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크마 주석, 역대상 08장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8:1,2
 본장 전체는 베냐민 지파의 족보로서 7:6-12의 내용을 보충하는 부분이다. 본서 저자는 본서에서 유다 지파 다음으로 베냐민 지파의 족보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단순히 이스라엘의 초대 왕(사울)이 이 지파 출신이었기 때문만이 아니다(33절;삼상 10:17-24). 그보다는 바벨론 포로 귀환 이후 이스라엘 백성 내에서 차지하는 베냐민 지파의 비중이 유다 지파 다음으로 컸기 때문이었다(느 11:4,7, 31, 36;The Wycliffe Bible Commentary, Payne).
 베냐민의 낳은 자 - 1, 2절에는 베냐민의 다섯 아들이 소개되었는데 이 가족은 같은 베냐민 지파의 족보인 창 46:21의 기록보다는 민 26:38-40의 기록을 따른 것 같다.왜냐하면 창세기의 기록에는 10명의 아들들이 소개되어 있는 반면, 민수기의 기록에는5명의 아들들이 소개되어 있어 숫자상으로 본절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이다(Keil,Payne). 그러나 이 두 기록 사이에 분명한 차이점이 발견된다. 즉, 벨라(Bela)와 아스벨(Ashbel)은 일치하나 나머지 세 명의 이름은 일치하지 않는다. 여기서 아하라(Aharah)는 민수기에 소개된 아히람(Ahiram, 민 46:38)과 동일 인물인 것이 분명하나(Lange, Keil, Payne), 노하(Nohah)와 라바(Rapha)는 알 수 없다. 혹자(Keil)는 노하와 라바가 베냐민의 아들이었던 스부밤(Shephupham)과 후밤(Hupham, 민 26:39)의 후손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분명치 않다. 한편, 민수기의 기록에서 이들 베냐민의 아들들은 베냐민 지파의 각 족속의 조상으로 소개되었다.

=====8:3
 앗달 - '앗달'(* )은 '아릇'(* )이 필사자의 착오로 잘못 표기된 이름이다(민 26:40;창 46:21). 참고로 '앗달'은 '넓은'이란 뜻이며 '아릇'은 '곱사등'이란뜻이다.
 게라 - 게라(Gera)란 이름은 5절에도 나온다. 아마도 벨라의 둘째 아들인 게라가일찍 죽자 일곱째의 아들에게 다시금 그 같은 이름이 주어진 것 같다(Payne).

=====8:4
 아비수아와 나아만과 아호아 - 나아만(Naaman)은 창 46:21에 소개되어 있으나 아비수아(Abishua)와 아호아(Ahoah)는 3절의 아비훗(Abihud)과 더불어 본절에만 등장한다.

=====8:5
 게라 - 이름의 뜻은 '알곡'이다. 이 '게라'는 6절에 나오는 에훗(Ehud)의 선조(先祖)인 것이 분명시된다.
 스부반 - 이름의 뜻은 '뱀'이다. 그런데 그는 민 26:39에 나오는 스부밤(Shephu-pham)과 동일 인물임이 분명하다.
 후람 - 민 26:39에 나오는 후밤(Hupham)과 동일 인물인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후람(Huram)은 '존귀한 자'란 뜻이며 '후밤'은 '보호받는 자'란 뜻이다.

