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유다의 아들들 - 여기서 '아들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브네이'(* )는 (1)문자 그대로 '아들들'이란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2) '후손들'이란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는 후손들이란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본절에 소개된 인물들은 베레스(Perez)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다의 후손들이기때문이다(창 10:31, 32;출 9:4;레 25:46 등). 한편, 본절에서부터 23절까지는 유다의단편적인 족보가 소개되어 있는데, 이는 2장의 유다 족보를 보충하는 것이다. 그리고이 족보는 이곳 이외에 성경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징을 지닌다.
베레스 - 유다가 며느리 다말(Tamar)과 관계하여 낳은 아들이다. 2:4 주석 참조.
헤스론 - 베레스의 아들로서 이름의 뜻은 '울타리'이다. 2:5 주석 참조.
갈미 - 이 자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서로 상충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 즉, 일부는 이 갈미(Carmi)를 '헤스론의 아들 갈렙'(2:18)으로 보고 필사자가 오기(誤記)한 경우라고 주장한다(Payne, Curtis). 반면에 또 다른 학자들은 이자를 2:7에 나오는 세라의 후손 '가르미'와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한다.(Keil, Bertheau, O Zockler). 그런데본절이 유다 베레스 헤스론 훌 소발로 이어지는 유다의 직계 족보를 언급하고 있는 것임에 비추어 볼 때 양 견해 중 비교적 전자가 더 타당성이 있다. 물론 이에 맞서카일(Keil) 등은 본 족보를 반드시 베레스와 헤스론의 혈통에 맞추어 해석할 필요가없다고 강변(强辯)하면서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 즉, 본 족보(1-23절)의 초점은 이스라엘 내에서 탁월했던 유다의 여러 가족들을 소개하는 데 있지 직계 후손으로 이어지는 어느 한 조상의 후손들을 소개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이는 분명히 맞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본문은 이를 위하여 먼저 유다 베레스 헤스론 갈렙훌로 이어지는 유다의 5대 직계손을 언급한 다음에 소발의 후손(2-4절), 아스훌의 후손(5-8절), 야베스의 후손(9-12절) 및 기타 여러 후손(13-23절)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본장 1-23절 문단 강해를 보다 참조하라.
훌 - 갈렙의 아들이자 모세의 성막 건축을 담당했던 브사렐(출 31:2-5)의 조부(祖父)이다. 2:19주석 참조.
소발 - 훌이 자신의 아내 에브랏(일명 에브라다)에게서 낳은 아들이다. 소발(Shobal)은 기브온 족속의 옛 성읍인 '기럇여아림'의 창건자이다. 2:50 주석 참조.
=====4:2
본절은 2:52에 나오는 소발 자손의 계보를 보충하고 있는 부분이다.
르아야 - '르아야'(* )는 2:52의 '하로에'(* )와 동일 인물이다.참고로 '르아야'는 '여호와께서 공급하셨다'는 뜻이며 '하로에'는 '선견자'란 뜻이다.2:52 주석 참조.
야핫 - 야핫(Jahath)이란 이름의 뜻은 '붙잡으시리라'이다. 그런데 이와 동일한 이름을 지닌 자는 레위 자손 가운데서도 3명이나 나타난다(23:10;24:22;대하 34:12). 아후매와 라핫...이는 소라 사람의 족속이며 - 아후매(Ahumai)와 라핫(Lahad)이 소라 족속의 조상임을 의미하는 말이다. 한편 갈렙의 후손 소라 족속은 소라(Zorah) 땅에 거주 하였는데 그곳은 예루살렘 서쪽 약 20km지점이다. 삿 13:2 주석 참조.
=====4:3
3, 4절은 훌의 아들 에담(Etam)의 자손들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에담 조상의 자손들 - 에담은 훌의 아들이다. 그의 후손들은 예루살렘 남쪽 유다산지의 에담 성에 거주하였다(대하 11:6).
이스르엘 - 에담의 아들인 이스르엘(Jezreel)은 또한 유다 지파의 산성 이름이기도하다(수 15:56). 다윗의 아내 아히노암은 바로 이곳 이스르엘 출신의 여인이었다(3:1). 이스마와 잇바스와...하술렐보니 - 이스르엘과 함께 이들은 에담 족속의 조상 또는그 지도자들을 의미하는 이름들일 것이다(Keil, Lange).
=====4:4
그돌의 아비 브누엘 - 브누엘(Penuel)은 훌의 또 다른 아들이다. 그리고 '그돌의아비'는 그돌(Gedor)을 창설하고 그곳에 정착한 사람이란 뜻이다. 그돌은 헤브론 근처유다 산지의 성읍으로서(수 15:58) 오늘날의 베들레헴 근처 길벳 그둘(Khirbet Gedur)이다. 한편, 18절에서는 그돌의 또 다른 조상 예렛(Jered)이 소개되어 있다. 이로써우리는 그들의 거민들이 두 가족의 후손들로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Lange, Keil).
