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롬 13;1

  각 사람은 위에 있는 권세들에게 굴복하라 - 여기 "각 사람"이란 말은 헬라 원어로
파사 프쉬케(*                    )이다.  이것은, "각 영혼"이란 뜻인데, 사람이 정
권에 복종하되 외식으로 할 것이 아니고 인격의 중심이 되는 영혼에서부터 진실히  하
라는 뜻을 말한다.  그 뿐 아니라 이것은, 영혼 있는자는 누구든지, 정권에  복종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보편적 원리(普遍的原理)를 보여준다.  이 교훈은, 정부의 명령이 어
떠한 것이든지 무제한적으로 그것을 복종해야 된다는 것인가?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기
를,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마  22;21)고  하셨
다.  곧, 정부가 가이사의 것(국민의 의무)을 요구할 때에 한하여, 기독 신자로서  순
종하라는 의미이다.  "하나님의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하나님에게만 드리는  경배
이다.  (1) 경배는 하나님에게만 드리는 것이니, 정부가 경배를 원할 때에 우리가  거
절할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2) 그 뿐 아니라, 성경에 위반되는 정부의 명령도  신
자가 복종하지 말 것이다.  그 이유는, 성경은 만왕의 왕의 말씀이기 때문이다.  사도
들은 말하기를, "사람보다 하나님을 순종하는 것이 마땅하니라"(행  5:29)고  하였다.  
기독 신자는 마땅히 국가에 대하여 국민의 자격으로(교회의 이름으로 말고)  협력하며
일해야 된다.  웨스트민스터 신도 게요서(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1647)
는 장로교의 기본 신경(基本信經)인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세계의 지존하신  주시
요 왕이신 하나님은 국민을 다스리는 자들을 자기 수하에 두셨나니, 이는 자기의 영광
과 고중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그는 권세와 도검(刀劍)을 주시며
선행하는 자들을 장려하게 하시고, 악행하는 자들을 벌하게 하신다.  그러므로 신자들
은 관청에 소환될 때에 거기 응하여 봉사할 수 있다.  그 때에 그는 마땅히 적당한 국
법에 의하여 경건과 정의와 평화를 유지하려고 힘써야 한다.  그러므로  그런  진정한
목적을 위하여는, 필요한 경우에 전쟁을 일으킬 수도 있다"라고 하였다.
   권세는 하나님께로 나지 않음이 없나니 - 단 2:21에, "그는 때와 기한을  변하시며
왕들을 폐하시고 왕들을 세우시며"라고 하였고, 단 4:25에는, "지극히 높으신 자가 인
간 나라를 다스리시며 자기의 뜻대로 그것을 누구에게든지 주시는 줄을 아시리이다"라
고 하였고, 사 10:5-6에는, "화 있을진저 앗수르 사람이여 그는 나의 진노의 막대기요
그 손의 몽둥이는 나의 분한이라 내가 그를 보내어 한 나라를 치게 하며"라고 하였다.  
이것을 보면, 모든 정권은 하나님께서 보내신 것이 확실하다.

 

