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3:1-9
이 부분에 "다윗"의 아들들에 관하여 길게 말한 것을 보니, 다윗이 중요하게 취급
된 것이 사실이다. 저자는 그가 메시야의 예표된 사실을 기억하였을 것이고, 또한 다
윗의 자손 중에서 메시야가 나실 것도 기억하였을 것이다. 마 1:1 참조.
이 부분(1-9)에 기록된 대로 다윗의 아들들 가운데 두 사람의 이름("엘리사마"와
"엘리벧렛")이 거듭 나온다. 6,8 참조. 이렇게 된 이유는 아마도 다음과 같이 생각된
다. 처음 났던 "엘리사마"와 "엘리벧렛"은 일찍 죽었고, 그 후에 난 다윗의 아들들이
같은 이름으로 불리움이 된 듯하다. 다윗의 아들들의 이름은 거의 전부 하나님의 성호
와 관련되었다. 하나님 중심으로 살았던 다윗의 신앙이 이 이름들 가운데도 나타났으
니, 주로 "하나님이 심판하셨다"(다니엘=* ), "하나님께서(기도를) 들으셨다"
(엘리사마=* ), "하나님께서 구원하셨다"(엘리벧렛=* )는 사상이
다. 이와 같은 사상이 다윗의 시편에도 많이 나온다.
대상 3:10-13
이 부분에 솔로몬 이후 왕들의 이름이 기록되었는데 그 이름들의 반수 이상이 악한
왕들이다. 다음 일람표로 이들의 선악을 참조하라.
남조 유다 왕들의 선악 비교 일람표.
+------+--------------+---------------------------+----------------------------+
| 절수 | 이 름 | 평 가 | 성 구 |
+------+--------------+---------------------------+----------------------------+
| 10 | 르 호 보 암 | 악한 왕 | 왕상 12:13-14 |
+------+--------------+---------------------------+----------------------------+
| " | 아 비 얌 | " | 왕상 15:3 |
+------+--------------+---------------------------+----------------------------+
| " | 아 사 | 선한 왕 | 왕상 15:11 |
+------+--------------+---------------------------+----------------------------+
| " | 여 호 사 밧 | " | 왕상 22:43 |
+------+--------------+---------------------------+----------------------------+
| 11 | 여호람(요람) | 악한 왕 | 왕하 8:18 |
+------+--------------+---------------------------+----------------------------+
| " | 아 하 시 야 | " | 왕하 8:27 |
+------+--------------+---------------------------+----------------------------+
| " | 요 아 스 | 비교적 선한 왕 | 왕하 12:2-3 |
+------+--------------+---------------------------+----------------------------+
| 12 | 아 마 샤 | 선한 왕 | 왕하 14:3 |
+------+--------------+---------------------------+----------------------------+
| " |아사랴(웃시야)| 비교적 선한 왕 | 왕하 15:3-4 |
+------+--------------+---------------------------+----------------------------+
| " | 요 담 | 선한 왕 | 왕하 15:34-35 |
+------+--------------+---------------------------+----------------------------+
| 13 | 아 하 스 | 악한 왕 | 왕하 16:2-4 |
+------+--------------+---------------------------+----------------------------+
| " | 히 스 기 야 | 선한 왕 | 왕하 18:3-6 |
+------+--------------+---------------------------+----------------------------+
| " | 므 낫 세 | 악한 왕 | 왕하 21:2-6 |
+------+--------------+---------------------------+----------------------------+
| 14 | 아 몬 | " | 왕하 21:20-22 |
+------+--------------+---------------------------+----------------------------+
| " | 요 시 야 | 선한 왕 | 왕하 22:2 |
+------+--------------+---------------------------+----------------------------+
| 15 |여 호 아 하 스| 악한 왕 | 왕하 23:32 |
+------+--------------+---------------------------+----------------------------+
| " | 여 호 야 김 | " | 왕하 23:37 |
+------+--------------+---------------------------+----------------------------+
| 16 | 여 호 야 긴 | " | 왕하 24:9 |
+------+--------------+---------------------------+----------------------------+
| " | 시 드 기 야 | " | 왕하 24:19 |
+------+--------------+---------------------------+----------------------------+
위의 19명 중 6명은 선한 왕이었고, 2명은 비교적 선한 왕이었고, 11명은 악한 왕이었다. 이렇게 많은 왕들이 악하였다는 것은 두 가지 사실을 계시한다. 곧, (1)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멀리하고 인간 왕을 구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 (2) 하나님의 아들 메시야(* -단 9:25-26)만이 참된 왕이라는 것. 메시야는 예수님이시다(눅 4:16-21; 요 1:32-34; 행 3:20).
대상 3:17-22
여기서는 "여고냐"가 바벧론으로 사로잡혀 간 후에 난 자손들에 대하여 말한다. 이 족보가 예수님 족보의 포로 후 부분(마 1:12-13; 눅 3:27)과 일치할 것으로 예측되나 "스알디엘"과 "스룹바벧" 두 이름 밖에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그 두 기록이 일치하지 않게 된 원인들 중 추측되는 한 가지는, 각기 그 저자의 기록한 각도가 다른 사실에 있다. 한 저자는 실제적 출생 관계를 생각한 견지에서 기록한 반면에, 다른 저자는 계양 관계를 따라서 기록하기도 하였을 것이다.
여기 또 한가지 난제는, 22절 끝에 있는 "여섯 사람"이란 말이다. 그 위에 나온 이
름이 도합 다섯인데 왜 "여섯"이라고 하였을까? 이 문제는 22절의 히브리어(* )를 다음과 같이 바로 번역하면 해결된다. "스가냐의 자손들은 스마야와 그 아들들, 곧 핫두스와 이갈과 바리야와 느아랴와 사밧 여섯 사람이요"라고.
Previous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