후사의 아비 에셀 - '그돌의 아비 브누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사(Hushah) 역시한 장소의 지명이다. 그렇지만 그곳의 위치나 그밖의 사항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다.다만 성경에는 다윗의 용사 십브개가 후사 사람인 것으로 나와 있을 뿐이다(11:29;20:4;삼하 21:18;23:27).
베들레헴의 아비 에브라다의 맏아들 훌의 소생 - 여기서 훌(Hur)이 베들레헴의 조상으로 기록된 것은 그의 아들 살마(Salma)가 베들레헴의 창설자였기 때문이다(2:51).한편 에브라다(Ephratah)는 갈렙이 거느렸던 여러 아내 중 한 사람으로 일명 에브랏(Ephrath)으로 불리웠던 여인이다. 2:19주석 참조.
=====4:5
드고아의 아비 아스훌 - 아스훌(Ashur)은 헤스론의 유복자(遺腹子)이며(2:24) 훌의삼촌이다. 그리고 드고아(Tekoa)는 예루살렘 남쪽 16km 지점에 위치한 유다 성읍이다.2:24 주석 참조.
=====4:6
헤벨 - 헤벨(Hepher)은 성읍 헤벨의 창설자이든지 아니면 그곳의 조상일 것이다(Lange). 헤벨은 여호수아가 쳐서 멸망시킨 가나안 족속의 왕도(王都)로서(수 12:17)유다 남부 답부아 근처에 위치하였다.
하아하스다리 - 이는 '아(하)스달의 자손'(one descended from A(ha) shtar)이라는뜻이다. 따라서 하아하스다리(Haahashtari)가 개인 이름인지 아니면 '아하스달 족속'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Payne, O. Zockler, Keil & Delitzsch).
=====4:7
세렛 - 세렛(Zereth)이란 이름의 뜻은 분명치 않다. 그러나 그는 야곱의 손자로서세렛 가족의 시조였던 세렛(Sered)과는 분명히 구별된다(창 46:14).
=====4:8
고스 - 여기서 고스(Coz)와 아스훌(5절)과의 관계가 정확하게 언급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고스는 헬라(Helah)가 아스훌에게서 낳은 아들들(7절) 중의 한 명인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그의 이름과 유사한 '학고스'(* )는 레위 자손이다(스2:61;느 3:4).
아눕 - 그는 아마도 유다의 아납(Anab) 성읍의 조상일 것이다(수 11:21). 한편 그밖의 고스의 아들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4:9
야베스는 그 형제보다 존귀한 자라 - 야베스(Jabez)에 대해 우리가 달리 알 수 있는 사항은 없다. 다만 훌의 후손들 중 서기관 족속이 야베스라는 곳에 거하였다는 사실이 성경에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2:55). 만일 야베스가 2:55의 지명 야베스와 어떤연관이 있다면 그는 훌의 아들 소발(2:50)의 후손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일부 학자들은'그 형제보다 존귀한 자'라는 본절에 의거하여 야베스가 고스(8절)의 형제이거나 아니면 고스의 아들 중 하나일 것이라고 추측한다(Keil, Lange). 한편 야베스는 고통이란뜻의 '아차브'(* )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통의 아들'이란 뜻이다(Lange).
=====4:10
야베스가...하나님께 아뢰어 - 여기서 '아뢰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카라'(* )는 '브르짖다'는 뜻이다. 이는 곧 야베스가 절박한 심정으로 하나님께 간절히 도움을 간청하였음을 의미한다.
환란을 벗어나 근심이 없게 하옵소서 - 여기서 '근심'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오추비'(* )는 곧 '나의 고통'이란 뜻이다. 이는 곧 그의 이름의 뜻과 유사하다.아무튼 본절로 보아 야베스는 자기에게 있는 심적, 육적 고통을 하나님께 호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이 그 구하는 것을 허락하셨더라 - 여기서 '허락하셨더라'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야베'(* )는 '이루다', '가져오다'는 뜻이다(창 18:19;출 35:29;겔33:2). 따라서 본절은 야베스가 구하는 대로 하나님께서 다 이루어 주셨음을 보여준다. 우리는 여기서 진정과 간절함으로 구하는 기도가 응답받는 모범적인 신앙의 한 면을 발견하게 된다. 즉, 고통의 아들은 기도로써 다른 형제보다 더 존귀하고 명성있는자(9절)가 되었던 것이다(Keil). 이와 관련해서는 삼상 1:9-18 강해, '기도와 기도의응답'을 보다 참조하라.
