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선 주석, 이사야 18장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 18:1

  슬프다 구스의 강 건너편 날개치는 소리 나는 땅이여 - "날개치는 소리"라는 말은,
히브리 원어로 칠찰 케나파임(*                   )이니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1)
"날개 그늘"(shadow of wings-*                         )곧, 보호를 의미함. (2)"황
충의 날개 소리"혹은 "체체 파리의 소리"를 의미함. (3)"군대의 소리"가 있다는  의미
라고 함. (4)"꽹과리 소리"난다는 뜻이라 함. (5)구스와 무역하는 배들의 통행이 날개
치듯 한다는 뜻이라고 함. 위의 다섯 가지 해석 중 첫번 것이 적합한 듯하다.
   그러면, "구스의 강 건너편 날개치는 소리 나는 땅"은, 어느 나라를 의미하는가  ?
이것은, 결국 구스 나라 곧, 에디오피아 나라를 의미한다. 유대 민족은, 애굽의  보호
를 의지하고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은 것이 큰 죄악이었다.

 

  사 18:2

  갈대배를 물에 띄우고 그 사자를 수로로 보내며 이르기를 너희 경첩한 사자들아 너
희는 강들이 흘러 나누인 나라로 가되 장대하고 준수한 백성 곧 시초부터 두려움이 되
며 강성하여 대적을 밟는 백성에게로 가라 하도다 - "갈대배"는 극동  지방의  갈대와
같은 것이 아니고, 애굽 나일 강변에 있는 파피루스(견고한 섬유질로 된 植物)로 만든
배를 가리킨다. 이러한 배만이 나일강 상류에 간간이 있는 요란한 폭포수의 억센 물결
앞에서도 파선(破船)되지 않는다고 한다.
   "사자를 수로로 보낸"다 함은, 이스라엘을 침략하러 왔던 앗수르가, 하나님의 벌을
받아 파멸되었다는 소식을 구스 나라에 전하기 위하여 보낼  사자(使者)를  가리킨다.
유다 나라는 앗수르가 침략할 때에 구스 곧, 에디오피아의 원조를 바라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그 원조에 의하지 않고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유다는 승전(勝戰)하게  될  것이
다. 이 일에 대하여 선지자는 에디오피아에 통고하라고 하였으니, 이는, 에디오피아의
보호에 대하여 은근히 바라보는 유다의 외국 의존심(外國依存心)을 미리  파괴시킨다.
하나님을 의지하여야 할 유다가 이방 구스의 날개 그늘(날개치는 소리의 뜻)을 의지한
다는 것은 수치스러운 일이다.
   "경첩한 사자"는 빨리 가는 통신사(通信使)를 의미한다.  "장대하고  준수한  백성
곧, 시초부터 두려움이 되며...". 이것은 역시 구스 백성을 가리킨다.

 

  사 18:3

  세상의 모든 거민, 지상에 거하는 너희여 산들 위에 기호를 세우거든 너희는  보고
나팔을 불거든 너희는 들을찌니라 - 선지자는 유다를 침략할 앗수르 군대의 멸망할 큰
사건을 보라고 에디오피아에게 통고(通告)할 뿐 아니고, 세계 만민에게까지 통고한다.
앗수르 군대의 멸망할 사건은(사 37:36), 하나님의 택한 백성에 대한 그의 놀라운  구
원 사역이 어떠함을 보여주나니 그것은 온 세계에 알릴만하다. "산들 위에" 세운 기호
는, 앗수르에 대한 하나님의 승리를 알려주는 깃발이다. 언제든지 두 나라가 전쟁하다
가 승리한 편에서 먼저 깃발을 세우는 법이다. "나팔을 부는"것도 역시  승리를  알려
주는 뜻이다.

 

  사 18:4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내가 나의 처소에서 종용히 감찰함이 쬐이는 일광  같고 가을 더위에 운무 같도다 - 하나님의 사역은 고요한  "일광"(빛)이나  "운무"(雲霧)와 같다.

  사 18:5,6
  이 말씀은 비유로 되어 있으니 곧, 앗수르를 포도나무에 비유한다. "낫으로 그  연한 가지...퍼진 가지"를 찍어 버린다는 말은, 앗수르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을  가리킨다(계 14:18-20 참조). 그리고 그 벤 것을, "산의 독수리들에게와 땅의  들짐승들에게 끼쳐"준다 함은, 앗수르의 군대가 멸망하매 그 시체들을 "독수리"와 "들 짐승"이 먹도록 될 것을 비유한다. 그 만큼, 앗수르 군대의 패망은 상상할 수 없는 비참스러운  것이다. 그것은 인력(人力)으로 될 것이 아니고, 오직 하나님의 능력으로야 이루어질 것이다(사 37:36). "과하"는 여름을 지난다는 뜻이고, "과동"은 겨울을  지난다는  뜻이다.

  사 18:7
   여기 기록된 "백성"은 위의 제 2절 하반절에 말한 에디오피아 민족을 가리킨다. 그들은, 유다를 침략하여 올 앗수르 군대의 패망 사건을 보고 여호와의  권능을  깨닫는다. 그러므로 그들이 여호와의 권능을 깨달아 "시온산"(곧, 예루살렘 성전)에 오게 되리라고 한다. 이 예언은, 신약 시대에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매 구스 사람이  하나님께로  돌아오게  될   예언이라고도   볼   수   있다(Korte   Verklaring,   Jesaja, Dr.J.Ridderbos:Rijker vervulling vond onze profetie onder der nieuwen  dag  door de in Abessynie gegronde Christelijke kerk, waarvan de kamerling van Candace  de eersteling  was,  Hand.  8:26  vv.  Eens  wordt  in  het  nieuwe  Jeruzalem   de heerlijkheid en eer der volken ingebracht, Openb. 21:26.p.116).


Articles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