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윤선 주석, 사사기 03장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삿 3:1,2

   여호와께서 가나안 전쟁을 알지 못한 이스라엘을 시험하려 하시며 이스라엘 자손의
세대중에 아직 전쟁을 알지 못하는 자에게 그것을 가르쳐 알게 하려 하사 남겨두신 열
국 - "이스라엘을 시험"하신다고 함은 그들에게 시련을 주셔서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
께로 돌아오도록 하심을 의미한다. 이 말씀을 보면 전쟁도 하나님이 쓰시는 필요한 일
중의 하나이다. 하나님은 그를 배반한 이 세상 사람들을 전쟁의 재앙을 통하여 겸손케
만드시며, 회개하고 그에게로 돌아오도록 역사하신다.


  삿 3:4

   남겨 두신 이 열국으로 이스라엘을 시험하사 - 하나님께서는 이 죄악 세상에  가시
와 올무를 남겨 두신다(2:3). 그가 그렇게 하심으로 교만한 인생들을 꺾으시며 또  낮
추신다. 창 3:18 참조.


  삿 3:5,6

   그 때에 이스라엘이 가나안 족속들과 통혼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다(신 7:3).  그
럼에도 불구하고 그 때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의 명령을 어겼다. 이  점에  있어서
우리가 한 가지 생각할 것이 있다. 그것은, 이 명령은 국적(國籍)이 다른 사람끼리 결
혼하는 것이 창조 질서를 위반하는 것이 되므로 주신 것일까?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어떤 특수한 경우에 한해서 필요에 의하여 주어진 것이었을까? 우리는 이 점에 있어서
뒤의 것을 옳게 본다. 그 이유는 모세도 이방여인을 아내로 취하였고(출 2:21-22), 요
셉도 그리했으며(창 41:45), 그 밖에 경건한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방 여자를 취한  예
가 많기 때문이다. 룻 4:9-10 참조. 그러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의 가나안  족속
과의 결혼을 금지하신 것은 그런 결혼을 통하여 이스라엘에 우상이 수입되겠기 때문이
다.
   오늘날 기독교회 안에도 역시 이와 같은 문제가 있다. 신자가 불신자로 더불어  결
혼하는 것은 금지되어야 한다. 이 금지의 목적은 신자측의 신앙상 손실을  막기  위한
것이다. 고후 6:14에 말하기를, "너희는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같이 하지 말라"고 하
였다.


  삿 3:7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 목전에 악을 행하여 자기들의 하나님 여호와를 잊어버리고
바알들과 아세라들을 섬긴지라 - "하나님 여호와를 잊어버린" 생활은  종교적  타락에
극단에 이른 것이다. 그들이 이렇게까지 떨어진 원인은 그들이 효과적인 신앙  교육을
받지 못한 데 있다. 그래서 그들은 하나님 여호와를 모르는 자처럼 되어 버렸다. 이렇
게까지 타락한 자들은 별 수 없이 종교적으로 추잡한 우상들을 섬기게 된다. 여기  이
른바 "바알들과 아세라들"이라고 한 것은 그 우상의 다수를 지적하는 표현이다.  우상
을 섬기는 종교는 헛되기 때문에 그 섬기는 자에게 진정한 만족을 주지 못한다.  따라
서 우상 숭배자는 무수한 헛된 신(神)들을 섬기게 된다. 그들의 종교는 결국 그들에게
괴로움을 줄 뿐이다. 시 16:4에 말하기를, "다른 신에게 예물을 드리는 자는 괴로움이
더할 것이다"고 하였다.


  삿 3:8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사 그들을 메소보다미아 왕 구산 리사다임의  손에
파셨으므로 이스라엘 자손이 구산 리사다임을 팔 년을 섬겼더니 - 여기 이른 바 "리사
다임"(*            )은 배나 악한, 곧 아주  약했던이란  뜻이고,  "메소보다미아"(*
)는 두 강의 아람이란 뜻이다. "구산"(*        )은 구스(*      )를  어원으로  했을
것이다. "구스"는 바벧론 왕 니므롯의 부친이었다(창 10:8). 그 때에 이스라엘이 이런
악한 왕에게 예속되었으니 만큼 그 압제 밑에서 종살이를 하게 된 것이었다.
   클로스텔만(Klostermann)은, 여기 "아람 나하라임"("메소보다미아"란 말의  히브리
어)이란 문구에 있어서 "아람"(*      )이란 말이 히브리어로 에돔(*      )이란 말과
유사한 것으로 보아, 본래는 에돔이었는데 후에 서사자(書寫者)의 오기(誤記)로  인하
여 아람으로 전승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GVI. p.119). 이 학설은 말괄트(Marquart)
도 찬성한다(Fundamente Israelischer und Judischer Geschichte, p.11). 그러나 이런
학설은 하나의 추측에 불과하다.
   하나님께서 그의 사랑하시는 백성에게도 이런 말할 수 없는 고통을 주시는  목적은
그들을 회개시키려는 데 있다.


