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 9:1,2

  가증한 일을 행하여(1절 끝) - 여기 "가증한 일"은 가나안에 있던 이방인들의 우상
주의와 그들의 악행을 가리킨다. 하나님의 백성은 이 세상주의자들과  동화되지  말고
구별 의식을 가지고 또 구별되이 살아야 한다. 그것은 바리새주의의  교만이  아니고,
(1)의(義)의 표준을 보호하기  위함이고,  (2)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다.  고후
6:14-18 참조. 이때에 바벧론에서 돌아온 이스라엘이 가나안 본토인들과 합류하면  그
들의 가증한 일에 동참케 될 것이었다. 모세의 율법에 의하면 이스라엘 백성은 가나안
족속들과 통혼하지 못하도록 되었는데(신 7:1-3) 그것은 그들이 그런 혼인으로 말미암
아 이방의 우상(偶像)과 타협하거나 그 우상을 끌어들일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신
7:4 참조. 그런 우려가 없는 환경에서는 이스라엘이 이족(異族)과 통혼하는 일이 금지
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창 41:45;민 12:1;룻 4:9-10;삼상 25:40-42 참조. 그러나 이
때에 바벧론에서 돌아온 자들이 가나안 이족들과 통혼한 일은 용납될 수 없었다. 그들
이 돌아온 것은 거룩한 종교를 보존하기 위한 정화 운동이 아니었던가 ! 그것은  이사
야의 예언 성취로 된 것이 아니었던가 ! "너희는 떠날지어다 떠날지어다 거기서  나오
고 부정한 것을 만지지 말지어다 그 가운데서 나올지어다 여호와의 기구를 메는  자여
스스로 정결케 할지어다"(사 52:11). 고후 6:17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바벧
론에서 떠나 귀국한 후에 우상주의의 이방인들과 통혼하였으니 돌아온 성민(聖民)으로
서 가질 거룩한 종교는 성립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문제에 대한 에스라의 근
심은 컸다.


  스 9:3,4

  속옷과 겉옷을 찢고 머리털과 수염을 뜯으며 기가 막혀 앉으니(3절) - 에스라가 옷
을 찢은 것은 그의 슬픔을 표시한 상징적 행동이었다. 창 37:34 참조. 신자는  남들의
죄를 보고 그들을 업신여기지 말고 도리어 슬퍼해야 된다. 그것은 그가 그런 죄를  미
워하기 때문이다. 시 119:158;렘 9:1,14:17 참조. "털과 수염을 뜯은"것은 정의감에서
원통함을 나타낸 것이다. 느 13:25 참조. 그러나 이것은 그 때의 범과자들에 대한  의
분이 아니고 남들의 과오에 대하여 연대책임을 지고 원통히 여긴 심리 표현이었다. 에
스라가 그 공동체의 책임을 함께 느꼈다고 할 수 있는 증거는, 그가 "우리"란  대명사
를 사용하며 기도한 것으로 알려진다(5-15). "기가 막혀"란 말(*           )은  말도
못하는 괴로운 심리 상태를 가리킨다.
   하나님의 말씀을 인하여 떠는 자가...다 내게로 모여 오더라(4절 중간) -  "하나님
의 말씀을 인하여 떠는 자"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니 하나님은 그런 신자들을 돌아보
신다(사 66:2). 이런 신자들이 에스라의 개혁 운동에 동조한 사실은  기쁜  일이었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의인은 외로운 가운데서도 진실한 동조자들을 만나게 된다.


  스 9:5  

  무릎을 꿇고 나의 하나님 여호와를 향하여 손을 들고 - "무릎을 꿇음"은 하나님 앞
에서 깊은 겸손과 애걸의 태도를 취함이고(눅 22:41;행 20:36), "손을 드는"것은 몸을
바치는 모습이다(애 3:41).