=====8:6
 에훗 - 삿 3:15에서 게라의 아들 에훗은 사사(士師)로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혹자는 베냐민의 손자 게라(5절)와 사사 에훗 사이에는 약 500년의 간격이 있으므로 본절의 에훗은 사사 에훗과 다른 인물이라고 주장한다(Keil, Lange). 하지만 히브리어에서아들이란 용어(* , 벤)는 '손자', 또는 '후손'이라는 의미로도 흔히 사용되었다(2:52;4:15;삿 13:1;삼상 14:3). 따라서 본절의 에훗이 왼손잡이 사사 에훗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Curtis, Kraft). 한편, 사사 에훗은 왼손잡이로서 이스라엘 백성을 모압 왕 에글론의 억압에서 구출해 낸 용사이다(삿 3:15-30).
 게바 거민의 족장으로서 사로잡아 마나핫으로 가되 - 한글 개역 성경의 본절 번역은 주어가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공동 번역은 본절을 다음과 같이 비교적낫게 번역하고 있다. "게바에서 살다가 마나핫으로 사로잡혀 간 각 가문의 수령들은나아만과 아히야, 게라인데, 이 게라가 바로 그들을 사로잡아 간 장본인이다." 즉 여기서 '사로잡아...가되'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라'(* )는 '포로로 끌고 가다'라는 뜻이다(겔 39:23). 그리고 그 행동의 주체는 바로 에훗의 아들 중의 한 명인 게라이다. 하지만 7절에 의거할 때 나아만, 아히야 또한 게라의 공동 사역자 내지 보조자였음을 알 수 있으니 공동 번역의 번역도 정확한 것은 아니다. 더군다나 그 번역에서도 사로잡혀 간 자들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왜냐하면 본절은 에훗의 아들들이 게바 거민들을 포로로 사로잡아 마나핫으로 끌고간 사실을언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그들이 이와 같은 행동을 하였는지를 밝혀주는 자료는 아직껏 발견되지 않고 있다. 한편, 게바(Geba)는 베냐민 지파에 속한 레위인의성읍으로서(수 18:21, 24;21:17) 오늘날의 '예렐'로 알려져 있다. 6:60 주석 참조. 그리고 마나핫(Manahath)은 유다 지파의 한 지역으로 예루살렘에서 서남쪽으로 4.8km 떨어진 오늘날의 '말하'인 것으로 추정된다(Morton). 따라서 게라는 베냐민 경내(境內)의 게바 거민들을 유다 경내로 이주시켰음을 알 수 있는데 그 행동의 저의(底意)가 무엇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8:7
 곧 나아만과 아히야와 게라를 사로잡아 갔고 - 문맥상 나아만과 아히야와 게라는끌려간 포로가 아니라 오히려 포로들을 끌고간 주체들이다. 왜냐하면 앞절에서 에훗의아들들이 게바의 거민들을 사로잡아간 것으로 나와 있기 때문이다. 한편 게라에 뒤이어 나오는 본 문장의 주어인 3인칭 단수 대명사 '후'(* )는 이들 3인 중 특별히게라가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을 강조해 준다.
 그가 - 이는 곧 게라를 지칭하는 말이다.
 웃사 - 다윗 시대의 인물로서 법궤 운반 도중 죽은 웃사(Uzza, 삼하 6:6, 7)와는다른 사람이다.

=====8:8
 사하라임은...모압 땅에서 자녀를 낳았으니 - 사하라임(Shaharaim)은 앞의 문맥과전혀 상관없이 기록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가 베냐민의 어느 계보를 좇아 출생하였는지 파악할 수 없다. 또한 본절은 그가 가나안 땅에 거하다가 모압 땅으로 이주한 사실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가 어떠한 동기로 이주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고 있다.다만 그가 두 아내를 내어 보냈다는 사실을 통해 우리는 당시의 이스라엘의 죄악상을엿볼 수 있다. 즉 여기서 '내어 보낸'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솰라흐'(* )는다툼과 불화의 이유로 쫓아내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서 분명히 이혼(離婚)을 뜻하는 것이다(신 22:19, 29;사 50:1). 그런데 이와 같은 사하라임의 불의한 행동은 B.C. 1,300년 경의 이스라엘의 부도덕한 상황에 비추어볼 때 오히려 경미(輕微)한 행동이었다(삿19:22-28;20:12-14). 즉 이스라엘인들은 이미 사사 시대서부터 이방 민족과 다름없는각종 죄악과 패역함을 드러내 보였던 것이다.

=====8:9
 호데스 - 이름의 뜻은 '초생달'이다. 그녀는 사하라임이 모압에서 얻은 모압 여인임에 분명하다. 그 까닭은 그녀가 낳은 아들들의 이름이 언어학적으로 모압 사람들의이름인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Lange). 즉, 메사(Mesha)는 모압 왕 메사와 일치하는 이름이며(왕하 3:4) 말감(Malcam)은 모압 우상의 이름인 것이다(렘 49:1, 3). 레26:1-13 강해, '가나안 땅의 신들' 참조.

