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
본문에서 시드기야는 B.C. 588년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으로부터 침략을 받자 당황하여 예레미야를 부르고 있다. 그는 본래 느부갓네살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반바벨론파의 듯세로 인하여 애굽, 암몬, 두로, 모압, 시돈 등과 동맹을 맺어 바벨론에 반란을꾀하였다(겔 17:15). 그러나 막상 상황이 다급해지자 그는 자신이 투옥시켰던(32:2)예레미야에게 특사를 보내어 도움을 청했던 것이다. 한편 본절에서 말기야의 아들 바스훌이 등장하고 있는데, 20:1-6에 언급된 임멜의 아들 바스훌과는 동명 이인이다. 이곳의 바스훌은 더욱더 악랄하게 예레미야를 반대했었으며 훗날에 가서는 예레미야를반역죄로 처형하려고도 하였었다(38:1-13). 그 뒤에 등장하는 제사장 마아세야의 아들스바냐는 본장에서 시드기야의 특사로 예레미야에게 왔지만 훗날에도 예레미야를 찾아오게 된다.(37:3). 그는 예레미야에 대해서 그렇게 적대감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29:25-27에서 예레미야를 징책하지 않았다고 비난을 받는 유사(有司)로 언급되고 있다.
여호와께 간구하라 기사로 우리를 도와 행하시면 - 여기서 '간구하라'(* ,다라쉬)고 하는 말은 여호와의 생각과 뜻을 찾고자 할 때 흔히 사용되는 말이다. 구약에서는 이 말이 다양한 문맥에 산재해서 나타난다(창25:22;출18:15;신4:29;삼상9:9;사31:1;호10:12 등). 시드기야는 그때로부터 약 1세기 전, 즉 B.C.701년 예루살렘이산헤립과 앗수르 군대에 의해 포위 당했던 사건을 염두에 두고 있었을 것이다(왕하19:35 ,36;사 37:36,37). 그때 여호와께서는 기사를 행하사 산헤립을 물러가게 했었다. 현 상황 역시 그때와 대단히 비슷한 상황으로서 어떤 기적이 없이는 도저히 극복될 수가 없는 처지였다. 다만 이번에는 예루살렘을 공격하고 있는 것이 갈대아인들과 느부갓네살(히브리어 음역은 '네부카드레차르'< >이며, 아카드어로는 나부-카두리-우추르임)이란 이름은 보다 완전한 형태로 언급되고 있는데, 이 장에서만도 수차례 등장한다. 그러나 다른 곳에서는 이 이름이 '네부카드네차르'(* )로 쓰였다(27:6,8;28:3,11;29:1,3등). 그는 B.C. 605년에서 562년 사이에 바벨론을 통치했으며, 나보폴라살(B.C. 625-605년)의 아들이며 후계자였다.
=====21:3,4
하나님의 구원의 손길을 기대했으나 그들에게 주어지는 응답은 약간의 희망마저도완전히 꺾어버리는 그러한 것이었다. 약한 병기를 가지고 강력한 갈대아 군대와 맞서싸우려고 하였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나마 있는 그 병기도 되돌려 버리실 것이고 침략자들을 성 안으로 불러들이실 것이다. 이제 유다 백성은 예루살렘 함락을 들이키기 위한 하나님께로부터의 도우심을 기대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범죄한 유다를 징벌할 목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유다를 대적하시기 때문이다. 한편, 그들에 대한 원문의 해석은다소 분명하지 않다. 이는 성 밖에서 갈대아인들과 대치하고 있는 병사들로 볼 수도있을 것이다. 그럴 경우, 유다의 방위 군대가 침략자들과 더 이상 맞붙어 싸울 힘이없어 다시 성 안으로 퇴각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성안으로 불러모아딜 갈대아 군사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것이, 함락 당시의 상황과 더 잘 어울릴 것이다.
=====21:5
든 손과 강한 팔 곧 대노로 - 여기서는 여호와께서 그들의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들을 치실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이는 갈대아인들을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하실 것임을 분명하게 암시한다. '든 손과 강한 팔'(* , 베야드 네투야 우비즈로아 하자카)이란 표현은 32:21에서도 쓰이고 있으며, 형용사의 순서가 바뀐 형태로 나타나 있다. 구약에서는 이와 유사한 표현들이가끔 등장하는데,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구하기 위한 거룩한 전쟁을 치르실 때 주로 쓰였다(주로 모세 오경에서). 이런 사실을 감안한다면, 하나님이 유다에 대하여 성전(聖戰)을 치르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예레미야는 이른바 신명기와같은 고대 전통의 계승자의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흔히 등장하는 이런 어구를 자주 사용하였을 것이다.