  스 9:6

   내가 부끄러워 낯이 뜨뜻하여 감히 나의 하나님을 향하여 - 에스라가 하나님을  향
하여 "나의 하나님"(*        )이라고 하였으니 그것은 하나님에게 대한 그의  가까운
관계를   알려준다.   그가   이때까지   하나님의    도우심을     체험하였으니만큼
(7:6,9,18,8:23), 그는 하나님을 그렇게 실감하게 된 것이다. 그는  관념적  종교인이
아니었다.
   얼굴을 들지 못하오니 - 사람이 자기의 잘못으로 인하여 사람들 상대로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보통이지만 하나님 앞에서 이렇게 부끄러움을 느낀다는 것은 신앙으로 참
되이 살아가는 자만이 가지는 영적 체험이다. 자신이 하나님의 계명을 범하면서도  뻔
뻔스럽게 지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그런데 에스라는 자기 민족의 죄악  때문에
이렇게 하나님 앞에서 부끄러움을 느낀 것이다. 그의 심령이 이렇게 된 것은 그가  무
엇보다도 하나님을 중하게 여김으로 마음을 정결케 한 까닭이다. 마  5:8,6:22-24  참
조. 모든 것보다 하나님을 더 중하게 여기는 생활은 하나님의 율법을 정미롭게 지킴으
로 실현된다. 시 119:9,56,136,139,158 참조. 에스라는 하나님의 율법을 깨닫는데  정
통하였고, 그는 그 말씀대로 실행하였다(7:10). 7:12 참조.
   하나님의 율법대로 하나님 앞에서 사는 자는 율법을 지키지 못하였을 때에 영적(하
나님께 대한) 근심을 가진다(고후 7:10-11).
   우리 죄악이 많아 - 여기 "우리"란 말은 접미어 대명사(Pronominal suffix)로 기록
된 1인칭 복수이다. 이렇게 "우리"라는 접미어 대명사(*   )가 여기서부터 15절까지에
31회나 나오는데 이 말은 중요하다. 에스라는 다른 사람들의 과오에 대하여 자기 자신
도 책임을 지고 자기 자신을 그 범과자들과 동일시하여 "우리"라고 한  것이다.  이런
사랑의 심리로 범과자들을 접촉하거나 권면하는 지도자들이 언제나 그들의 사역에  참
된 열매를 거둔다. 갈 6:1-2 참조.


  스 9:7

  에스라는 이스라엘이 조상 때부터 범죄하고 하나님의 징벌을 받아온  역사적  사실
(느 9:29-38;단 9:5-11)에 대하여 부끄러움을 느낀다고 고백하였다. 곧, 그들이  바벧
론에 사로잡혀 갔던 것이 하나님의 징벌이었는데 그것은 그들이 아직도 눈으로 볼  수
있는 현실로 남아 있었다. "오늘 같으니이다"라고 한 말씀이 그 뜻이다.
   신자들은 자기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보고 반성할 줄 알아야 되며 그것에 대한 책임
을 느껴야 한다. 미래의 밝은 전망은 과거를 검토하여 회개하는 자들의 것이다.
   열방 왕들의 손에 붙이사 - 여기 이른 바 "열방 왕들"이란 것은 그  때(이스라엘의
해방 후)의 파사 왕들을 가리킨다는 학설이 있다(Business  documents  of  Murashu's
sons, p.28, No.6). 그러나 이 문구는 역대에 이스라엘을 정복한 외국의 군왕들을  가
리킨다.


