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그러면 육신에 따라 우리의 조상 된 아브라함은 무엇을 깨달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4:2 사실 아브라함이 행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의롭다고 받아들여지게 되었다면, 그에게는 자랑할 거리가 있었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러나 아브라함은 하나님 앞에서 자랑할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4:3 성경은 여기에 대해 뭐라고 말합니까?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믿었으므로, 그로 인해 하나님께서 그를 의롭다고 인정해 주셨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4:4 어떤 사람이 일을 하면 그의 품삯은 당연한 것이지, 은혜로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4:5 하지만 일을 하지 않아 아무런 공로가 없어도, 경건치 않는 자를 의롭다고 하시는 그분 하나님을 믿는 사람에게는 그의 믿음이 하나님 앞에 의롭다고 인정을 받게 됩니다.
4:6 그래서 행위와는 아무 상관없이 하나님께 의롭다고 받아들여지게 되는 사람의 복됨에 대해서 다윗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4:7 “죄를 지었지만, 하나님께 용서를 받고 그 죄가 덮여진 사람은 얼마나 복을 받은 것인가.
4:8 주께서 그 죄를 묻지 않으시고, 죄 없다고 인정해 주는 사람은 얼마나 복을 받은 것인가.”
4:9 이런 복은 할례를 받은 사람에게만 내리는 것입니까, 아니면 할례를 받지 않은 사람에게도 내리는 것입니까? 우리는 아브라함이 그의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의롭다고 인정을 받았다는 것을 이미 말한 바 있습니다.
4:10 그러면 아브라함이 그렇게 인정을 받은 상황은 어떠했습니까? 그가 할례를 받은 후였습니까, 아니면 그 이전이었습니까? 그렇습니다. 할례를 받은 후가 아니라, 그 이전이었습니다!
4:11 아브라함이 할례를 받은 때는 하나님께서 그의 믿음을 보시고 그에게 복을 내리겠다고 약속하신 때보다 훨씬 뒤의 일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의 할례 의식은 다만 그 믿음을 확증하는 표시였을 뿐입니다. 이처럼 아브라함은 할례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님을 믿는 모든 사람들의 조상이 되었는데, 그것은 할례를 받지 않은 사람들도 하나님께 의롭다고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4:12 물론 아브라함은 할례를 받은 사람들의 조상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아브라함은 할례를 받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할례를 받지 않았더라도 우리 조상 아브라함이 할례를 받기 전에 지녔던 믿음의 발자취를 본받아 그 길을 따르는 모든 사람들의 조상이기도 합니다.
4:13 ○ 하나님께서 온 땅을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에게 주겠다고 하신 약속은, 아브라함이 율법을 지켰기 때문이 아니라, 아브라함의 믿음이 하나님께 의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입니다.
4:14 율법을 지키는 사람들이 상속자가 된다면, 믿음은 아무런 가치가 없고, 하나님의 약속 또한 쓸모가 없게 됩니다.
4:15 율법은 하나님의 진노를 불러오기 십상이기 때문입니다. 율법이 없는 곳에는 율법을 어기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4:16 이런 까닭에, 하나님의 약속은 오직 믿음에 근거한 것입니다. 그것은 아브라함의 모든 자손들, 곧 율법에 속한 자들만이 아니라 아브라함의 믿음에 속한 자들에게까지도 은혜로 말미암아 보장된 약속입니다. 아브라함은 우리 모두의 조상입니다.
4:17 이것은 성경에 “내가 너를 많은 민족의 조상으로 세웠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처럼 하나님께서 보시기에도 아브라함은 우리의 조상입니다. 실로 아브라함은 죽은 자에게 생명을 주시고, 없는 것도 있는 것처럼 불러내시는 그런 하나님의 약속을 믿었습니다.
4:18 모든 소망이 사라진 것처럼 보일 때에도 아브라함은 소망을 갖고 하나님의 약속을 끝까지 믿었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너의 자손이 이와 같이 많아질 것이다.”라는 하나님의 약속대로, 많은 민족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4:19 아브라함은 백 살이 거의 다 되어 자기 몸이 죽은 자처럼 연약해졌고, 아내 사라의 태 또한 기능이 다해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였음을 알면서도, 하나님의 약속을 믿는 믿음이 조금도 연약해지지 않았습니다.
4:20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약속을 굳게 믿고 조금도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도리어 믿음이 날로 더욱 굳건해져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까지 했습니다.
4:21 진실로 하나님께서는 어떤 약속도 능히 이루어 주실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았습니다.
4:22 이같은 아브라함의 믿음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그를 의롭다고 인정하셨던 것입니다.
4:23 “그를 의롭다고 인정하셨다.”라는 말은 단지 아브라함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닙니다.
4:24 그것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해당되는 일입니다. 즉, 하나님께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셨다는 것을 믿는 우리에게도 똑같이 해당되는 일입니다.
4:25 예수께서는 우리의 죄 때문에 죽임을 당하셨으며, 또한 우리를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하시려고 다시 살아나셨습니다.