=====21:6
큰 염병에 죽으리라 - 성경에는 '염병'(* , 데베르)에 대한 언급이 자주 나오지만, 그 증상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히고 있지 않다. 대체로 흑사병(pest), 티푸스(typhus), 콜레라(cholera), 천연두(smallpox) 등이 성경에서 염병으로 지칭된 질병들로 짐작된다. 이 염병은 구약 시대 사람들이 매우 두려워하던 병 중 하나였다. 왜냐하면 의학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당시에는, 이 병에 걸리면 거의 죽음을 면치 못했기때문이다. 출애굽 후 광야에서 배회하던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불순종한 결과 염병의형벌의 네 차례나 받았으며(민11:33;14:37;16:46;25:9) 예레미야와 에스겔도 불순종에따른 하나님의 징벌로서 임할 염병에 대해 수차례 예언하고 있다(14:12;24:10;겔7:15;12:16).
=====21:7
시드기야의 그 신하들과 남은자를 불쌍히 여기지 아니하리라 - 염병에서 살아남고 또 칼과 기근에서 살아남은 왕들과 신하들 그리고 그밖의 사람들은 느부갓네살의손에 넘겨질 것이다. '신하'에 해당하는 '에베드'(* )는 원래 '종', '노예','하인'을 뜻하나 여기서는 유다왕 시드기야를 보좌했던 근신(近臣)들을 말한다. 왕하25장을 참조하면 이 구절에서 언급되고 있는 그 역사적 상황을 좀더 분명하게 인식할수 있다.
=====21:8
내가 너희 앞에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을 두었노니 - 여기에서 일반 백성 전체에게주어지는 간략한 서술이 언급되어 있다. 내용상 이것은 38:2,3과 유사하다. 아마 예레미야는 같은 내용의 충고를 수차례 걸쳐 반복했었을 것이다. 이제 하나님은 백성들에게 선택의 길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것은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이었다. 이런 표현은지혜문학과 그밖의 다른 문헌에서도 종종 나타난다. 예컨대, 신 30:15-20에도 이와 유사한 형태가 표현되어 있는데, 그 선택의 주제는 언약에 대한 순종이냐 불순종이냐하는 것이다. 한편 본서는 산문과 운문으로 번갈아가며 표현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산문체이다. 어떤 학자들은 운문만이 예레미야 작품이고 산문체 서술들은 후기 신명기학파 저자들의 작품이라고 주장하곤 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산문체를예레미야의 작품이 아닌것으로 주장하는 자들이 이 부분에 대해서는 예레미야의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21:9
여기서 예레미야는 백성들은 향하여 갈대아인들에게 항복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그러나 적에게 항복하라는 이 같은 조언은 그의 정치적 동기를 의심하게끔 만들었고,강상적 이미지를 띤 정치 지도자들에게 핍박의 명분을 제공할 만한 것이었다. 그렇기때문에 그는 반역자로 여겨지기도 했었다(28장). 그러나 B.C. 586년 이 민족이 멸망했을 때 그는 이곳에 남아 민족의 갱생을 위해 일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는 결코 개인적 이익을 탐하는 그런 매국노가 아니었던 것이다.
=====21:10
이 성이 바벨론 왕의 손에 붙임이 될것이요 - 예레미야가 주장하는 원리는 간단하고 분명하다. 여호와께서 그들의 불의와 불순종으로 인해서 이 민족을 버리셨다는 것이며, 따라서 예루살렘의 멸망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예레미야는항복할 것을 권유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며, 오히려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들이라고 요청하엿던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심판을 회개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미래의갱생을 위하여 오히려 전일보하는 선택임을 주지시키고자 했다.
=====21:11
유다 왕의 집에 대한 여호와의 말 - '유다 왕의 집'이란 유다 왕가(王家)를 가리키며, 그 왕가의 기원을 연 다윗을 대조적으로 상기시키는 말이다(12절 참조). 그들의선조 다윗은 하나님의 법도에 따라 공의롭게 통치함으로써 하나님의 축복 가운데 이스라엘을 번영으로 인도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분열 왕국 시대의 대다수 왕들은 다윗과는달리 불순종과 배도의 길을 멸망을 자초하였던 것이다.
