에게 "의와 절제"를 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
고 그는 "심판"에 대해서도 말하였는데 그것을 불의하고 잔인한 벧릭스의 마음을 두렵
게 하였다. 진리가 바로 전파될 때에는 악인이라도 두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벧릭스는
회개할 기회를 연기하였으니만큼 바울의 전도를 듣고 느꼈었던 두려움은 사라지고  어
떤 결단을 내리지 못하였다. 그는 옳은 일 행하기를 연기하기 잘 하는 나약한 자의 표본이다(22,25). 그가 바울을 놓아줄 수 있는 기회에 놓아주지 않고 구류하여 둔  것도(27절) 역시 의를 행함에 결단성이 없는 나약한 처사였다.

 행 24:26
  이 귀절에 대하여는 앞에 있는 강해 4를 참조하라.

 행 24:27
  이태를 지내서 보르기오 베스도가 벧릭스의 소임을 대신하니 벧릭스가 유대인의 마음을 얻고자 하여 바울을 구유하여 두니라 - "벧릭스"는 유대인들의 마음을  얻으려고 바울 놓아주기를 연기하였다. 하나님을 모르는 부패한 정치가는 자기  지위를  굳히기 위해서 다른 사람을 억울하게 하는 것을 문제시 하지 않는다. 마 27:11-26 참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공지 박윤선 주석을 읽을 때에 내용이 없는 장
189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04장
188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05장
187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06장
186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07장
185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08장
184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09장
183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0장
182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1장
181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2장
180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3장
179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4장
178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5장
177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6장
176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7장
175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8장
174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19장
173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20장
172 요한복음 박윤선 주석, 요한복음 21장
171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01장
170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02장
169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03장
168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04장
167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05장
166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06장
165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07장
164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08장
163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09장
162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0장
161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1장
160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2장
159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3장
158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4장
157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5장
156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6장
155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7장
154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8장
153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19장
152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20장
151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21장
150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22장
149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23장
»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24장
147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25장
146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26장
145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27장
144 사도행전 박윤선 주석, 사도행전 28장
143 로마서 박윤선 주석, 로마서 01장
142 로마서 박윤선 주석, 로마서 02장
141 로마서 박윤선 주석, 로마서 03장
140 로마서 박윤선 주석, 로마서 04장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

All the Bibles, Commentaries and Dictionaries here have their own rights.
All rights are reserved for them, not for us. Thanks! Praise our great God, Christ Jesus!

HANGL Lingua Franca 한글 링구아 프랑카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