=====8:10
 여우스 - 이름의 뜻은 '하나님께서 도와 주시기를 원하나이다'이다. 그러나 이 여우스(Jeuz)는 베냐민 자손 중 빌한의 아들 여우스(Jeush, 7:10)와는 다른 사람이다.

=====8:11
 그 아내 후심에게서 아비둡과 엘바알을 낳았으며 - 후심(Hushim)은 사하라임에게서쫓겨났던 여자이다(8절). 그러나 그녀는 이스라엘의 순수한 혈통이므로 본절에서 저자는 모압 여인 호데스(9절)와 대조시키고 있는 것이다. 한편, '아비둡'(* )은 '나의 아버지는 선하시다'는 뜻이며, '엘바알'(* )은 '하나님은 역사하신다'는 뜻이다.

=====8:12
 오노 - 욥바 남동쪽 11.2km 지점에 위치한 오늘날의 '케프르 아나'(Kefr Ana)이다.포로 귀환 이후 베냐민 지파 사람들은 이곳에 귀환하였다(스 2:33;느 11:35).
 롯 - 사론 평지의 남쪽 경계지에 위치한 성읍으로 욥바 남동쪽으로 약 17.6km 지점이다. 이곳은 신약 시대에 베드로가 중풍병자인 애니아를 고친 룻다(Lydda)와 동일한곳이다(행 9:32, 33). 또한 이곳은 오노(Ono)와 더불어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720명의 베냐민 지파 사람들이 거주한 곳으로(스 2:33;느 11:35) 오노와는 불과 8km 떨어져있었다. 이들 성읍들은 귀환한 이스라엘 공동체의 서쪽 경계를 형성하였다.
 향리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베노테이하'(* )는 본래 건축물(建築物)을 의미하는 말이다. 여기서는 본성에 부속된 주변의 마을을 가리킨다.

=====8:13
 브리아와 세마 - 이들은 엘바알의 또 다른 아들들로서 에벨, 미삼, 세멧과 더불어(12절) 베냐민 지파의 족장으로 소개되고 있다. 한편 브리아(Beriah)는 '재앙을 받음'이란 뜻이며 세마(Shema)는 '하나님께서 들으심'이란 뜻이다. 이 중 '세마'는 21절에나오는 시므이(Shimei)와 동일 인물이다(Payne, Wycliffe Bible Commentary).
 아얄론 거민의 족장이 되어 가드 거민을 쫓아내었더라 - 아얄론(Aijalon)은 에브라임 지파의 경계지에 위치했던 곳으로 처음에는 단 지파에게 할당되었으나 후에 에브라임 지파가 아모리 사람들로부터 탈취한 성읍이다(수 19:42;삿 1:35). 이곳은 후에 레위인의 성읍이 되었다(수 21:24). 6:69 주석 참조. 한편, 가드(Gath)에 대해서는 7:21을 참조하라. 이곳은 에브라임 지파가 공략하다 대패한 도시로(7:21) 견고한 요새지로알려져 있다(수 11:22). 주민들은 대단히 강성한 자들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늘 위협의 대상으로 존재하였다(삼상 17:4). 본문은 그들에게 당한 이스라엘의 울분이(7:22) 브리아와 세마에 의해서 설욕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그들은 동족의 아픔을 자신의 것으로 여기며 과감한 모험을 감행했던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우는 자와함께 울고, 웃는 자와 함께 웃는 성도의 마땅한 자세를 목도하게 된다(롬 12:15).

=====8:14
 사삭 - 이름의 뜻은 '공격자'이다. 그는 25절에서 베냐민 지파의 한 족장으로 소개되고 있다.
 여레못 - '고지'(高地)란 의미이다. 그는 27절에 나오는 여로함(Jeroham)과 동일인물인 것으로 추정된다.

=====8:15
 스바댜 - '여호와의 선물'이란 뜻이다.
 에델 - '무리', '떼'를 의미한다.

=====8:16
 미가엘 - '누가 하나님과 같으랴'라는 뜻이다.
 요하 - '여호와께서 소생시키시다'는 뜻이다.