=====4:11
수하의 형 글룹 - 이는 헤스론의 아들 갈렙(2:18)이나 여분네의 아들 갈렙(15절)과는 분명히 다른 사람이다. 한편 수하(Shuhah)라는 이름은 본절 이외의 다른 곳에서는나타나지 않는다. 그 이름의 뜻은 '의기 소침'이다.
=====4:12
이르나하스 - 사해 남쪽 아라비아 광야 서부에 위치한 오늘날의 길벳 나하스(Khirbet Nahas)이다. 한편, 이르나하스(Ir-nahash)의 뜻은 '악마의 성읍'이다.
레가 사람 - 레가(Rechah)는 유다의 한 성읍으로 생각되나 그 위치는 알 수 없다.그런데 어떤 사본에는 '레가'가 '레갑'(Rechab)으로 기록되어 있으니 레가를 레갑과동일 인물로 볼 경우 본절은 2:55과 연결되어 질 수 있다. 한편 레갑 족속은 모세의장인 호밥이 속했던 족속으로 겐 족속 혹은 미디안 족속이라고도 하며 이스라엘 민족에게 쉽게 동화되어 여호와 하나님을 충성스럽게 섬겼던 족속이다(창 15:19;삿1:16;4:11;렘 35:2). 이같이 이스라엘의 순수 혈통에 속하지 아니한 자들도 계보에 포함되었다는 사실에서(17, 18절), 우리는 이방 세계를 향한 하나님의 영원하신 계획을엿볼 수 있다(사 9:1;42:1, 6). 한편 구약 성경에서 이방인으로서 언약 백성의 계열에든 대표적 인물들로서는 다말(창 38장:마 1:3), 라합(수 6:22, 23;히 11:31), 룻(룻4:13; 마 1:5) 등이 있다.
=====4:13
그나스의 아들들 - 혹자는 그나스(Kenaz)가 헤스론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나(Keil,Lange) 본 문맥에서 그나스와 헤스론의 관계를 맺어주는 어떠한 근거를 발견할 수 없다. 반면, 그나스는 남부 팔레스틴의 이방 족속으로서(창 15:19) 겐 족속과 갓몬 족속사이에 거주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여기서 '그나스의 아들들'이란 말은 본래 그나스 족속에 속했으나 여호와의 종교로 개종하여 유다 지파 사람이 된 외국인 곧 '게르'(* )를 의미하는 것 같다(Payne). 한편, 그나스는 일명 그니스(Keniz)로 표기되기도 하였다(수 14:6).
옷니엘 - 가나안 정복시 유다 지파가 분배받은 땅에서 잔존해 있던 이방인들을 몰아내는 데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이다(수 15:13-19). 또한 그는 이스라엘의 최초의 사사이기도 하다(삿 3:9). 본서 기자는 바벨론 귀환 후의 유다인들에게 가나안 정복 당시의 기상과 신앙을 되새기게 함으로써 그들로 민족 재건에 솔선하게끔 하기 위해, 유다 지파의 용장(勇將)이었던 옷니엘을 소개한 것으로 보인다.
=====4:14
요압은 게하라심의 조상이라 - 여기서 '게하라심'(* )은 '장인(匠人)들의 골짜기'라는 뜻이다. 이는 곧 그곳에 거주하던 자들의 직업에 따라 지명이형성된 경우이다. 요압(Joab)은 이곳 게하라심에 마을을 건립한 창립자이다. 그런데게하라심의 위치가 어디인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저희들은 공장이었더라 - '공장'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라쉼'(* )은'파다', '새기다'는 뜻의 동사 '하라쉬'(* )에서 파생된 말로서 금속을 조각하는 전문 세공인을 의미한다(29:5;호 8:6;사 40:19). 그런데 이 말은 때에 따라 대장장이(삼상 13:19)나, 목수, 건축가(왕하 12:12)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처럼 개종한 그나스 족속의 자손들은 게하라심에 모여 전문적인 기능을 발휘하였다. 한편 이밖에도 본장에 열거된 유다 지파의 계보 내에는 방직업자(21절), 옹기장이와 정원사(23절) 등과같은 여러 직업이 나와 있다. 이와 관련 성경에 소개된 직업들을 참고적으로 살펴보면다음과 같다.
