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삼하 13:1-7

 "암논"은 다윗의 맏아들인데 그가 이복형제 압살롬의 누이
  "다말"때문에 심화병에 걸렸었다. 다윗 왕가에 이러한 일이 있게 된  것은,  일찌기
선지자 나단을 통하여 예언된 하나님의 말씀(12:10-12) 성취의 시작이다. 곧, 죄를 뿌
린 자로 쓴 열매를 거두게 하시는 하나님의 심판의 시작이다. 매튜 헨리(Matthew Hen-
ry)는 말하기를, "하나님의 은혜는 혈통으로 흐르지 않으나 부패성은 그렇게  된다"고
하였다(Grace of God does not run un the blood, but curruption does). 인류 역사상
에 여성의 미모(美貌)로 인하여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패망하였는가! 그러므로 여성은
그 얼굴의 아름다움을 자랑하거나 그것 때문에 교만하지 말고 마땅히 하나님께 감사하
며 겸손히 처신해야 된다.
  암논은 그의 친구 요나답의 충동을 따라서 마침내 범죄하게 되었다. 불량한 자는 악
한 친구의 영향도 많이 받게 된다. 그에게 선한 친구가 있었다면 그도 그 친구의 충고
나 감화력에 의하여 선량해질 수 있었을 것이다. 요나답의 충동은 암논의 악행에 그의
부친(다윗)을 관련시키도록 계교를 꾸민 것이었다(5절). 여기서 마귀의 간교한 궤계를
볼 수 있다. 하나님의 섭리를 따라서 마귀는 불량한 자식을 통하여 부친을 괴롭히기를
위주한다. 다윗은 본의(本意) 아니게 암논에게 범죄의 기회를 만들어  주었으니(7절),
후일에 그의 괴로움은 이 점에서 더욱 심각해졌을 것이다. 하나님의 섭리에 의하여 불
량자를 둔 부친이 이렇게 괴로움을 당하게 되는 원인은 다 알기 어렵다. 그러나  우리
는 두어가지로 말할 수 있으니, (1) 하나님께서 의로운 부친을 겸손케 하시려는  까닭
이며, (2) 혹은 부친의 죄를 징계하시기 위함이다.


 삼하 13:8-11

 여기서 우리는 암논의 범죄 과정을 볼 수 있으니, 암논의 범죄 그것은, (1)  시종일
관 속이는 것이며(6절), (2) 그 범행을 지향하고 점점 접근해 감이다. 암논은    다말
로 하여금 자기 집으로 찾아오게 만들었고(8절),    자기 방에서 다른 사람들을  떠나
게 만들었고(9절),    다말로 하여금 자기 침실로 들어오게 하였고(10절 상반),    다
말로 하여금 자기에게 과자를 먹이기 위해 가까이 오도록 하였고(10절 하반),    다말
을 붙잡았다(11절).


  삼하 13:12-14

 암논은 다말의 거절하는 강한 이유 역설(理由力說)을 전혀 듣지  않고  흉악범(凶惡
犯)을 저질렀다. 사람은 누구든지 욕심으로 잉태하면(살깊이 죄와 합하면) 그  누구의
어떤 말도 듣지 않는 법이다. 그 이유는 그 단계에서는 그 사람이 죄로 꽉 찼기  때문
이다. 다말의 거절 이유는 얼마나 강한 것이었던가? (1) 패륜의 악행은 하나님의 거룩
한 백성 이스라엘 중에 있을 수 없다고 함(12절). 이 말로써 그는 선민(選民)의  프라
이드(pride)가 성결(聖潔)에 있음을 바로 지적하였다. (2) 그런 범행이 저질러질 경우
에 자기 자신에게나 상대방(암논)에게 말할 수 없는 수치가  돌아온다고  함(13절  상
반). 사람은 짐승이 아니므로 하나님 앞에서는 물론이고 사회적으로도 부끄러운  지탄
을 받고는 견디기 어렵다. (3) 왕께 요청하여 정식 결혼을 성립시키자고  함(13절  하
반). 이 말은 물론 그 현재 암논의 욕구를 만류시키려는 수단으로 제안한 것에 불과했
을 것이다. 사실상 형제끼리의 결혼은 성경에 금지되어 있다(레 18:9, 11, 20:17). 이
상과 같은 다말의 간곡한 이유에 대하여 암논은 전혀 고혀해 보지도 않고 다말을 강간
하였다.


  삼하 13:15-17

 암논이 범행을 저지른 후에는 괴악스러운 변태 심리를 가졌으니,  그것은  다말에게
대한 그의 심한 미움이다(15절). 그는 다말을 자기 집에서 강제로 끌어내고 문을 잠갔
다. 사람들이 쾌락을 위하여 범죄하지만 그 결말은 쓴 것으로 드러난다.