=====21:12
아침마다 공평히 판결하여 - 여기서는 왕의 근본적인 임무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서술되고 있는데, 그것은 '공의'(* , 미쉬파트)를 베푸는 것이다. 그리고'아침마다'(* , 랍보케르)란 표현은 낮의 더위를 피해 아침 시간에 성문에서열리던 소송 사건을 염두에 둔 표현인 것 같다. 고대 근동 지역에서 왕들의 주요 임우들 중에 하나가 바로 이 정의를 관장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왕이란 정의의 수호자였던것이다. 이스라엘에는 이런 의무가 더욱 강조되었으며, 솔로몬은 하나님께 다른 그 무엇보다도 선과 악을 분별할 지혜를 주실 것을 간구하였다(왕상 3:9).
=====21:13
골짜기와 평원 반석의 거민아 - 공동번역은 '계곡을 굽어보는 예루살렘아, 벌판에우뚝 솟은 바위야'라고 번역하여 요새로서의 예루살렘의 지형적 이점을 시각적으로 잘드러내었다. 유다 백성은 지리적 이점 때문에 예루살렘의 난공불락의 요새로 생각하고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는 예레미야의 예언을 비웃었다. 그러나 예레미야는 다분히 조소적인 표현으로서 그들의 자만을 꼬집고 있다. 한편 본절의 '너희'는 2인칭 단수 여성으로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예루살렘 성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 틀림없다. 도시나 성들은 흔히 그곳 주민들의 '어미'로 표현되었으며 그 부변의 마을들은 '딸들'로 불리었다(왕하 19:21;사 37:22).
=====21:14
70인역(LXX)에는 본절의 첫 행이 누락되어 있다. 그러나 문맥상 이 부분을 포함시키는 것이 더 적절하다. 앞 구절과는 달리 여기서 '너희'는 2인칭 남성 복수로 표현되고 잇는데, 이는 예루살렘 사람들을 가리킨다. 한편 '수풀'(* , 야아르)이란명사에 대해 어떤 주석가들은 이 말이 왕궁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 라고 설명한다. 이렇게 설명하는 근거로서 왕상7:2에 있는 '레바논 나무로 궁(레바논 수풀 궁)을 지었다'는 내용을 제시한다. 아마 이 궁을 건축하는 데는 엄청난 백향목이 소요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이 말을 예루살렘 혹은 유다의 온 땅을 암시하는 보다 폭넓은 의미로 이해하는 편이 더 자연스러울 것 같다. 수풀을 불에 사른다는 것은 하나님의 심판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이미지 중의 하나이다9사 9:18;10:18, D.R. Jones).
본문에서 시드기야는 B.C. 588년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으로부터 침략을 받자 당황하여 예레미야를 부르고 있다. 그는 본래 느부갓네살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반바벨론파의 듯세로 인하여 애굽, 암몬, 두로, 모압, 시돈 등과 동맹을 맺어 바벨론에 반란을꾀하였다(겔 17:15). 그러나 막상 상황이 다급해지자 그는 자신이 투옥시켰던(32:2)예레미야에게 특사를 보내어 도움을 청했던 것이다. 한편 본절에서 말기야의 아들 바스훌이 등장하고 있는데, 20:1-6에 언급된 임멜의 아들 바스훌과는 동명 이인이다. 이곳의 바스훌은 더욱더 악랄하게 예레미야를 반대했었으며 훗날에 가서는 예레미야를반역죄로 처형하려고도 하였었다(38:1-13). 그 뒤에 등장하는 제사장 마아세야의 아들스바냐는 본장에서 시드기야의 특사로 예레미야에게 왔지만 훗날에도 예레미야를 찾아오게 된다.(37:3). 그는 예레미야에 대해서 그렇게 적대감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29:25-27에서 예레미야를 징책하지 않았다고 비난을 받는 유사(有司)로 언급되고 있다.
여호와께 간구하라 기사로 우리를 도와 행하시면 - 여기서 '간구하라'(* ,다라쉬)고 하는 말은 여호와의 생각과 뜻을 찾고자 할 때 흔히 사용되는 말이다. 구약에서는 이 말이 다양한 문맥에 산재해서 나타난다(창25:22;출18:15;신4:29;삼상9:9;사31:1;호10:12 등). 시드기야는 그때로부터 약 1세기 전, 즉 B.C.701년 예루살렘이산헤립과 앗수르 군대에 의해 포위 당했던 사건을 염두에 두고 있었을 것이다(왕하19:35 ,36;사 37:36,37). 그때 여호와께서는 기사를 행하사 산헤립을 물러가게 했었다. 현 상황 역시 그때와 대단히 비슷한 상황으로서 어떤 기적이 없이는 도저히 극복될 수가 없는 처지였다. 다만 이번에는 예루살렘을 공격하고 있는 것이 갈대아인들과 느부갓네살(히브리어 음역은 '네부카드레차르'< >이며, 아카드어로는 나부-카두리-우추르임)이란 이름은 보다 완전한 형태로 언급되고 있는데, 이 장에서만도 수차례 등장한다. 그러나 다른 곳에서는 이 이름이 '네부카드네차르'(* )로 쓰였다(27:6,8;28:3,11;29:1,3등). 그는 B.C. 605년에서 562년 사이에 바벨론을 통치했으며, 나보폴라살(B.C. 625-605년)의 아들이며 후계자였다.