직 종 성 구 직 종 성 구 간 수 행16:23 사 관 삼하8:16 감 역 관 삼하20:24 상 인 느13:20 객 점 창42:27 서 기 관 삼하8:17 고리대금업 출22:25 세 탁 자 사7:3 고 지 기 스1:8 교 사 왕하2:3 구리장색 딤후4:14 시 인 민21:27 군 사 마8:9 악 사 시68:25 금 장 색 느3:31 어 부 사19:8 농 부 왕하25:12 옷감장수 행16:14 동산지기 요20:15 요 리 사 삼상8:13 랍 비 마23:7-8 장막짓기 행18:3 마 부 삼상8:11 장 인 잠26:10 목 수 삼하5:11 청 지 기 창43:16 목 자 창13:7 파 수 꾼 삼상14:16 무 녀 사57:3 포도원지기 아1:6 문 지 기 삼하18:26 피 장 행9:43 배만드는자 왕상9:26 향제조자 삼상8:13 법 률 사 단3:2 항 해 사 시107:23 변 사 행24:1 환 전 상 요2:14,15 복 술 사 신18:10=====4:15
여분네의 아들 갈렙 - 헤스론의 아들 갈렙(2:18)이 아니라 그 유명한 모세의 정탐꾼 갈렙을 가리킨다(민 13:6). 그는 사사 옷니엘의 큰아버지이기도 하다(수 15:17).즉, 옷니엘의 아버지 그나스는 갈렙의 아우였다. 수 15:17 주석 참조. 그런데 옷니엘은 갈렙의 딸 악사를 아내로 맞이하였다(수 5:16-19).
=====4:16
십 - 그는 유다 산지의 성읍인 십(Ziph)의 창설자이다. 그런데 헤스론의 아들 갈렙의 아들인 메사(Mesha) 또한 십의 창건자였다. 2:42 주석 참조. 그러므로 이 두 사람은 어떤 식으로든 제각기 십의 건설에 관여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십은 헤브론남동쪽 6.4km지점에 위치한 오늘날의 텔 지프(Tell Zif)이다.
=====4:17
에스드모아 - 헤브론 남쪽으로 14.4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오늘날의 에스 세무아(es Semua)이다. 본래 유다 지파의 성읍이었으나 후에 제사장 아론 자손에게 할당되었다(수 21:14).
이스바 - 메렛(Mered)이 바로의 딸 비디아에게서 낳은 아들이다(18절).
=====4:18
메렛의 취한 바로의 딸 비디아 - 메렛이 취한 비디아(Bethiah)는 분명 애굽 여인이며 바로 왕의 딸이다. 왜냐하면 바로 뒤이어 소개된 메렛의 또 다른 아내 '여후디야'(Jehudijah)는 '유대 여인'이란 뜻으로 바로의 딸과 대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메렛이 어떻게 바로의 딸을 아내로 맞아들일 수 있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혹자는메렛이 당시 애굽의 총리였던 요셉(창 41:41-45)의 영향으로 바로의 딸을 취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Payne).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메렛은 이스라엘인들의 애굽 체류 초기 시대(약 B.C.1800년이전)의 인물인 셈이다.
여후디야 - '여후디야'(* )는 '유대 여인'이란 뜻으로서 '바로의 딸'이란 말과 대구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는 개인의 고유한 이름이 아닐 수도 있다(Wycliffe Bible Commentary).
그돌의 조상 예렛 - 그돌(Gedor)은 헤브론 근처 유다 산지에 위치한 성읍이다. 이에 관해서는 4절 주석을 참조하라.
소고 - 유다 산지의 남단(南端)에 위치한 곳이며 에스드모 지역에 있는 열 한 성읍중의 하나이다(수 15:48). 이곳은 헤브론 서남쪽으로 16km 정도 떨어진 곳으로 오늘날의 길벳 슈웨이케 (Khirbet Shuweikeh)이다.
사노아 - 유다 산지의 촌락에 있는 한 성읍이다(수 15:55-57). 훗날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와 예루살렘 성읍을 재건한 자들 중에는 이곳 사노아(Zanoah) 거민들도 있었다(느 3:13).
=====4:19
나함의 누이인 호디야의 아내 - 여기서 호디야(Hodiah)는 나함의 '누이'(* , 아훗)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뒤따르는 '아내'(* , 에쉐트)라는 말로 미루어 보아 그는 실상 남자인 것 같다(Keil, Lange). 한편 그와 동일한 이름은 레위 자손 가운데서도 찾아볼 수 있다(느 8:7;9:5;10:10).
가미 사람 그일라의 아비 - 가미 사람(the Garmite)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하가르미'(* )는 '뼈대', '골격'을 의미하는 '게렘'(* )에서 파생된 말인듯이 보인다. 그렇다면 이는 이 족속의 골격이 장대했거나 힘이 뛰어났음을 보여주는 말일 것이다. 한편, 그일라(Keilah)는 헤브론 북서쪽 13.6km에 위치한 오늘날의 길벳 킬라(Khirbet Qila)인 것으로 알려진다. 이곳은 유다의 성읍 중 하나였다(수 15:44;느 3:17, 18).