  삼하 13:18,19

 다말은 큰 슬픔에 잠겨, (1)
  "재를 그 머리에 무릎쓰고", (2) 공주의
  "채색옷을 찢고", (3)
  "손을 머리 위에 얹고 크게 울며" 돌아갔다. 그의 순결한 덕은 그의 슬픔으로  증명
된 것이다. 그는 수욕(羞辱)을 당하였지만 그렇게 된 처지대로 동화(同化)되어 버리지
않고 원통히 여겨 슬퍼한 것이다. 그가 그 당한 일에 있어서 어디까지나 자기  측에서
정조를 굽히지 않았다는 것이 그의 이와 같은 애통으로 증명된다. 이런 눈물은 윤리적
성격을 지닌 것이니 귀하다.

 

  삼하 13:20

 암논이 너와 함께 있었느냐. - 이 질문은 암논의 범행을 확인하는 것이다
  시방은 잠잠히 있고. - 압살롬의 이와 같은 말은 암논의 범행을 무사히 넘기자는 의
미가 아니고 도리어 암암리에 복수의 흉계를 꾸미려는 암시였다. 이것이야말로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는 흉계였다. 그가 만일 신자라면 자기 형 암논을  회개
시키려는 목적으로 꾸짖어 죄를 깨닫도록 대화의 기회를 마련했어야 할 것이다.  그런
데 그는 2년 동안이나 침묵을 지켰으니(22절), 그것은 독(毒)을  머금은  입이었다(잠
10:11). 분노를 오랫동안 품는 자의 마음에 마귀가 틈을 타서  역사한는  법이다.  엡
4:26-27 참조.


  삼하 13:21

 다윗왕이 이 모든 일을 듣고 심히 노하니라. - 그가 노하였다는 것만 여기에 기록되
어 있고 다른 말은 없다. 이것을 보면 다윗이 암논의 악행을 징계하지 않은 것이 분명
하다. 이것은 그의 불찰이었다. 그가 암논을 공적(公的)으로  징계하였던들  암살롬의
분(忿)이 풀렸을지도 모르며, 역사는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교회나 국가가 죄인을  다
스리지 않을 때에 그 죄인은 더 큰 화(禍)를 당하게 된다.


  삼하 13 :23-25

 그 때에 이스라엘에는 양털을 깎는 기회에 큰 연회를 베푸는 풍속이  있었다.  삼상
25:7-8, 36 참조. 압살롬은 이 기회에 자기 형 암논을 죽이려고 계획했던 것이다.  이
사건에 있어서도 다윗은 본의 아니게 관련을 가지도록 되었으니, 그가 압살롬의  요청
에 의하여 암논으로 하여금 그 연회에 참석하도록 한 것이다. 다윗은 이 일  때문에도
더욱 괴로움을 당하였을 것이다. 13:7에 대한 해석을 참조하라.


  삼하 13:28-30

 압살롬이 그의 사환들에게 미리 명령하여 암논을 죽이게 하였다. 다윗은 이  소식을
와전된 대로 듣고 왕자들이 모두 죽임이 된 줄 알고 크게 슬퍼하였다. 그 때에 암논만
이 죽임이 되었을 것이라는 요나답의 위로가 있었다(32-35). 요나답의 간사한  성질은
이 때에도 나타났다. 그는 일찌기 암논으로 하여금 다말에게 범행을 저지르도록  흉계
를 가르쳐 주지 않았던가(5절)! 그것은 암논으로 하여금 멸망의 길로 가도록 한  악행
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슬픈 마당에서 조금도 양심의 가책이나 도의적 책
임을 느끼지 않고 다윗왕을 돕는 듯이 위로하는 탈을 쓰고 나섰다.

  삼하 37:38-39
 압살롬이 도망하였으므로 다윗은 날마다   "그 아들"(압살롬)을 인하여 슬퍼했다. 이 때의 다윗의 슬픔은 죽은 암논을 위한 것이었다고 하는 학자가 있으나(Delitzsch), 39절의   "압살롬에게 향하여 간절하니" - 라는 문구(  )를 보아서 다윗이 압살롬으로 인하여 슬퍼한 것이 확실하다. 그 문구는 '압살롬에게로 나아가기를 간절히 원했다'는 뜻이다. 불효자는 무슨  행동으로든지 그 부모에게 피로움을 준다.  "그술"은 아람에 있는 작은 나라였는데(삼하 15:8), 그 나라의 왕
  "달매"는 압살롬의 어머니 "마아가"의 부친이다(삼하 3:3).


  1. No Image notice by

    박윤선 주석을 읽을 때에 내용이 없는 장

  2.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01장

  3.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02장

  4.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03장

  5.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04장

  6.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05장

  7.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06장

  8.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07장

  9.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08장

  10.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09장

  11.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0장

  12.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1장

  13.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2장

  14.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3장

  15.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4장

  16.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5장

  17.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6장

  18.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7장

  19.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8장

  20.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19장

  21.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20장

  22.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21장

  23.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22장

  24.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23장

  25. No Image 26Sep
    by anonymous
    in 사무엘하

    박윤선 주석, 사무엘하 24장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All the Bibles, Commentaries and Dictionaries here have their own rights.
All rights are reserved for them, not for us. Thanks! Praise our great God, Christ Jesus!

HANGL Lingua Franca 한글 링구아 프랑카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