  스 9:8-10

  여기서는 에스라가 그 민족의 더 한층 부끄러운 일에 대하여 말한다. 곧, 하나님께
서 그들을 그 비참한 포로 생활에서도 망하지 않도록 남겨 두셨다가 본국으로  돌아오
게 하셨는데 이렇게 자비를 베푸시는 마당에서 그들이 또 다시 범죄하였다는 것은  매
우 부끄러운 일이라는 것이다.
   그 거룩한 처소에 박힌 못과 같게 하시고(8절 상반) - 이 말씀의 히브리어(*     
                                     )는 다음과 같이 개역되어야 한다. 곧,  "그의
거룩한 곳에 우리를 위하여 못을 주시고"라고. 이것은 하나님께서 그  남은  백성으로
하여금 팔레스틴에 장막 못을 박게 하셨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그들로 하여금 거기
와서 정착하도록 하셨다는 것이다.
   눈을 밝히사...소성하게 하셨나이다(8절 하반) - 곧, 그들의 포로  생활의  고생은
눈을 어둡게 할 정도였으나 이제 거기서 구원받은 기쁨은 눈이 밝아질 정도의  경사라
는 것이다.
   유다와 예루살렘에서 우리에게 울을 주셨나이다(9절 끝) - 여기 이른 바  "울"이란
말(*     )은 '벽'(壁)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보호를 비유한다. 하나님의 성전은  그때
에 그들을 보호하는 성곽과 같이 되었다는 것이다.
   우리 하나님이여 이렇게 하신 후에도 우리가 주의 계명을 배반하였사오니 이제  무
슨 말씀을 하오리이까(10절) - 이것은 이스라엘의 배은망덕한 죄를 지적하며 탄식하는
말씀이다. 그들의 죄야말로 주인의 떡을 먹으면서 주인의 발꿈치를  들어  넘어뜨림과
같은 죄악이다. 요 13:18 참조. 에스라는 이 기도에 있어서 하나님의  용서를  빌지는
않았다. 그러나 참된 회개에는 하나님의 용서가 따르는 법이다. 잠 28:13  에  말하기
를, "자기의  에스라는 앞에(10절) 말한 "계명"의 내용을 자세히 밝히면서 기도를 계속한다.  여
기 나온 말씀이 어느 일정한 귀절의 인용이 아니고 여러 성구들의 대의(大意)를  말한
것이다.   출   34:16;레   18:24;신   7:1-4,11:8,23:4-7;삿   3:5;왕상   11:2;왕하
17:23,21:10,24:2;단 9:6,10 참조. 오늘 신약 시대에 신자들은 불신자와 통혼하지  않
아야 된다. 고후 6:14 참조. 신자들이 결혼 대상을 찾을 때에 상대방의 신앙보다 물질
적 부요나 육체미에 끌리는 일이 많다. 그것은 그들이 미혹에 빠져서 행함이다.  그와
같이 배필을 구한 결과는 축복을 가져오지 못한다. 그러므로 신자들은 이 점에 있어서
당사자들이나 부모들이 다 함께 조심해야 된다.


  스 9:11,12

 죄를 숨기는 자는 형통치 못하나 죄를 자복하고 버리는 자는 불쌍히 여김
을 받으리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긍휼은 죄의 경중을 가리지 않는다. 사 1:18 참조.


  스 9:13-15
  에스라는 위의 말씀(8-12)의 요지를 간단히 반복하여 기도한다. 곧,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긍휼히 여겨 남겨주셨는데 왜 그들이 이 장면에 또 다시 하나님의 계명을 거역하였는가 한다(13-14). 그리고 그는 이와 같은 통탄의 말씀을 그 아래(15절) 또  다시(세 번째) 재설하였다. "남겨 두어 피하게"(*  )(8절 중간), "남겨 주셨사오니"(*                          )(13절 끝), "우리가 남아  피한 것"(*                       )이란 말씀들(15절 상반)은 모두 다 같은  뜻으로서  이 부분(8-15)에 있어서 중요한 말씀이고 이스라엘이 그 때에 하나님의 은혜로  팔레스틴에 돌아오게 된 것을 가리킨다.
   주는 의롭도소이다(15절 상반) - 여기 "의롭다"는 말(*        )은 이스라엘  백성
이 범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대한 하나님의 관계는 변치 않는 것을 가리킨다(A. Bertholet, Tadelosigkeit des Vehaltens Jahwes gegenuber Israel Im  Gegensatz gegen Israels Sunde.-Die Bucher Esra und Nehemia, 1902, s.41).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공지 박윤선 주석을 읽을 때에 내용이 없는 장
439 욥기 박윤선 주석, 욥기 03장
438 욥기 박윤선 주석, 욥기 02장
437 욥기 박윤선 주석, 욥기 01장
436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10장
435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09장
434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08장
433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07장
432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06장
431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05장
430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04장
429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03장
428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02장
427 에스더 박윤선 주석, 에스더 01장
426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13장
425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12장
424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11장
423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10장
422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09장
421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08장
420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07장
419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06장
418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05장
417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04장
416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03장
415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02장
414 느헤미야 박윤선 주석, 느헤미야 01장
413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10장
»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09장
411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08장
410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07장
409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06장
408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05장
407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04장
406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03장
405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02장
404 에스라 박윤선 주석, 에스라 01장
403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36장
402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35장
401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34장
400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33장
399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32장
398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31장
397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30장
396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29장
395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28장
394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27장
393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26장
392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25장
391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24장
390 역대하 박윤선 주석, 역대하 23장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

All the Bibles, Commentaries and Dictionaries here have their own rights.
All rights are reserved for them, not for us. Thanks! Praise our great God, Christ Jesus!

HANGL Lingua Franca 한글 링구아 프랑카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