  삿 3:9-11

   이스라엘이 고통 중에서 회개할 때에 하나님께서
   "옷니엘"을 사사로  세워  주셔서 그들을 구원하도록 하셨다.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 (9절 상반). 이 말씀은 그들이 하나님께로 돌아와 회개하며
기도하였다는 것이다(10:10). 특별히 "부르짖었다"는 말(*      )은 힘을 다해 부른다
는 뜻이니, 기도의 간절성을 잘 표현한다.
   여호와의 신이 그에게 임하셨으므로 - (10절 초두). 이 말은 초자연적 지혜와 용기
로 이스라엘의 원수를 물리치며 또 그 백성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을 받았다는 뜻이다
(Keil & Delitzsch). 삿 6:34, 11:29; 삼상 10:10, 11:6,  16:13,  19:20,  23;  대상
12:18 참조. 옷니엘이 사사로 있는 동안 이스라엘은 40년 동안 태평하였다.


  삿 3:12-14

   옷니엘의 별세 후 이스라엘이 다시 범죄하였으므로 하나님께서 그들을 침략자의 손
에 붙여서 압제를 받게 하셨다. 이스라엘이 이렇게 자주 타락할 때마다 이방의 침략을
당했는데, 그런 사실이 사사기에 기록된 대로 모두 여섯 차례나 된다. 곧, 메소보다미
아, 모압, 가나안, 미디안, 암몬, 블레셋 등의 침략이다. 비록 이스라엘이 자주  타락
했을지라도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버리지 않으시고 징계를 통하여 그들을 깨우치며  끝
까지 돌아보셨다. 옛날 이스라엘과 함께 역사상에 존재했던 많은 강대국들이 거의  다
패망했지만 이스라엘만은 오늘날까지 계속 존재한다. 이것을 보면,    하나님께서  육적
이스라엘 민족을 영적 이스라엘(택한 백성)의 상징으로 세워 주신 것이 분명하다.  그
는 기독 신자들(영적 이스라엘)을 옛날 육적 이스라엘처럼 다스리신다. 곧,    하나님께
서는 그의 택한 백성(기록 신자들)을 끝까지 사랑하신다.


   삿 3:15-17

   여호와께서 그들을 위하여 한 구원자를 세우셨으니 그는 곧 베냐민 사람 게라의 아
들 왼손잡이 에훗이라 - (15절). "왼손잡이"란 말(*                             )은
오른손은 갇히운 사람이란 뜻이다. 그러므로 오른손은 전연 쓰지 못하는 것이  명백하
다. 베냐민 지파의 왼손잡이 용사가 그 후대에도  많았으니  일시에  700명이  있었다
(20:16). 그런데 "에훗"은 이스라엘의 구원자로 세우심을 받은 사명을 완수하기  위하
여 먼저 모압왕을 죽이려고 꾀하였다. 그가
   "모압 왕 에글론" - 을 죽인 방법은 음모에 의한 것이었다(20-22). 그와 같은 처사
는 얼핏 보면 너무 잔인해 보인다. 18-21절 해석 참조.


