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선 주석, 역대상 02장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상 2:1,2

   이스라엘의 아들(1절 초두) - "아들"이란 말(*      )은 복수로서  "아들들"이라고
번역되어야 한다. 본서의 저자는 여기서부터 8장까지 메시야께서 나실 이스라엘  민족
의 족보를 길게 취급한다. 이것을 보니 본서에 민족들의 족보들을 기록한 저자의 목적
이 영적인 것이 드러난다. 그는 다른 민족들의 족보는 간단히 말하고(1:5-16, 28-54),
이스라엘 민족의 족보는 길게 진술한다. 구원은 유대인에게서 난다고, 예수님이  말씀
하신 것처럼(요 4:22 끝), 일찌기 역대기 저자는 그 사실을 예언하는 의미에서 이스라
엘의 족보를 특수 취급한 것이다.
  이스라엘(야곱)의 열 두 아들들 가운데 맏아들도 아닌 "유다"가 족보의 본론에 첫째
로 기록된 것도(3절) 이런 영적 의미를 가진다. 메시야는  유다  지파에서  나셨다(창
49:8-10; 히 7:14; 계 5:5). 이스라엘(야곱)의 아들들은 다음과 같다.
+------+----------+----------------------------+-------------------------------+
| 절수 | 이    름 |     히   브   리   어      |     의                미      |
+------+----------+----------------------------+-------------------------------+
|  1   | 르 우 벤 |                            |  아들을 보라                  |
+------+----------+----------------------------+-------------------------------+
|  "   | 시 므 온 |                            |  들음                         |
+------+----------+----------------------------+-------------------------------+
|  "   | 레    위 |                            |  연합                         |
+------+----------+----------------------------+-------------------------------+
|  "   | 유    다 |                            |  찬송                         |
+------+----------+----------------------------+-------------------------------+
|  "   | 잇 사 갈 |                            |  상급 주다                    |
+------+----------+----------------------------+-------------------------------+
|  "   | 스 불 론 |                            |  머물다                       |
+------+----------+----------------------------+-------------------------------+
|  "   |    단    |                            |  심판                         |
+------+----------+----------------------------+-------------------------------+
|  "   | 요    셉 |                            |  더한다                       |
+------+----------+----------------------------+-------------------------------+
|  "   | 베 냐 민 |                            |  오른손의 아들                |
+------+----------+----------------------------+-------------------------------+
|  "   | 납 달 리 |                            |  씨름                         |
+------+----------+----------------------------+-------------------------------+
|  "   |    갓    |                            |  군대                         |
+------+----------+----------------------------+-------------------------------+
|  "   | 아    셀 |                            |  복되다                       |
+------+----------+----------------------------+-------------------------------+

 

   대상 2:3

   유다의 아들은 에르와 오난과 셀라니 - "에르"는 악하였기 때문에  여호와의  벌을
받아 죽었고(창 38:7), "오난"도 악하였으므로 그렇게 되었다(창 38:9-10).  "셀라"에
대하여는 창 38:2,5,11,14,26; 민 26:20 을 참조하라.


   대상 2:4

    유다의 며느리 다말이 유다로 말미암아 베레스와 세라를 낳았으니 - "베레스와  세
라"는 "유다"가 부지 중에 저지른 불륜(不倫)에 의하여 낳은 아들들이다. 창 38:12-30
참조. 이 점에 있어서 "유다"의 결점도 드러난다. 메시야께서 유다  족속에서  나시게
됨은 그 족속이 깨끗했던 까닭이 아니고 하나님의 주권적(主權的)인 선택에 의하여 된
일이다. 인류를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는 이렇게 그들의 불결을 문제시 하지  않고
그의 선택의 자유의지대로 실시된다. 롬 4:4-5 참조. 그의 이와 같은 구원 실시의  목
적은 물론 그들을 거룩하게 하시려는 것이다. 요 17:17; 살전 4:3,7; 벧전 1:15-16 참
조.


 대상 2:5-8

   여기서는 특별히 "세라"의 아들들에 대하여 비교적 자세히 말한다. 그의 아들들 중
네 사람, "에단과 헤만과 갈골과 다라"는 하나님을 아는 지혜로 유명한 자들이었다(왕
상 4:31). 그 반면에 그의 자손 가운데 "가르미"의 아들 "아갈"(아간)과 같은 악한 자
도 있음을 숨기지 않았다(7절). 이렇게 성경 저자는 언제든지 사실주의에 입각하였고,
또 인간의 자랑거리를 막아버린다. 고전 1:26 참조.