=====8:17
 스바댜 - 15절의 스바댜(Zebadiah)와 동명 이인(同名異人)이다. 본절의 스바댜는엘바알의 아들이나 15절의 스바댜는 브리아의 아들이다.
 므술람 - '므술람'(* )은 12절의 '미삼'(* )의 변형(變形)일 것이다(The Wycliffe Bible Commentary, Payne).
 히스기 - '강한'이란 뜻이다.
 헤벨 - 헤벨(* )은 12절의 '에벨'(* )의 변형일 것이다(Payne).

=====8:18
 이스므래 - '이스므래'(* )는 12절의 '세멧'(* )의 변형인 것으로보여진다(Payne). 한편 '이스므래'는 '여호와께서 지키심'이란 뜻이며 '세멧'은 '파리'란 뜻이다.

=====8:19
 야김 - '그가 일으키시다'는 뜻이다.

=====8:20
 엘리에내 - '하나님은 나의 눈이시다', 즉 '하나님은 나를 인도하신다'는 뜻이다.
 실르대 - '주의 그늘'이란 뜻이다.
 엘리엘 - '하나님은 그의 힘이시다'는 뜻이다.

=====8:21
 아다야 - '주께서 장식하신다'는 뜻이다.
 시므랏 - '지키다'는 뜻이다.
 시므이의 아들들이요 - 여기서 '시므이'(* )는 13절의 '세마'(* )와 동일 인물이다(Payne).

=====8:22
 이스반 - '탁월하다'는 뜻이다.

=====8:23
 압돈 - '노예의'라는 뜻이다.
 하난 - '자비로운'이란 뜻이다.

=====8:24
 하나냐 - '여호와께서 자비를 베푸셨다'는 뜻이다.
 안도디야 - '여호와로부터의 응답'이란 뜻이다.

=====8:25
 이브드야 - '여호와께서 구원하시다'는 뜻이다.
 브누엘 - '하나님의 얼굴'이란 뜻이다. 브니엘(창 32:30) 또는 부느엘(왕상 12:25)은 이와 동일한 이름이다.
 사삭 - 그는 다름아닌 브리아의 아들 사삭(Shashak)이다(14절). 그의 이름은 '열심'이란 뜻이다.

=====8:26
 스하랴 - '여호와께서 찾으시다'는 뜻이다.
 아달랴 - '여호와는 존귀하시다'는 뜻이다. 이와 동일한 이름을 지닌 자로서 악명높았던 자로는 유다 왕 여호람의 왕비 아달랴(Athaliah, 왕하 8:26, 27;11:1)를 들 수 있다.

=====8:27
 야아레시야 - '여호와께서 기름지게 하시다'는 뜻이다.
 엘리야 - '나의 하나님은 여호와시다'라는 뜻이다. 그는 이스라엘의 유명한 선지자였던 디셉 사람 엘리야(Elijah, 왕상 17:1)와는 다른 인물이다.
 시그리 - '명성있는'이란 뜻이다.
 여로함의 아들들이니 - 혹자는 '여로함'(* )이 14절에 나오는 브리아의 아들 '여레못'(* )이라고 주장한다(The Wycliffe Bible Commentary). 여로함(Jeroham)은 '그가 자비를 얻을 것이라'는 뜻이다.

=====8:28
 이는 다...예루살렘에 거하였더라 - 11절 이하에 나오는 모든 자들이 예루살렘에거하였다는 의미로서 이스라엘의 기업을 얻지 못한 이방 여인의 아들들(9, 10절)과 대조되는 내용이다. 한편 여기서 예루살렘(Jerusalem)은 요새지인 예루살렘 성을 의미하는 말은 아니다. 왜냐하면 예루살렘 성은 다윗 때까지 여부스인들(Jebusites)이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삼하 5:6, 7). 따라서 본절은 베냐민 자손들이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그 부근에 거처하였음을 가리키는 구절이라 하겠다.

=====8:29
 기브온의 조상 여이엘 - 여기서 '조상'이란 성읍의 창설자를 의미하는 말이다(2:24, 42, 50-52). 그런데 사울 왕(33절)의 조상으로 소개되고 있는 기브온의 창설자여이엘(Jeiel)은 삼상 9:1에서 '아비엘'(Abiel)로도 소개되고 있다. 한편, 기브온(Gibeon)은 예루살렘 북서쪽 9.6KM 지점인 오늘날의 엘-집(el-Jib)이다(삼하 2:12;20:8).
 마아가 - 이름의 뜻은 '압제'이다. 이 같은 이름은 히브리인들에게 있어서 흔히 볼수 있는 이름이다(2:48;7:16;삼하 3:3;왕상 15:13;대하 11:18-21).