=====4:20
이시 - 이름의 뜻은 '유익한 자'이다. 그런데 그는 여라므엘 자손 압바임의 아들이시(Ishi, 2:31)나 세일 산에서 아말렉 족속을 쳐부순 시므온 사람 이시(42절)와는다른 사람이다.
=====4:21
유다의 아들 셀라 - 셀라(Shelah)는 가나안 사람 수아의 딸이 유다로 말미암아 낳은 세번째 아들이다. 그에게는 형 에르와 오난이 있었는데 하나님 보시기에 악하므로진노의 죽임을 당하였다. 2:3 주석 참조.
마레사의 아비라아다 - 마레사(Mareshah)는 유다의 저지대에 있던 성읍으로서 훗날르호보암 왕에 의해 요새화 되었다(대하 11:5, 8). 그곳은 엘류데로 폴리스 남동쪽으로 1.6km 지점에 위치한 오늘날의 '텔 산다한나'(Tell Sandahannah)이다.
세마포 짜는 자의 집 - 세마포(Linen)는 아마(亞麻)실로 짠 직물을 가리킨다. 고대당시 아마 초목은 값비싼 농작물이었던 까닭에 왕실과 부유한 사람들, 그리고 제사장등과 같은 극소층만이 착용할 수 있었다. 한편 아마 실로 베를 짜는 일은 주로 여인들이 담당하였는데(출 35:25) 하나님께로부터 부여받은 특별한 재능으로도 이해되었다(출 35:35;38:23). 출 27:9 주석 참조. 본절은 르우벤 지파 아스베야의 집안이 바로이 같은 직조업에 종사하였음을 보여 준다.
=====4:22
고세바 - 유다 평지에 위치한 마을이다. 이는 곧 그일라 북서쪽 4km지점에 위치한악십(Achzib)과 동일한 성읍인 것으로 추정된다.
모압을 다스리던 사랍 - 모압은 사해 동쪽에 위치한 고원 지대이다(신 1:5). 사랍(Saraph)은 이곳 영토를 다스리다가 유다 지파의 지경으로 옮겼을 것이다.
야수비네헴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야슈비 레헴'(* )은 '그가레헴으로 돌아왔다'는 뜻이다. 만일 이 해석이 옳다면 사랍은 모압에서 레헴으로 돌아온 것이 된다. 그런데 레헴(Lehem)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이는 다 옛 기록에 의지한 것이라 - 여기서 말하는 옛 기록이 어느 시대의 어떤 기록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추측컨대 이는 역대로부터 전해져 내려 오던 유다 지파의족보 따위일 것이다.
=====4:23
이 모든 사람은 옹기장이가 되어 - 여기서 이 모든 사람이 21, 22절에 기록된 셀라의 모든 자손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22절에 기록된 자손들만을 의미하는지는 결정하기애매하다. 혹자는 21절에서 '세마포 짜는 자의 집'이란 말이 나오므로 이는 22절에 기록된 자손들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Bertheau). 그러나 거기서 세마포 짜는자의 집은 '아스베야의 집'에만 해당되므로 우리는 이 말이 21, 22절에 나오는 사람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Keil, Lange).
수풀과 산울 가운데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느다임 우그데라'(* )는 지명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옳은 듯하다. 왜냐하면 이 중 그데라는 유다의 저지대 구릉지(세벨라)에 있는 14 성읍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수 15:36). 따라서'수풀'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느다임도 지명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The WycliffeBible Commentary). 이에 따라 현대의 몇몇 영역본들은 본절을 'at Netaim andGederah'로 번역하고 있다(NIV, Ling Bible).
거기서 왕과 함께 거하여 왕의 일을 하였더라 - 본절은 이 옹기장이들이 왕과 친분을 나누며 그와 함께 살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다만 왕의 농장이나 경작지에서 봉사하면서 본연의 옹기장이 일에 종사했음을 의미한다. 사실 유다의 모든 왕들이나 왕족들은 토지를 소유하였으며 그곳에 일꾼을 두어 자신의 토지를 소유하였으며그곳에 일꾼을 두어 자신의 토지를 경작하게 하였다(27:25-31;삼하 13:23;대하26:10). 바로 이와 같은 왕의 농장에서 이들은 왕을 위해 종사했던 것이다. 한편, 왕국 분단의 기간 동안에(B.C. 930-586) 옹기 만드는 수공업이 왕의 후원을 받아 대대로계승되어 내려왔다는 사실은 오늘날 고고학적 연구 결과에 의해 입증되었다(R.A.Stewart Macalister).