  대상 2:9-12

   "다윗"의 족보가 여기에 기록되었는데, 그의 이름으로 이새의 아들들에 대한  기록
이 끝나고 다윗의 아들들에 대하여는 말하지 않는다. 이것을 보니 이 부분 기록의  목
표가 그리스도의 예표된 다윗을 내세우려는 것임이 분명하다. 삼상 16:10 이하에는 다
윗이 이새의 여덟째 아들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서는 "일곱째"라고 한다. 이새의  여덟
아들들 가운데 한 사람이 자식 없이 조사(早死)한 경우에 역대기 저자는 다윗을 "일곱
째"라고 하였을 것이다.
  우리가 옛날 이스라엘의 조상들의 족보를 읽으면서 깨닫는 것은, 그 많은  조상들의
대부분이 아무 빛나는 행적도 없이 이름만 남기고 죽었으니 그들의 삶이 우리  보기에
는 무의미한 듯하다. 그러나 하나님은 자비로우셔서 그들에게서도 다윗과 같은 신자가
나도록 하셨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돌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게 하시는(마 3:9) 주
권과 창조력을 가지셨다. 그는 진노 중에도 자비를 기억하신다. 합 3:2 참조.


  대상 2:18-20

   여기 나온 "갈렙"이 모세의 정탐꾼이었던(민 13:6) 여분네의 아들을  가리킨  것은
아니라고 한다(J.M. Myers, The Anchor Bible, Chronicles, 1965, p. 14). 이  해석이
타당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모세의 정탐꾼 갈렙은 여분네의 아들이고, "그나스(혹은 그
니스) 사람"이라고도 하기 때문이다(수 14:6). 그나스 족속은 이스라엘  민족과  다른
족속인데(창 15:19) 그 족속의 여분네의 아들이 그 족속에서 떠나 이스라엘에  귀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가 유다 지파 갈렙(헤스론의 아들. 18절)의 가문에서 아내를 취하
고 자기의 이름을 "갈렙"이라고 한 듯하다. 이 갈렙(모세의 정탐꾼)이 그의 딸의 이름
을 "악사"라고 하였는데(수 15:16), 그것은 역시 유다 지파 갈렙(헤스론의 아들)의 딸
의 이름(49절)을 모방하여 지은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 Bible, 1944, p.341).
  갈렙(헤스론의 아들)의 아들 "훌"(*      )은 이스라엘의 광야 시대에 이름난  사람
이었으니, 이스라엘이 아말렉과 싸울 때에 그가 아론과 함께 모세의 손을 붙들어 올렸
고(출 17:12), 모세가 시내산에 머무는 동안 "훌"은 역시 아론과 함께 이스라엘을  위
하여 대신 행정을 집행하기도 하였다(출 24:14). 그리고 갈렙의 증손 "브사렐"(*    
      )은 성막 건축에 중요한 기술자로 봉사하였다(출 31:2, 35:30, 36:1-2, 37:1).


  대상 2:21-41

   여기서는 "헤스론"의 다른 아내에게서 낳은 자손들에 대하여 말한다. 이렇게  저자
는 헤스론의 후손들이 왕성함을 역설한다. 룻 4:12 참조. 베레스(헤스론의  아버지)가
승하게 될 것에 대하여는 그의 출생 때에 미리 암시되었다(창 38:28-30). 그것이 일종
의 예언이었는데 그대로 성취된 것이다. 31절에, "세산의 아들은 알래"라고 하였는데,
34절에는 "세산은 아들이 없고"라고 한다. 그러나 이 난제는 쉽게 해결된다. 그의  아
들이 조사(早死)했을 경우에는 아들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부분(21-41)에, 52개의 이름들 중 하나님의 성호와 관련된 것이 여덟 개이다. 그
여덟 이름들은 다음과 같다.
+------+----------+--------------------------+---------------------------------+
| 절수 | 이    름 |   히   브    리   어     |    의                    미     |
+------+----------+--------------------------+---------------------------------+
|  24  | 아 비 야 |                          | 여호와께서 아버지이시다         |
+------+----------+--------------------------+---------------------------------+
|  25  | 아 히 야 |                          | 여호와께서 형제이시다           |
+------+----------+--------------------------+---------------------------------+
|  28  | 삼    매 |                          | 여호와께서 들으셨다             |
+------+----------+--------------------------+---------------------------------+
|  33  | 요 나 단 |                          | 여호와께서 주셨다               |
+------+----------+--------------------------+---------------------------------+
|  38  | 아 사 랴 |                          | 여호와께서 도우셨다             |
+------+----------+--------------------------+---------------------------------+
|  39  | 엘르아사 |                          | 하나님이 지으셨다               |
+------+----------+--------------------------+---------------------------------+
|  41  | 여 가 마 |                          | 여호와께서 일으키신다           |
+------+----------+--------------------------+---------------------------------+
|  41  | 엘리사마 |                          | 하나님이 들으셨다               |
+------+----------+--------------------------+---------------------------------+
  위의 이름들은 그 시대의 신앙 사상을 어느 정도 반영시켰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삼매"란 이름(28절)은 은밀한 가운데서 사람들의 말하는 것을  하나님이  들으신다는
것이다. 이런 사상은 구약 시대의 신자들이 체험한 데서 생겼고, 그런 뜻으로  이름도
짓게 되었을 것이다. 자유주의 학자들은 역대기의 이름 목록은 취미 없는  기록이라고
잘못 판정한다. 엠슬리(W.A.L. Elmslie)는 역대기의 특징들을 세 가지로 말하면서, 그
중 한 가지는 역대기에 포함된 사람들의 이름 목록이 흥미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The
Interpreter's  Bible, Kings,  Chronicles, Ezra, Nehemia, Esther, Abington Press,
1954, p. 342). 그러나 위의 학설은 그릇된 판단에서 나왔다. 우리는 이런 많은  이름
들을 볼 때 성경 기자들의 저술 동기가 독자들의 문학적 취미를 만족시키려는 것이 아
니었고 역사적 사실을 진실히 전하려는 데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경은  사실주
의 문서이다.