=====21:3,4
하나님의 구원의 손길을 기대했으나 그들에게 주어지는 응답은 약간의 희망마저도완전히 꺾어버리는 그러한 것이었다. 약한 병기를 가지고 강력한 갈대아 군대와 맞서싸우려고 하였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나마 있는 그 병기도 되돌려 버리실 것이고 침략자들을 성 안으로 불러들이실 것이다. 이제 유다 백성은 예루살렘 함락을 들이키기 위한 하나님께로부터의 도우심을 기대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범죄한 유다를 징벌할 목적으로 하나님이 친히 유다를 대적하시기 때문이다. 한편, 그들에 대한 원문의 해석은다소 분명하지 않다. 이는 성 밖에서 갈대아인들과 대치하고 있는 병사들로 볼 수도있을 것이다. 그럴 경우, 유다의 방위 군대가 침략자들과 더 이상 맞붙어 싸울 힘이없어 다시 성 안으로 퇴각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성안으로 불러모아딜 갈대아 군사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것이, 함락 당시의 상황과 더 잘 어울릴 것이다.
=====21:5
든 손과 강한 팔 곧 대노로 - 여기서는 여호와께서 그들의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들을 치실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이는 갈대아인들을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하실 것임을 분명하게 암시한다. '든 손과 강한 팔'(* , 베야드 네투야 우비즈로아 하자카)이란 표현은 32:21에서도 쓰이고 있으며, 형용사의 순서가 바뀐 형태로 나타나 있다. 구약에서는 이와 유사한 표현들이가끔 등장하는데,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구하기 위한 거룩한 전쟁을 치르실 때 주로 쓰였다(주로 모세 오경에서). 이런 사실을 감안한다면, 하나님이 유다에 대하여 성전(聖戰)을 치르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예레미야는 이른바 신명기와같은 고대 전통의 계승자의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흔히 등장하는 이런 어구를 자주 사용하였을 것이다.
=====21:6
큰 염병에 죽으리라 - 성경에는 '염병'(* , 데베르)에 대한 언급이 자주 나오지만, 그 증상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히고 있지 않다. 대체로 흑사병(pest), 티푸스(typhus), 콜레라(cholera), 천연두(smallpox) 등이 성경에서 염병으로 지칭된 질병들로 짐작된다. 이 염병은 구약 시대 사람들이 매우 두려워하던 병 중 하나였다. 왜냐하면 의학 기술이 발달하지 못했던 당시에는, 이 병에 걸리면 거의 죽음을 면치 못했기때문이다. 출애굽 후 광야에서 배회하던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불순종한 결과 염병의형벌의 네 차례나 받았으며(민11:33;14:37;16:46;25:9) 예레미야와 에스겔도 불순종에따른 하나님의 징벌로서 임할 염병에 대해 수차례 예언하고 있다(14:12;24:10;겔7:15;12:16).
=====21:7
시드기야의 그 신하들과 남은자를 불쌍히 여기지 아니하리라 - 염병에서 살아남고 또 칼과 기근에서 살아남은 왕들과 신하들 그리고 그밖의 사람들은 느부갓네살의손에 넘겨질 것이다. '신하'에 해당하는 '에베드'(* )는 원래 '종', '노예','하인'을 뜻하나 여기서는 유다왕 시드기야를 보좌했던 근신(近臣)들을 말한다. 왕하25장을 참조하면 이 구절에서 언급되고 있는 그 역사적 상황을 좀더 분명하게 인식할수 있다.