  삿 3:18-21

   에훗이 공물 바치기를 마친 후에...길갈 근처  돌  뜨는  곳에서부터  돌아와서  -
(18-19 상반). "공물"이란 말(*        )은 조공(朝貢)을 위한 예물, 혹은 금전을  의
미한다. "돌 뜨는 곳"이란 말(*            )은 구약에 도합 21회 나오는데 모두 새긴
우상(graven images)을 의미하였다(C.F. Burney, The Book of Judges  and  Notes  on
The Hebrew Text of The Books of Kings, 1970, p.71).
   "은밀한 일을 왕에게 고하려 하나이다" - (19절 중간)라고 한 말
   "내가 하나님의 명을 받들어 왕에게 고할 일이 있나이다" - 라고 한  말에  대하여
어떤 학자들은, 에훗이 하나님의 명령을 받지 않고서 그렇게 거짓말을 한 것이라고 말
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와 같은 학설을 받아 들일 수 없다. 에훗은 에글론을 죽이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그에게 가까이 가서 그 명령대로 실행하였으니, 그것은 그 명령
을 전달함과 마찬가지이다. 이 점에 있어서 메튜  헨리(Matthew  Henry)는  말하기를,
"그 멧세이지는 칼이었다."(That Message was a dagger.)라고 하였다.
   에훗이 에글론을 죽인사건에 있어서 에훗이 취한 방법이 도덕적으로 정당한가 살펴
보자. 우리는 이 점에 있어서 먼저 전쟁의 윤리를 비판하는 표준을 생각해야 된다. 한
국가가 침략자를 물리치기 위하여 일으킨 전쟁은 정당하다. 이 때에 에훗은    이스라엘
의 구원자로 하나님의 세우심을 받은 지도자였다(15절).
   이제 에훗의 방법이 정당한가 하는 문제는 다음 몇 가지를 고려할 때에  해결된다.
(1) 에훗은 사사였으니 만큼 하나님의 심판 집행의 사자(使者)였다. 그러니만큼  그는
남을 암살하는 개인이 아니었다. 하나님을 대적하는 모임의 우두머리  에글론은  심판
집행자의 손에 의하여 죽임이 되어야 마땅하다. (2) 모압 왕 에글론은 우상주의의  화
신(化身)이었다. 가나안 민족들을 정복하는 이스라엘은 우상주의자룰 아끼지 않고  죽
이되 이스라엘의 지도자가 먼저 손을 대어 죽이도록, 하나님으로부터 명령을 받은  바
있었다(신 13:6-6-18). (3) 4:9에 있는 드보라의 예언을 읽어볼 에 어떤 악인의  암살
당함이 하나님의 뜻 가운데서 실행되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4:17-21 참조.


  삿 3:22

  칼자루도 날을 따라 들어가서 그 끝이 등 뒤까지 나갔고 그가 칼을 그 몸에서 빼어
내지 아니하였으므로 기쁨이 칼날에 엉기었더라 - 에훗이 모압 왕 에게 찌른 칼을  그
의 몸에서 빼어내지 않은 것도 의미 심장하다. 곧, 이 때에 에훗에게  내린    하나님의
명령(20절)은 심판의 칼인 만큼 그것을 그에게 찔러준 대로 두고 도로 받지    않는다는
뜻 있는 행위이다.
   "기쁨이 칼날에 엉기었더라." 이것은 은근히 모압 왕의 평소 생활이 교만하여 쾌락
만 일삼았고, 하나님의 백성을 극도로 압제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시 17:10 하반,
119:70참조. 이런 자는 하나님의 칼로 죽임이 된다고, 성경이 말한다(시 17:12).
   히브리 원문제에는 22절 끝에 짧은 문장 하나(*                )가  붙어
있는데 그것이 영역(英譯) 성경에는 "오물이 나왔더라"(the dirt came out)라고  번역
되어 있다. 봉크(C. Vonk)에 의하면, 여기 "오물"로 먼역된 히브리어(*             )
는 아카디야말과 관계되었는데 화장실을 의미 한다고 하며, 이 문구의 의미는  에훗이
화장실을 통하여 도망해 나갔다는 뜻이라고 한다(Lange tijd  heeft  men  dit  woord
niet kunnen thuisbrengen, maar nu weten  we,  dat  het    verwante  woord  in  het
Akkadisch "parasjdinun" is  en  toilet  betekent.  Ehud  vluchtte  dus  vis  het
toilet.-De Voorzeide Leer Id, De Heilige Schrift, Richteren, 1973, p.439).
   구약 시대에는 선지자가 하나님의 명령을 받들어 하나님의 원수를 죽이는 일이  있
었다(왕상 18:40). 그러나 신약 시대에는 교회, 또는 하나님의 종이 징계를    실시함에
있어서 폭력으로 하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여 영적(靈的)으로 실시한다.
   어떤 학설에 의하면, 에훗이 모압 왕을 죽인 방법은 선한 것이 아니며 따라서 그것
까지 그가 성령의 인도대로 하였다고 할 것은 없다고 한다. 그러면서, 에훗의 자의(自
意)대로 그런 행동을 취하였으나 하나님께서 그 섭리적 관할에 의하여 이스라엘을  모
압으로부터 해방시키는 일에 그 사건을 사용하신 것이라고 한다.


  삿 3:23-26

 발을 가리우신다 - (24절 끝). 이것은 모압 왕의 잠든것을 표현하는  그    신하들의
말이다. 사실은 이 때에는 에글론이 이미 죽은 뒤였다. 다락에 갇히운 에글론의  시체
를 그 신하들이 발견하기까지 시간이 지난 듯한데 그 사이에 에훗은 멀리  도망할  수
있었다.
   "돌 뜨는 곳" - 이란 말(*            )은 새긴 우상들을 의미한다.  19절에  있는
같은 말 해석을 참조하라. "스이라(*            )는 나무 많은 숲을 가리킨다.
   에훗이 멀리 피신할 기회를 얻은 것이 우연한 일이 아니고 하나님의  간섭으로  된
것이었다. 모압 왕의 신하들이 그렇게 오래 동안 왕의 잠 깨기를 기다린 것이 상례(常
例)는 아니었을 것이다. 잠 16:9에 말하기를, "사람이 마음으로 자기의 길을 계획할지
라도 그 걸음을 인도하는 자는 여호와시니라."고 하였다.