 롬 13:2

  권세를 거스리는 자는 하나님의 명을 거스림이니 - 이것은, 권세에 대한  무조건적
순종, 혹은 무제한적 순종을 지시하는 말씀이 아니다.  예수님도 헤롯에게서  퇴거(退
去) 명령을 받았으나 그를 여우라 하시고, 그 영토에 체재하며 역사하셨다(눅 13:32).  
우리는, 특별히 종교 관계에 있어서, 불의한 정권의 명령을 순종할 수 없다.  사도 바
울은, 선을 장려하는 권세를 전제(前提)하고 이 말씀을 한 것이 분명하다(3절).  권세
에 대한 무조건적 순종을 가르친 그릇된 주장이, 역사상에 나타났다.  서양(西洋)에는
왕권 신수설(王權神授設=Divine right of kings)이 있었다.  이것은, 17세기에 영국사
람 로버트 필머(Sir Robert Filmer)가 주장한  바요,  스투아드(Stuard),  요한  낙스
(John Knox)등이 이를 반대하였다.  완권 신수설의 원리는, 그 문구의 뜻으로  보아서
정당하나 그 채용 역사(採用歷史)로 보아서 성경을 오해하고 나온 독재주의이다.   선
지자와 사도들도, 정권을 비판적 처지에서 대하였다.  호세아는 하나님께 불충하는 왕
권을 악하게 보았고(호 13:12), 사도 요한은 적그리스도 왕을 짐승이라 하고, 그 왕에
게 대하여 성도가 굴종하지 않음을 의롭게 보았다(계 13:7-8).  동양(東洋)에  있어서
왕권 세습주의(世襲主義)를 신성시(神聖視)하였고, 그 주의를 따르는  신민(臣民)만을
충신으로 여겼다.  그러나 동양에도 본래 민주주의가 있었다.  예를 들면, 상(商)  나
라의 악한 임금 주(紂)를 무왕(武王)이 토벌한 것은 민주주의 원리로 나온 것이고  사
욕을 위한 반역이 아니었다.  주(紂)가 극악했음으로, 민심이 전혀 떠나서 무왕에게로
돌아왔다.  동양사(東洋史)에 말하기를, "제후(地方官史)들이  800명이나  자발적으로
모여 다 말하기를, 주 임금은 쳐야된다"고 하였다.  동양의 세습주의(世襲主義)는  후
대의 타락된 정치 원리이다.  동양의 황금 시대는 요순시대인데, 요(堯)는 그  위(位)
를 불초한 아들 단주(丹朱)에게 주지 않고 순(舜)에게 주었다.  그리고  순(舜)도  그
아들 상균(商均)이 불초하므로 우(禹)를 세워 왕위를 계승케 한 것이었다.  이렇게 하
나님의 자연 계시(自然啓示)도, 성경의 원리를 따라서 정권에 대한 맹목적 순종을  반
대한다.

 

 롬 13:3,4

  관원들은 선한 일에 대하여 두려움이 되지 않고 악한 일에 대하여 되나니 - 이  말
씀은, 복종의 대상이 되는 정권의 성격을 밝혀 준다.  우리가 복종할 만한 정권은, 그
원칙에 있어서 악을 방지하고 선을 장려하기 위하여, 보복을 정당하게 실시하는  정권
이다.
   하나님의 사자 - 관원들을 "하나님의 사자"라고 한 이유는, 하나님께서 그들을  세
워서 현재의 문화와 질서를 보존시키기 때문이다.  루터(Luther)는, 폭군(暴君)의  정
치도 폭도의 무법 행위보다는 낫다는 의미로 말하였다.

   

 롬 13:5-7

   노를 인하여만 할 것이 아니요 또한 양심을 인하여 할 것이라 - 곧, 우리가 국가의
명령을 순종하는 동기가 정권 잡은 자의 노를 면하려는 데만 있는 것이 아니고,  우리
의 양심에 그것이 옳은 줄 알고 진실히 실행하려는데 있다.  국가의 명령이  하나님을
모독하는 것이 아닌 한, 신자들은 그것을 하나님의 내신 제도인 줄 알고 관원(官員)의
감시가 있든지 없든지 성의 있게 복종해야 한다.
   공세 - 이것은 인구세(人口稅)를 의미한다.  국민으로서는, 그 나라의 유지비(維持
費)라고 할 수 있는 세금을 잘 바쳐야 된다.
   국세 - 이것은, 관세(關稅)나 기타 행정비(行政費)를 위하여 받는 세금이다.