=====4:24
시므온의 아들들 - 시므온(Simeon)은 야곱이 레아를 통해 낳은 둘째 아들로서(창29:33) 세겜의 왕자가 그의 누이 디나를 강간했을 때 레위와 함께 속임수로 세겜족을학살한 인물로 유명하다(창 34:24-30). 이러한 행위로 말미암아 그는 임종(臨終)하는야곱으로부터 그의 자손들이 가나안 땅 전역에 흩어지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듣게 되었다(창 49:5-7). 한편 시므온 지파 중 일부 자손들은 유다 서남부의 건조한 땅에 정착하였는데 그것도 실은 유다 지파의 기업 중에서 양도받은 땅이었다(수 19:1-9;15:26, 28-32;삿 1:3). 때문에 그후 유다 지파 내에서의 시므온 지파는 유다가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유다 지파 내에 융화되었다(수 21:9;삿 1:17). 한편, 본절로부터 43절까지에나오는 시므온 지파의 족보는 창 46:10;출 6:15;민 26:12-14에 나오는 족보보다 더 자세하다는 특징을 지닌다.
느무엘과 야민과 야립과 세라와 사울이요 - 본래 시므온의 아들은 모두 여섯이다(창 46:10;출 6:15). 그러나 여기서는 그중 종족을 형성하지 못한 오핫(Ohad)은 제외되었고 종족을 형성한 다섯 아들들만이 소개되어 있다(민 26:12-14). 한편, '야립'(* )은 다른 곳에서는 '야긴'(* )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필사자에의한 오기임이 분명하다(Keil). 이밖에도 다른 곳에서 본절의 느므엘(Nemuel)은 여무엘(Jemuel)로, 세라(Zerah)는 스할(Zohar)로 각기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창 46:10).
=====4:25
사울 - 가나안 여인의 소생이다(창 46:10). 즉 시므온은 가나안 여인에게서 사울(Saul)을 낳았다. 이 사울은 이스라엘의 초대왕 '기스의 아들 사울'(삼상 9:1, 2)과는구별된다. 밉삼...미스마 - 이들은 아브라함의 서자(庶子)인 이스마엘의 후손들과 이름이 동일하나 전혀 다른 인물들이다(1:29, 30;창 25:13, 14).
=====4:26
시므이 - 이름의 뜻은 '유명한 자'이다. 그런데 다윗 시대 당시 다윗을 저주했던베냐민 지파 사람도 시므이(Shimei)이다(삼하 16:5-8). 그리고 레위의 후손 가운데도동일한 이름의 소유자가 몇 명 있다(6:42;23:7, 9;25:17;대하 29:14;31:12).
=====4:27
시므이는 아들 열 여섯과 딸 여섯이 있으나 - 시므온의 자손들 중 가장 크게 번성한 시므이의 가족을 소개하고 있다. 아마도 이들을 통해 시므온 지파의 명맥이 유지되었던 것 같다(Keil). 그 형제에게는 자녀가 몇이 못되니...번성하지 못하였더라 - 여기서 '그 형제'란시므이의 형제란 의미보다는 시므이 외에 그밖의 모든 시므온 자손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본절에는 '온 족속'이란 말이 나오기 때문이다. 한편, 모세의 인구 조사에서도 시므온 지파의 수는 실제로 유다 지파의 수보다 훨씬 적게 계수되었다(민 1:23, 27).
=====4:28
브엘세바 - 유다 네겝 지방의 성읍인 브엘세바(Beer-sheba)는 이스라엘 영토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다(삿 20:1;삼상 3:20;삼하 3:10;24:7). 그곳은 곧 헤브론 서남쪽55km 지점이다. 때문에 '단에서 브엘세바까지'라는 말은 이스라엘 전국토를 가리키는관용적인 표현으로 곧잘 사용되었다(21:2;대하 30:5). 한편 브엘세바는 남부 유다의행정 중심지이기도 하였다(대하 19:4).
몰라다 - 브엘세바에서 가까운 네겝 지방의 성읍이다. 이곳은 바벨론 포로 귀환 때에 유다 사람들이 정착한 곳이기도 하다(느 11:26). 한편 혹자는 헤스론의 장남 여라므엘의 아들 몰릿(2:29)에서 '몰라다'(Moladah)란 지명이 유래되었다고도 추측한다(Baly).
하살수알 - 브엘세바와 인접한 곳이다. 본래 유다 지파의 성읍이었으나(수 15:28)후일 시므온 지파에게 주어졌다(수 19:3).
=====4:29
빌하 - 추측컨대 수 15:29의 바알라(Baalah)와 동일 지역인 듯하다. 바알라는 에돔경계 인근의 성읍이다.
에셈 - 이스라엘 최남단의 성읍으로 브엘세바 남동쪽 19.2km 지점에 위치하였다.
돌랏 - 남부 유다의 성읍으로 일명 엘돌랏(Eltolad)이라고도 불리웠다(수 15:30).그 위치는 브엘세바에서 남동쪽으로 약 20km 지점이다.