=====8:30,31
 장자는 압돈이요...세겔이며 - 본절과 병행 구절인 9:36, 37을 대조해 볼 때 본절에는 중요한 인물인 넬(Ner)이 생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9장의 기록에는 넬이바알과 나답 사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절에서 넬이 생략되어 있는 것은필사자의 실수에 의한 탈락이었다기 보다는(Keil) 인물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저자가 일부러 뒤로 돌린 때문인 듯하다. 한편 세겔(Zecher)은 9:37에서 일명 스가랴(Zechariah)로 언급되고 있다.
 압돈 - 사삭의 아들 압돈(Abdon, 23절)과는 다른 사람이다.
 기스 - '권능', '활'이란 뜻이다. 그는 사울의 아비 기스(Kish, 33절)와는 구별된다.
 아히오 - 이름의 뜻은 '형제의'이다. 그는 브리아의 아들 아히요(Ahio, 14절)와는다른 사람이다.

=====8:32
 미글롯 - 이름의 뜻은 '멸시하다'이다. 그 역시 여이엘(29절)의 아들이다(9:37).
 이 무리가 그 형제로 더불어 서로 대하여 예루살렘에 거하였더라 - 여기서 '형제'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아흐'(* )는 한 피를 받은 형제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넓은의미에서 친척, 또는 같은 지파의 사람을 의미하기도 한다. 6:39 주석 참조. 여기서는후자의 경우로 예루살렘에 거처했던 앞 절들의 모든 인물들을 가리킨다. 또한 '서로대하여'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네게드'(* )는 '바로 앞에'라는 말로서 여이엘(29절)의 가족들이 다른 친척들과 더불어 매우 가까이 생활했음을 보여준다.

=====8:33
 넬 - 여히엘(아비엘)의 다섯째 아들이며(9:36)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의 조부(祖父)이다. 그는 또한 사울의 군대 장관이자 숙부였던 아브넬의 아버지이기도 하다(삼상14:50, 51).
 기스 - 이름의 뜻은 '활'이다.
 사울 - 그는 이스라엘의 초대 왕이었다(삼상 10:17-24). 그러나 초대 왕의 명분에비해 그의 족보는 본장에서 매우 간략하게 기록되었다. 즉 이스라엘의 제 2대 왕인 다윗의 족보가 매우 길게 소개된 사실에 비추어보면(3장) 초대 왕으로서의 그의 족보는상대적으로 빈약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본서 저자가 다윗 왕에게 초점을 맞추어 본서를 기술해 가고 있기 때문에 사울(Saul) 왕에 관한 내용을 간략하게 다루고 있음을보여준다. 이와같이 사울이 구속사(救贖史)의 주요 인물이 되지 못한 주된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가 하나님과의 언약을 파기하고 자기 임의대로 일을 처리했기 때문이다(삼상 13:9, 13, 14;22:16-18;삼하 21:2). 결국 이러한 그의 범죄로 말미암아 이스라엘의왕권은 다윗 가문으로 넘어가고 말았다.
 요나단 - 사울 왕의 장자(長子)이자 다윗 왕과 깊은 우정을 나눈 친구이다(삼상18:1;19:1-7). 즉 그는 비록 사울의 뒤를 이을 왕자였지만 다윗을 시기하거나 배척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진실한 우정을 드러낸 자이다. 이들의 친분은 성경이 말하는 아름다운 인간 관계의 대표적인 예로서(요 15:13) 오직 진리에 최우선을 두는 참된 교제를일깨워 주고 있다. 그는 또한 활을 잘 쏘며(삼하 1:22) 죽음을 무릅쓰고 블레셋의 수비대를 공격한 용사이다(삼상 13:2;14:1-14). 그러나 불행히도 그는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사울 왕과 두 동생들과 더불어 전사하였다(삼상 31:6).
 말기수아와 아비나답 - 사울 왕과 요나단과 더불어 길보아 산에서 전사한 사울 왕의 또 다른 아들들이다. 이 중 아비나답(Abinadab)은 다른 곳에서 리스위(Ishui)로도기록되었다(삼상 14:49).
 에스바알 - 이는 다윗이 유다 지파의 왕위에 오른 동안 그의 당숙(堂叔) 넬(Ner)에의해 북이스라엘의 왕이 되었던 이스보셋(Ishbosheth)이다(삼하 2:8, 9). 한편 에스바알(Esh-baal)이란 이름이 이스보셋으로 변형된 동기에 대해서는 삼하 2:8 주석을 참조하라.