  대상 2:42-45

   여기서는 베레스의 아들 헤스론의 계통, 곧 "갈렙"의 맏아들 "메사"의 자손들과 갈
렙의 두 "첩"에게서 난 자손들에 대하여 말한다.
  인간의 판단에 의하면 유다의 자손들이 왕성하리라고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처
음에 유다의 아들들은 비참하였으니, 그 맏아들 "엘"은 악인이었으므로 하나님의 벌을
받아 죽임이 되었고(창 38:7), 둘째 아들도 역시 악행으로 인하여 여호와께서  죽이셨
다(창 38:9). 그 뿐 아니라 유다 자신이 자기의 자부(다말)를 창기로  오인하고  그를
위하여 그로 말미암아 베레스와 세라를 낳았다(창 38:15-30). 일이  이렇게  비참하게
된 것을 본 사람들은 유다의 자손이 왕성할 것을 기대할 수 없었을 것이다. 역대기 저
자도 이런 의미에서 본장 초두(3-4)에 그 비참한 사건들을 낱낱이 기록하였다. 그런데
도 하나님은 유다 지파를 그 어느 지파보다 우세(優勢)하게 만드시려고 크게 축복하시
고 번성케 하여 주셨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종종 사람들의 판단과 다르게 은혜와 능력
으로 그의 약속을 성취하신다. 유다의 자손들이 번성하게 된 것은 전혀  유다의  옳음
때문이 아리고 하나님의 약속 성취이다. 창 49:8-12 참조. 하나님께서는 그의  약속들
을 성취하심에 있어서, (1) 세상의 약한 것들을 택하사 강한 것들을 부끄럽게  하시며
(고전 1:27), (2) 진노 중에도 자비를 기억하신다(합 3:2). 이것을 보면 신자들은  이
세상의 어떤 비참한 자리에서도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기도를 계속하며 낙심하지 말아
야 된다. 그들이 별세한 뒤에도 하나님은 그들의 믿었던 것을 기억하시고  이루어주신
다.


  대상 2:50-55

   여기서는 "갈렙"의 다른 아내 "에브라다"에게서 난 자손들에 대하여 말해준다.
  이는 다 레갑의 집 조상 함맛에게서 나온 겐 족속이더라(55절하반) - 곧, "겐 족속"
(모세의 처족)의 어떤 사람이 "훌"의 계통(유다 족속. 20절)의 어떤 사람의 딸과 결혼하고 '귀화한 결과로 생긴 족속'이라는 뜻이다. "겐 족속"인 "레갑"의 자손들이  이스라엘과 가까이 거주한 사실에 대하여는 다음 귀절들이 증거한다(삿 4:11,17, 5:24, 삼상 15:6, 30:29). 특별히 그들은 절제 생활로 모본을 보여주었다. 렘 35장 참조. 이스라엘의 족보에는 정상적이 아닌 결혼 관계로 난 자손들도 많다. 대상 2:4,19,21,46 참조. 하나님의 거룩한 뜻은 사람들이 일남 일녀의 부부 생활을 지켜 경건한 자손을  얻음이다. 말 2:15 참조. 그러나 인류의 완악한 마음 때문에 하나님의 거룩한 제도가 실행되지 못한 일이 많다. 마 19:8 참조. 이렇게 정상적이 아닌 결혼 관계로 낳은  자손들 중에서도 하나님이 쓰신 인물들이 있다. 삿 11:1, 32-33; 삼하 12:24-25;  마  1:3 참조.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과 긍휼로 된 것이다.


Article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