=====4:30
브두엘 - 헤브론 남쪽의 오늘날의 길벳 엘 카랴테인(Khirbet el-Qaryatein)이다(Grolenberg).
호르마 - 브엘세바 근처의 성읍이다. 이곳 역시 본래는 유다 지파의 성읍이었으나(수 15:30) 이후에 시므온 지파에게 할당되었다(수 19:4;민 14:45;삼상 30:30).
시글락 - 유다의 네겝 지방의 성읍으로서 헬 베이트 미르심에서 서남방쪽으로 8km떨어진 곳에 위치한 오늘날의 텔 엘 쿠웨일페(Tell el-Khuweilfeh)이다. 이곳은 사울시대에 블레셋의 수중으로 들어갔으나 다윗 당시 다시금 가드 왕 아기스에게서부터 되돌려 받았다(12:1, 20;삼상 27:6;30:1-30).
=====4:31
벧말가봇 - 이 지명의 의미는 '병거의 집'이다. 그런데 수 15:31에는 맛만나(Madmannah)로 소개되어 있다. 추측컨데, 이 성읍이 병거의 집(창고)으로 사용되었을때 본래의 이름인 맛만나가 벧말가봇(Bath-marcaboth)으로 바뀐 듯하다(Keil).
하살수심 - '말의 촌락'이란 뜻이다. 그런데 수 15:31에서는 산산나(Sansannah)로기록되어 있다. 이 역시 벧말가봇과 같은 경우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벧말가봇과 하살수심(Hazar-susim)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벧비리 - 분명치는 않지만 아마도 '벧 르바옷'(수 19:6)에 대한 바벨론 포로기 이후의 이름인 듯하다(Payne).
사아라임 - 수 19:6에서는 사루헨(Sharuhen)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곳은 가사 남쪽약 30km지점이다.
다윗왕 때까지 이 모든 성읍이 저희에게 속하였으며 - 혹자는 본절을 삼상 27:6과관련시켜 해석한다(Curtis, The Wycliffe Bible Commentary). 즉, 삼상 27:6에는 가드왕 아기스가 시글락(Ziklag)을 다윗에게 주었으며 그 후로 시글락이 유다왕에게 속하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구절에 근거하여 일부 학자들은 본문(28-31절)에 언급된 성읍들의 소유가 다윗 왕 때에 시므온 지파에서 유다 지파로 넘어간 것으로 이해한다.그러나 보다 더 우월한 견해는 다윗 통치하에서 유다 지파의 지배권이 강해지자 압력에 의해 시므온 지파 사람들이 그 성읍들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주해 버린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다(Keil, Lange).
=====4:32
그 향촌은...다섯 성읍이요 - 이 성읍들은 다윗 때에 이주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서지켰던 시므온 지파의 성읍들이다(Keil). 한편, 본절에는 다섯 성읍이 언급되었으나병행 구절인 수 19;7에서는 도겐(Tochen)이 제외된 채 네 성읍만이 언급되었다. 아마도 도겐은 가나안 기업 분배 당시에는 성읍으로서의 규모를 갖추지 못했으나 점차 성읍으로서의 규모를 갖추었기에 본절에 언급된 듯하다.
에담 - 이는 베들레헴과 드고아 사이에 있는 에담(Etam)이 아니고(대하 11:6) 유다남부 지방에 있는 성읍이다(삿 15:8, 11).
아인과 림몬 - 이 둘은 한지역으로 합쳐져 아인림몬, 또는 에느림몬으로 불려지기도 하였다(느 11:29). 이곳은 브엘세바 북동쪽 14km지점이다.
아산 - 네게브 남서쪽에 위치한 유다의 성읍이다(수 15:42). 또한 이곳은 레위인의성읍이기도 하였다(6:59).
=====4:33
바알까지 미쳤으니 - 시므온 지파의 경계를 보여주고 있는 구절이다. 한편 바알(Baal)은 네게브 남쪽에 위치한 바알랏 브엘(Baalath-beer)과 동일한 성읍인 것으로추정된다(수 19:8).
주소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모솨브'(* )는 '거주하다'는 의미의 동사'야솨브'( )에서 파생된 말로 정착지를 의미한다.
=====4:34,35
스라야의 손자...예후 - 예후(Jehu)란 이름의 뜻은 '그는 여호와이심'이다. 성경에는 이와 동일한 이름의 소유자가 몇 명 나온다. 곧 하나니의 아들이자 선지자인 예후(왕상 16:1), 북이스라엘의 10대 왕인 예후(왕상 19:16), 유다 지파 예후(2:38) 등이다.
=====4:36,37
시사 - 본절에는 시사(Zeza)의 계보가 상세히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정작 그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한편 그의 이름의 뜻은 '풍부'이다.