  삿 3:27-28

   에홋은
   "에브라임 산지" 에  와서 군대를 소집  하였다.   (1) 이 때에  그는  용기를  가
졌으니, 그것은 그가 그 군대의 선두에 선 것을 보아서 알 수 있다. 그용기는, 이스라
엘 해방의 성업(聖業)을 위한 그의 헌신에서 생긴 것이었다. 주님의 백성을 위하여 생
명을 바치는 자는 두려움이 없다. (2) 그는 이스라엘의 해방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을
확신하였으니,
   "여호와께서 너희 애적 모압 사람을 너희의 손에 붙이셨느니라" - 고 한(28절)  그
의 주장이 이 확신을 증명해 준다. 그가 무리를 향하여
   "나를 따르라" - 고 한 것은 승리를 내다보는 강한 신념을 표시함이다. 그가  신념
을 하나님께 둔 것은 참된 지도자의 자격이다. 그는 언제 어디서 이 확신을 얻었을까?
그는 여호와께 부르짖는 사람들 중 한 사람이었을 것이다.(15절). 확신은 하나님께 참
되이 부르짖어 기도하는 자가 얻는 법이다. 하나님께서 보통으로는 구하는 자에게  필
요한 것을 주신다. 약 4:2 하반-3에 말하기를, "너희가 얻지 못함은 구하지  아니함이
요 구하여도 받지 못함은 정욕으로 쓰려고 잘못 구함이라"고 하였다.
   모압 맞은 편 요단강 나루를 잡아 지켜 한 사람도 건너지 못하게 하였고    -  (28절
하반). 이렇게 그 나루를 지킨 목적은, 요단 서쪽에 와 있던 모압 사람들을    진멸하기
위함이며, 또 요단 동쪽에서 올 수 있는 모압 군대를 막기 위함이다. 에훗은 여호와의
도우심을 확신하면서도 어디까지나 인각 편에서 해야 할 작전  계획을  세워나갔으며,
또한 전투에 있어서도 모든 노력을 다하였다. 신앙은 인간의 계획과 노력을    초월하지
만 그것을 무시하지 않고 도리어 강조한다. 하나님께서 어떤 때에는 인간을    개입시키
지 않고 전적으로 그의 기적에 의하여 역사하시기도 하신다. 그러나 보통으로는  인간
의 노력과 행위를 통하여 역사하신다.


  삿 3:29,30

   모압 사람 일만 명 가량을 죽였으니 다 역사요 용사라 한 사람도 피하지    못하였더
라 - (29절). 비록 모압 군인이 용사였을지라도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도와 간섭하시
는 때에는 그들도 산산히 실패한다. 잡 21:30-31에 말하기를,  "지혜로도,  명철로도,
모략으로도 여호와를 당치 못하느니라 싸울 날을 위하여 마병을 예비하거니와  이김은
여호와께 있느니라"고 하였다. 모압을 이긴 이후 이스라엘은
   "팔십 년 동안 태평" - 을 누렸다(30 절).


  삿 3:31

  에훗의 후에 아낫의 아들 삼갈이 사사로 있어 소 모는 막대기로 블레셋 사람  육백
명을 죽였고 그도 이스라엘을 구원하였더라 - "소 모는 막대기"로 블레셋의  침략군을
물리친 것은 역시 하나님의 권능을 보여준다.  약한 것을 들어서 강한 것을  부끄럽게
하시는 것은 하나님께서 그의  능력을  나타내시는  방법이다(고전  1:27-29).   고후
12:9-10 참조.
   어떤 학설에, "삼갈"은 이스라엘 사람이 아니고 이방 사람이었을  것이라고  한다.  
즉 버네이(Burney)는 말하기를, 삼갈의 부친의 이름 "아낫"이 바벧론 사람들의 이름과
도 유사하다고 하면서, 삼갈이 외국인이었을 것이라고 하였다(The  Book  of  Judges, 1970, p.76).  그는 랑케(Ranke)의 저서 (Early Babylonian Personal Names,  p.66)에 의해 "아나툼"이란 이름이 바벧론 사람들 중에 세 번이나 나온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이와 같은 논증은 성립될 수 없다.  이스라엘 사람의 이름과 유사한 이름이 바벧론 사람들 중에 있을 수 있다.


Articles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