 

 롬 13:8

   피차 사랑  - 이것은 헬라 원어로  토 아가판 알렐루스니, "서로 사랑함"을 의미한
다.  이것은 우선 신자들끼리의 사랑을 가리켜 말하나, 역시 그 밖의 사람들을 제외하
는  것은  아니다.  사랑은 언제나 서로 협동해야 풍성해진다.  일방에서만 나오는 사
랑은, 고독하여 끊기기 쉽고 열매를 적게 맺는다.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서 무조건적
사랑을  받으려고 기대해서는 안된다.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서 오는 작은 사랑이라도
고맙게  여겨서 그것을 보답해야 된다.  그리 할 때에 그 사랑이 힘을 얻어 더욱 풍성
해진다.
   사랑의 빚 외에는 아무에게든지 아무 빚도 지지 말라 - 이것은, 사랑에  대하여는,
우리가 무한 책임(無限責任)을 져야 된다는 것이다.  기독 신자에게는, 사랑의 책임을
완전히 이루었다고 할 시간이 언제나 오지 않는다.  신자는, 그 원수에게 대해서도 사
랑의 책임을 지고 있다.  그는, 그가 전에 극력(極力) 사랑해 준 사람에게도 계속하여
사랑의 책임을 지고 있다.
   남을  사랑하는  자는  율법을  다  이루었느니라  -  여기  "남을  사랑하는  자"           
    
란 말은, 현재 분사(現在分詞)로 된 명사이다.  이것은, 사랑의 행동을 몇 번만 실행한
자가 아니고 계속하여 사랑의 생활을 하는 자를 가리킨다.

 

 롬 13:9

  간음하지 말라, 살인하지 말라, 도적질하지 말라, 탐내지 말라 한 것과 그 외에 다
른 계명이 있을지라도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신 그 말씀 가운데 다 들
었느니라 - 여기 관설된 계명들은, 모두 사람이 사람에게 대한 것이고 하나님에게  대
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것들은, (1)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만이 참으로 지킬 수 있
다.  우리가 사람을 사랑할 때에도, 하나님을 순종하는 동기(곧,  하나님을  사랑하는
동기)로 해야 된다.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 사람을 사랑하라고 명령하셨기 때문이다.  
그리고 (2) 이 계명들이 아무리 복잡해도 신자가 사랑하는 동기로 그것들을 실행하면,
그 실행이 기쁘고 또 어렵지도 않다.  그 이유는, 사랑은 수고를 수고로 여기지  않는
까닭이다.

 

 롬 13:10

   사랑은 이웃에게 악을 행치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니라 - 니즈
렌(Nygren)은 런덴시안(Lundensian)학파의 사람으로서,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란  말
을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곧, "사랑이 있는 곳에 율법의 계명들이 있을  자리가  없
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해석이다.  여기 바울이 말한 "율법의  완성"이
란 말은, 적극적 의미를 가진다.  곧, 율법이 사랑으로 말미암아 제외(除外)된다는 것
이 아니고 도리어 성취된다는 것이다.

 

 롬 13:11

  이 귀절부터는, 신자들이 영적으로 경성(警醒)해야 할 것을 가르친다.  그들이  경
성해야 될 이유는, 내세가 가까와 오기 때문이다.  내세에 소망을 두는 자는 그  대망
심(待望心)이 간절하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구원이 접근해 오는  느낌을  가지면서
영적으로 경성한다.  헬라 원문에는, 이 귀절 첫 머리에 "또한 너희가  이것(8-10절에
말한 사랑)을 더욱 행해야 될 것은"(*                    )란 말이 있는데, 우리  한
역에는 그 말이 빠졌다.
   이 시기를 알거니와 - 여기 "시기"(*                      )란 말은 "그  시기"라
고 번역해야 된다.  그 시기는 주님의 재림 시기(時期)이다.  
   자다가 깰 때 - 이것은, 죄악의 잠에서 깨어 일어날 때란 말이다
   이제 우리의 구원이 처음 믿을 때보다 가까왔음이니라 - 곧, 신자들이 어느 순간에
별세하여 주님을 만나게 될지 모르므로, 그들이 믿기 시작한 후 시간이 흐른 그  만큼
구원(주님을 만나게 될 것)이 더욱 가까와졌다는 뜻이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
것이 재림의 접근을 가리킨다고 한다.