4:2 사실 아브라함이 행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의롭다고 받아들여지게 되었다면, 그에게는 자랑할 거리가 있었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러나 아브라함은 하나님 앞에서 자랑할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4:3 성경은 여기에 대해 뭐라고 말합니까?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믿었으므로, 그로 인해 하나님께서 그를 의롭다고 인정해 주셨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4:4 어떤 사람이 일을 하면 그의 품삯은 당연한 것이지, 은혜로 주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4:5 하지만 일을 하지 않아 아무런 공로가 없어도, 경건치 않는 자를 의롭다고 하시는 그분 하나님을 믿는 사람에게는 그의 믿음이 하나님 앞에 의롭다고 인정을 받게 됩니다.
4:6 그래서 행위와는 아무 상관없이 하나님께 의롭다고 받아들여지게 되는 사람의 복됨에 대해서 다윗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4:7 “죄를 지었지만, 하나님께 용서를 받고 그 죄가 덮여진 사람은 얼마나 복을 받은 것인가.
4:8 주께서 그 죄를 묻지 않으시고, 죄 없다고 인정해 주는 사람은 얼마나 복을 받은 것인가.”
4:9 이런 복은 할례를 받은 사람에게만 내리는 것입니까, 아니면 할례를 받지 않은 사람에게도 내리는 것입니까? 우리는 아브라함이 그의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의롭다고 인정을 받았다는 것을 이미 말한 바 있습니다.
4:10 그러면 아브라함이 그렇게 인정을 받은 상황은 어떠했습니까? 그가 할례를 받은 후였습니까, 아니면 그 이전이었습니까? 그렇습니다. 할례를 받은 후가 아니라, 그 이전이었습니다!
4:11 아브라함이 할례를 받은 때는 하나님께서 그의 믿음을 보시고 그에게 복을 내리겠다고 약속하신 때보다 훨씬 뒤의 일이었습니다. 아브라함의 할례 의식은 다만 그 믿음을 확증하는 표시였을 뿐입니다. 이처럼 아브라함은 할례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님을 믿는 모든 사람들의 조상이 되었는데, 그것은 할례를 받지 않은 사람들도 하나님께 의롭다고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4:12 물론 아브라함은 할례를 받은 사람들의 조상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아브라함은 할례를 받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할례를 받지 않았더라도 우리 조상 아브라함이 할례를 받기 전에 지녔던 믿음의 발자취를 본받아 그 길을 따르는 모든 사람들의 조상이기도 합니다.
4:13 ○ 하나님께서 온 땅을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에게 주겠다고 하신 약속은, 아브라함이 율법을 지켰기 때문이 아니라, 아브라함의 믿음이 하나님께 의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입니다.
4:14 율법을 지키는 사람들이 상속자가 된다면, 믿음은 아무런 가치가 없고, 하나님의 약속 또한 쓸모가 없게 됩니다.
4:15 율법은 하나님의 진노를 불러오기 십상이기 때문입니다. 율법이 없는 곳에는 율법을 어기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4:16 이런 까닭에, 하나님의 약속은 오직 믿음에 근거한 것입니다. 그것은 아브라함의 모든 자손들, 곧 율법에 속한 자들만이 아니라 아브라함의 믿음에 속한 자들에게까지도 은혜로 말미암아 보장된 약속입니다. 아브라함은 우리 모두의 조상입니다.
4:17 이것은 성경에 “내가 너를 많은 민족의 조상으로 세웠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처럼 하나님께서 보시기에도 아브라함은 우리의 조상입니다. 실로 아브라함은 죽은 자에게 생명을 주시고, 없는 것도 있는 것처럼 불러내시는 그런 하나님의 약속을 믿었습니다.
4:18 모든 소망이 사라진 것처럼 보일 때에도 아브라함은 소망을 갖고 하나님의 약속을 끝까지 믿었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너의 자손이 이와 같이 많아질 것이다.”라는 하나님의 약속대로, 많은 민족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4:19 아브라함은 백 살이 거의 다 되어 자기 몸이 죽은 자처럼 연약해졌고, 아내 사라의 태 또한 기능이 다해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였음을 알면서도, 하나님의 약속을 믿는 믿음이 조금도 연약해지지 않았습니다.
4:20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약속을 굳게 믿고 조금도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도리어 믿음이 날로 더욱 굳건해져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기까지 했습니다.
4:21 진실로 하나님께서는 어떤 약속도 능히 이루어 주실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았습니다.
4:22 이같은 아브라함의 믿음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그를 의롭다고 인정하셨던 것입니다.
4:23 “그를 의롭다고 인정하셨다.”라는 말은 단지 아브라함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닙니다.
4:24 그것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해당되는 일입니다. 즉, 하나님께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셨다는 것을 믿는 우리에게도 똑같이 해당되는 일입니다.
4:25 예수께서는 우리의 죄 때문에 죽임을 당하셨으며, 또한 우리를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하시려고 다시 살아나셨습니다.
Previous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