=====4:38
다 그 본족의 족장이라 - 여기서 '족장'이란 실제로 한 족속의 족장을 가리키기보다는 단지 한 족속에서 갈라져 나온 '소가족(小家族)의 우두머리'를 가리킨다(Keil &Delitzsch, Vol. III. p.101).
=====4:39
그돌 지경 - '지경'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마보'(* )는 도시(삿 1:24)나성전(대하 23:13)의 입구를 가리키는 말로서 그곳으로 들어가는 길목을 의미한다. 한편, 여기서 그돌(Gedor)은 유다 산지에 위치한 그돌과는 다르다(4, 18절). 왜냐하면시므온 지파 사람들이 유다 지파에 속한 성읍을 정복하였을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절의 그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70인역(LXX)에서 이를 블레셋방향의 가사 남부 성읍인 '그랄'이라고 기록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본절의 '그돌'(* )을 70인역에서처럼 '그랄'(* )과 동일시할 수 있는 개관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Keil, Lange), 그것만 가지고서는 그돌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시므온 지파의 공격대가 이곳에서 세일 산으로 향했다는 구절로 보아(42절) 이곳은 사해를 내려다볼 수 있는 지역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Payne).
=====4:40
그 땅이...안정하니 - '안정'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쉐케트'(* )는 본래 '쉬게 하다', '진정시키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전쟁이나 다툼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수11:23). 이는 옛적부터...까닭이라 - 한글 개역 성경의 본 번역은 앞 문장과의 연결 관계상다소 애매하다. 따라서 '그때까지 거기에는 함족이 살고 있었다'로 번역 한 공동 번역및 Living Bible을 참조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함의 자손 - 이들은 함 족속(Hamites) 가운데서도 특별히 가나안 땅에 거하던 가나안 족을 의미한다(Keil, Lange). 왜냐하면 이들이 옛적부터 이곳에 거주하였다고 되어있기 때문이다. 창 10:6 주석 참조.
=====4:41
유다 왕 히스기야 때에...진멸하고 - 본절은 히스기야 당시(B.C.728-687)의 역사적한 단편을 보여 준다. 즉, 당시 앗수르는 지중해로부터 바사에 이르기까지의 대 제국을 건설하여 날로 확장일로에 있었다. 따라서 팔레스틴 지역은 언제 앗수르에게 짓밟힐지 모르는 위기 상황 속에 빠져 있었다. 그러던 중, 앗수르왕 사르곤(B.C.722-705)의 죽음과 더불어 팔레스틴 전역에서는 저항과 모반의 기운이 감돌았으며, 유다 왕 히스기야는 그 저항 운동의 선봉이 되었던 것이다. 이때 그는 예루살렘을 비롯한 유다의중심 성읍들을 요새화(要塞化)하였으며, 이 저항 운동에 가담하기를 거부한 나라들을쳐서 굴복시켰다. 본절의 정복 기사는 바로 그러한 정벌 사업의 대표적 사료에 관한것이다(왕하 18:7, 8).
모우님 사람 - 모우님인(Meunites)은 사해의 동남쪽에 위치한 마안(Maan) 성읍을중심으로 에돔 동쪽 변경에 거주했던 족속이다. 이들은 비록 에돔(세일)족은 아니었으나 에돔족과 동맹 관계가 있었다.
=====4:42
본절과 다음 절은 34-41절의 제 1차 이주와는 또 다른 시므온 지파의 제 2차 이주에 대한 기록이다.
세일 산 - 에돔 지경(地境)의 산으로 아라바 저지대 동쪽에 위치해 있다. 본래 이곳에는 호리족(Horites)이 거주하였는데 에서의 자손이 그들을 정복하고 대신 그곳에거하였다(창 32:3;신 2:12).
=====4:43
피하여 남아 있는 아말렉 사람 - 예전에 사울(삼상 14:47, 48;15:7)과 다윗(삼상30:17, 18;삼하 8:12)이 아말렉을 침공한 사건을 암시해 주는 말이다(Payne, Keil).아말렉은 에돔족의 일족으로서 출애굽한 이스라엘을 최초로 대적한 족속이었다(출17:8-16;민 24:20;신 25:17-19;삿 3:13;시 83:7, 11). 1:36 주석 참조. 그러나 시므온지파는 그 같은 이스라엘의 원수를 갚으려는 목적보다는 좋은 초원을 얻기 위해 아말렉의 잔여 인구를 진멸하였을 것이다(Payne).
오늘까지 거기 거하였더라 - 여기서 '오늘까지'라는 말은 본서를 저작하던 당시를의미하는 말이다. 본서는 예루살렘 재건 시기인 B.C. 450년 경에 저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절은 그때까지 시므온 지파가 그곳에 안정되이 거하였음을 보여 주고있다. 본서 서론, '기록 연대' 참조.
Previous
List