=====21:8
내가 너희 앞에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을 두었노니 - 여기에서 일반 백성 전체에게주어지는 간략한 서술이 언급되어 있다. 내용상 이것은 38:2,3과 유사하다. 아마 예레미야는 같은 내용의 충고를 수차례 걸쳐 반복했었을 것이다. 이제 하나님은 백성들에게 선택의 길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것은 생명의 길과 사망의 길이었다. 이런 표현은지혜문학과 그밖의 다른 문헌에서도 종종 나타난다. 예컨대, 신 30:15-20에도 이와 유사한 형태가 표현되어 있는데, 그 선택의 주제는 언약에 대한 순종이냐 불순종이냐하는 것이다. 한편 본서는 산문과 운문으로 번갈아가며 표현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산문체이다. 어떤 학자들은 운문만이 예레미야 작품이고 산문체 서술들은 후기 신명기학파 저자들의 작품이라고 주장하곤 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산문체를예레미야의 작품이 아닌것으로 주장하는 자들이 이 부분에 대해서는 예레미야의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21:9
여기서 예레미야는 백성들은 향하여 갈대아인들에게 항복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그러나 적에게 항복하라는 이 같은 조언은 그의 정치적 동기를 의심하게끔 만들었고,강상적 이미지를 띤 정치 지도자들에게 핍박의 명분을 제공할 만한 것이었다. 그렇기때문에 그는 반역자로 여겨지기도 했었다(28장). 그러나 B.C. 586년 이 민족이 멸망했을 때 그는 이곳에 남아 민족의 갱생을 위해 일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는 결코 개인적 이익을 탐하는 그런 매국노가 아니었던 것이다.
=====21:10
이 성이 바벨론 왕의 손에 붙임이 될것이요 - 예레미야가 주장하는 원리는 간단하고 분명하다. 여호와께서 그들의 불의와 불순종으로 인해서 이 민족을 버리셨다는 것이며, 따라서 예루살렘의 멸망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예레미야는항복할 것을 권유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며, 오히려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들이라고 요청하엿던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심판을 회개하는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미래의갱생을 위하여 오히려 전일보하는 선택임을 주지시키고자 했다.
=====21:11
유다 왕의 집에 대한 여호와의 말 - '유다 왕의 집'이란 유다 왕가(王家)를 가리키며, 그 왕가의 기원을 연 다윗을 대조적으로 상기시키는 말이다(12절 참조). 그들의선조 다윗은 하나님의 법도에 따라 공의롭게 통치함으로써 하나님의 축복 가운데 이스라엘을 번영으로 인도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분열 왕국 시대의 대다수 왕들은 다윗과는달리 불순종과 배도의 길을 멸망을 자초하였던 것이다.
=====21:12
아침마다 공평히 판결하여 - 여기서는 왕의 근본적인 임무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서술되고 있는데, 그것은 '공의'(* , 미쉬파트)를 베푸는 것이다. 그리고'아침마다'(* , 랍보케르)란 표현은 낮의 더위를 피해 아침 시간에 성문에서열리던 소송 사건을 염두에 둔 표현인 것 같다. 고대 근동 지역에서 왕들의 주요 임우들 중에 하나가 바로 이 정의를 관장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왕이란 정의의 수호자였던것이다. 이스라엘에는 이런 의무가 더욱 강조되었으며, 솔로몬은 하나님께 다른 그 무엇보다도 선과 악을 분별할 지혜를 주실 것을 간구하였다(왕상 3:9).
=====21:13
골짜기와 평원 반석의 거민아 - 공동번역은 '계곡을 굽어보는 예루살렘아, 벌판에우뚝 솟은 바위야'라고 번역하여 요새로서의 예루살렘의 지형적 이점을 시각적으로 잘드러내었다. 유다 백성은 지리적 이점 때문에 예루살렘의 난공불락의 요새로 생각하고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는 예레미야의 예언을 비웃었다. 그러나 예레미야는 다분히 조소적인 표현으로서 그들의 자만을 꼬집고 있다. 한편 본절의 '너희'는 2인칭 단수 여성으로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예루살렘 성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 틀림없다. 도시나 성들은 흔히 그곳 주민들의 '어미'로 표현되었으며 그 부변의 마을들은 '딸들'로 불리었다(왕하 19:21;사 37:22).
=====21:14
70인역(LXX)에는 본절의 첫 행이 누락되어 있다. 그러나 문맥상 이 부분을 포함시키는 것이 더 적절하다. 앞 구절과는 달리 여기서 '너희'는 2인칭 남성 복수로 표현되고 잇는데, 이는 예루살렘 사람들을 가리킨다. 한편 '수풀'(* , 야아르)이란명사에 대해 어떤 주석가들은 이 말이 왕궁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 라고 설명한다. 이렇게 설명하는 근거로서 왕상7:2에 있는 '레바논 나무로 궁(레바논 수풀 궁)을 지었다'는 내용을 제시한다. 아마 이 궁을 건축하는 데는 엄청난 백향목이 소요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이 말을 예루살렘 혹은 유다의 온 땅을 암시하는 보다 폭넓은 의미로 이해하는 편이 더 자연스러울 것 같다. 수풀을 불에 사른다는 것은 하나님의 심판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이미지 중의 하나이다9사 9:18;10:18, D.R. Jones).
Previous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