 

 롬 13:12

  밤이 깊고 낮이 가까왔으니 - 밤이 깊어지면 낮이 가까와지는 법이다.  죄악이  극
도에 이르는 때는, 하나님의 심판적 간섭이 임한다.  옛날에 죄악이 온  땅에  관영한
뒤에 하나님의 홍수 심판이 왔고, 사사 시대의 암흑이 있은 후 다윗 시대의 광명이 왔
다.  다시, 말라기 선지 이후 400년 간 선지의 음성이 끊어지고 암흑 시대를 이루었으
나, 마침내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광명이 유대을 위시하여 세계에 비췬 것이다.   그리
고 제 5세기부터 15세기까지 교회는 교권주의(敎權主義)의 흑암 속에 바졌으나 16세기
에 종교 개혁의 대광명이 세계에 비췬 것이다.  그처럼 주님의 재림 직전에도, 이  세
상에 죄악의 밤은 깊어질 것이다.  그러나 그 때에 우리는 주님의 재림에  가까운  줄
알고 소망을 가져야 한다.
   여기 12-14 절은, 어거스틴(Augustine)이 밀란(Millan) 지방에서 기도할때에  이웃
에서 들려오는 소녀(小女)의 음성에 "취하여 읽어라"하는 소리를 듣고, 하나님의 명령
으로 알고 집에 들어가 성경을 펼 때에 보게 되어 하나님께  헌신하게  된  말씀이다.  
마리아 테레사(Maria Teresa)는, 어거스틴(Augustine)의 참회록(懺悔錄)을 읽다가  이
사건에 이르러서 그 자신이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것과 같은 영적 체험을 얻었다고 한
다.

 

 롬 13:13

  단정히 행하고 - 이것은 질서 있는 행위를 가리킨다.  살전 4:12참조.  질서와  규
모는 성경이 항상 역설한다(살전 5:14; 살후 3:6; 고전 14:33).
   방탕 - 이 말의 헬라 원어(*              )는, 식욕과 및 몸의 쾌락을 필요  이상
으로 취하는 것을 가리킨다.
   술 취함 - 이것은 방탕의 결과로 나온다.
   음란 - 이것은 불법하게 또는 과분하게 성적 욕심(性的慾心)을 부리는 악행이다.
   호색 - 곧, 예의를 문란하게 하며 색을 탐하는 행위니, 불결한 언사, 혹은  불결한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라이트푸트(Lightfoot)는, "호색"이란 것이,  공현(公現)
된 정욕주의(情欲主義)의 언행(言行)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 말의  어원(語
原)이 다른 사람에게 무례히 행하거나 혹은 난폭하게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쟁투와 시기 - 이 두 가지 말은 서로 인과적 관계(因果的關係)를 가진다.   쟁투는
시기의 원인이 된다.  사람은, 자기로 더불어 사귐이 친밀하고 애정이 깊은  자의  잘 되는 것을 기뻐하게 된다.
   위의 여섯 가지 악은, 각각 한쌍으로 서로 기맥을 통한다.  방탕한고로 술 취한 행
위가 나타나고, 음란한고로 호색의 행위가 나오고, 쟁투하는고로 시기의 행위가  나온다.

 롬 13:14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입고 - 이것은, 기독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성령의 보호를 받아 새로워짐을 말함이다.


  1. 박윤선 주석을 읽을 때에 내용이 없는 장

    read more
  2. 박윤선 주석, 로마서 01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3. 박윤선 주석, 로마서 02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4. 박윤선 주석, 로마서 03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5. 박윤선 주석, 로마서 04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6. 박윤선 주석, 로마서 05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7. 박윤선 주석, 로마서 06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8. 박윤선 주석, 로마서 07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9. 박윤선 주석, 로마서 08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10. 박윤선 주석, 로마서 09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11. 박윤선 주석, 로마서 10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12. 박윤선 주석, 로마서 11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13. 박윤선 주석, 로마서 12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14. 박윤선 주석, 로마서 13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15. 박윤선 주석, 로마서 14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16. 박윤선 주석, 로마서 15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17. 박윤선 주석, 로마서 16장

    Category로마서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All the Bibles, Commentaries and Dictionaries here have their own rights.
All rights are reserved for them, not for us. Thanks! Praise our great God, Christ Jesus!

HANGL Lingua Franca 한글 링구아 프랑카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