=====8:34
 므립바알 - 이는 다윗 왕의 은혜를 입었던 요나단의 아들 므비보셋이다(삼하9:1-13;16:1;19:24-30). 그는 이스라엘이 블레셋 군대에게 패배했던 당시에 유모(乳母)의 품에 안겨 도망가다가 실수로 땅에 떨어져 평생 절뚝발이가 되었다(삼하 4:4).한편, 므립바알(Meribbaal)이란 이름이 므비보셋(Mephibosheth)으로 변형된 동기는 에스바알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에 대해서는 삼하 4:4 주석을 참조하라.

=====8:35
 미가의 아들들은 비돈과 멜렉과 다레아와 아하스며 - 본절은 병행 구절인 9:41의기록과 일치한다.
 비돈 - 이름의 뜻은 '무해한'이다.
 멜렉 - '왕'이란 뜻이다.
 다레아 - '숙련된'이란 뜻이다.
 아하스 - '그가 붙들다'란 뜻이다. 이와 동일한 이름의 소유자 중에는 유다 왕 아하스(Ahaz)가 악명높다(왕하 16:3;대하 28장).

=====8:36
 여호앗다 - '여호와께서 단장하시다'란 뜻이다.
 아스마웨 - '죽음의 권세'라는 뜻이다.

=====8:37
 모사 - '출구'라는 뜻이다.
 비느아 - '터져 나옴'이란 뜻이다.
 라바 - 이름의 뜻은 '안식하다'이다. 그는 9:43에서 '르바야'(Rephaiah)로 나와 있다.
 엘르아사 -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다'는 뜻이다.

=====8:38
 아셀 - '고귀한', '구별된'이란 뜻이다.
 아스리감 - '대적에게서 구원하다'란 뜻이다.
 보그루 - '그는 장자이다'는 뜻이다.
 이스마엘 - '하나님께서 들으신다'는 뜻이다.
 스아랴 - '여호와께서 귀하게 여기시는 자'라는 뜻이다.
 오바댜 - '여호와를 섬김'이란 뜻이다.
 하난 - '자비로운'이란 뜻이다.

=====8:39
 에섹의 아들은 이러하니...이며 - 본절은 병행 기사인 9장에는 나와 있지 아니한구절이다.
 에섹 - '억압'이란 의미이다.
 울람 - '강하다'는 뜻이다. 그의 이름의 뜻은 40절에 나오는 그의 행적과 잘 어울린다.
 여우스 - '서두르는 자'라는 뜻이다.
 엘리벨렛 - '구원의 하나님'이란 뜻이다.

=====8:40
 활을 잘 쏘는 자라 - 베냐민 지파는 전통적으로 활을 잘 다루었다(12:2;삼하 1:22;대하 14:8;17:17). 이는 야곱이 예언하였던 베냐민 지파의 용맹성(창 49:27)과 잘 부합된다.
 아들과 손자가 많아 - 기브아의 싸움에서 멸절되다시피한 베냐민 지파(삿 20:47)가다시금 번성케 되었음을 보여 주는 구절이다. 한편 울람(Ulam)의 손자들은 므비보셋(므립바알)의 13대째 후손들이다. 므비보셋은 사울 왕이 전사한 B.C. 1010년에 다섯살이었는데(삼하 4:4) 그때로부터 13세대를 계산해 보면(한 세대를 대략 30년으로 봄)바벨론 유수 때인 B.C. 586년 직전까지 내려온다. 따라서 여기에 기록된 인물들은 모두 포로 시대 이전의 인물들임에 틀림없다(Payne, Lange, Keil).


Articles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